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7 14:46:21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전경

남아있는 미국 국장 문양 돌조각.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eheran
سفارت ایالات متحده آمریکا، تهران

가상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사이트.

1. 개요2. 역사3. 영사 업무

1. 개요

미국 이란 제국에 설치해 운영했던 외교공관. 팔레비 왕조 시절에는 미국, 이란 두 국가의 우방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대사관을 설치해 운영했으나 이란 혁명 발발 이후 이란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반미 정부가 세워지면서 국교단절되는 바람에 1980년 4월 7일 대사관도 문을 닫았다. 이란 내 미국 시민권자에 대한 영사 업무는 스위스 대사관에서 맡고 있다.

2. 역사

팔라비 왕조 시절 미국은 석유 장악을 위한 중동 교두보로 이스라엘 이란을 이용했고 팔라비 왕조에 우호적이었다. 팔라비 왕조 역시 미국과의 협력을 중요시하면서 급진적인 서구화 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미국과 제1세계 국가들과 관계가 매우 좋았다.

1948년 팔라비 왕조와 미국은 국교를 맺었으며 대사관도 3년 후인 1951년 건축되었다. 당시 대사급 외교관계를 바탕으로 테헤란 워싱턴 D.C에 상호 대사관을 설치하여 운영했다. 단 여권, 비자 발급 등을 하는 영사과 건물은 메인 빌딩이 아닌 옆 부속 건물에서 운영했다.

그러나 팔라비 왕조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서방우호주의와 부패 등으로 인해 민심을 잃어 갔고 급진적인 세속화 정책 때문에 이슬람 지도자들에게도 지지받지 못하다가 결국 1979년 이란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팔라비 왕족들과 팔라비 왕조 당시에 존재했던 비밀경찰 사바크의 수뇌부, 왕가를 지지하던 이전 상위급 지배층 인사들은 영국, 캐나다, 미국 등지로 도피, 망명하였으며[1] 호메이니가 중심이 된 이슬람 신정 공화국이 세워졌다.

팔라비 왕조 붕괴 이후 이란은 이슬람 시아파가 국가 기둥의 뿌리가 되어 순식간에 친미 국가에서 반미 국가로 스텐스를 바꿨다. 이 때문에 미국과의 갈등이 시작되었고 자연스레 교류도 줄어들게 되었지만 미국과 이란 모두 현실을 받아들이고 대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는데...

지미 카터 행정부가 팔라비 2세 전 왕의 미국 망명을 허가함으로써 이란 혁명 강경파들의 심기를 건드리는 바람에 반미 감정이 폭발했다. 호메이니는 팔레비를 이란으로 송환할 것을 요구했지만 미국은 건강 문제를 이유로 송환을 거절하였다. 여담이지만 당시 팔라비 2세 전 이란 국왕과 파라 왕비, 레자 팔라비 전 이란 황태자 등 그 일가족들은 이미 이란 혁명 직후 당시 이란의 정권을 장악한 혁명 세력들이 주도한 궐석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은 상태라 이란으로 돌아가거나 송환되면 바로 총살형 또는 교수형을 당하고도 충분히 남았다.[2] 당시 호메이니는 왕당파와 민주파 등을 전부 처형한 상태였기 때문에 팔레비 왕의 미국 망명은 매우 거슬리는 일이었다.

이 때문에 1979년 11월 4일 테헤란에서 팔라비 전 왕의 송환을 요구하던 학생 시위대가 시위 중 과격해져 미국 대사관에 난입해 점거했고 70명의 미국 대사관 직원들을 인질로 잡으면서 미국-이란 관계는 사실상 파탄났다. 자세한 내용은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문서 참조.

인질 사태가 종결되고 잠깐 온건파의 중재로 합의안이 나오는 듯 했으나 호메이니가 온건파를 탄압하면서 합의안도 흐지부지 되었고 결국 미국은 1980년 4월 7일 이란과 국교를 단절하고 미국 내 이란 외교관들을 추방하고 주미 이란대사관을 폐쇄시켰다. 이에 이란도 인질로 잡아두었던 미국 대사관 직원들을 미국으로 추방하고 주 이란 미국 대사관을 폐쇄시켰다.



현재 주 이란 미국 대사관의 옛 건물은 반미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거리 벽면에 반미 프로파간다가 그려져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란 내 반미 시위도 옛 미 대사관 건물 앞에서 자주 진행되고 있다.

3. 영사 업무

미국과 이란의 국교가 단절됨에 따라 미국 대사관도 업무를 중단하였고 미국은 공식 대사관 대신 영사부 사무소와 주 이란 스위스 대사관을 통해 미국 시민권자들의 영사 업무 및 비자 발급 업무를 하고 있다.[3] 만약 본인이 이란에 체류 중인 미국 시민권자라면 위급 상황에는 이 두 기관에 연락해 도움을 받아야 한다. 단 국교관계가 없어 직접적인 도움을 받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른 국가에서 영사업무를 받을 때보다 몇 배 더 시간이 걸린다는 건 알아두어야 한다. 긴급여권 발급 역시 다른 국가에서는 하루만에 발급이 가능한 걸 이란에서 스위스 대사관이나 미 영사부를 통해 신청할 경우 운 없으면 일주일 이상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또 이란에서 체포되거나 위급상황에 휘말릴 경우 영사 접견이 힘들수도 있다.

만약 미국과 이란이 쿠바와 미국과 같이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재수교가 이뤄진다면 현재의 옛 대사관 건물을 주 이란 미국 대사관으로 다시금 사용할지, 아니면 새 대사관 건물을 신축공사할지도 관건이다.


[1] 한편 이란 혁명 당시 국외로 망명하지 않고 이란 국내에 잔류했던 팔라비 왕조 시대의 구지배층 출신 인사들은 얄짤없이 혁명 직후 들어선 호메이니 정권에 의해 총살당하거나 팔라비 왕조 시절에 벌어 뒀던 자산들을 모두 이란 정부에게 빼앗기고 몰락했는데 심지어 이들은 정권만 공화제로 바뀌고 이란 신정부가 죽이지 않고 봐 줄 것이라는 오판까지 했다. [2] 게다가 팔라비 2세 전 이란 국왕이 이집트에서 지병인 암으로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 혁명 당시 궐석재판에서 팔라비 구 왕가에게 내려졌던 사형 판결이 이란 국내에서 아직도 존속되고 있어 이 사형 판결의 존재로 인해 현재 생존 중인 이란의 팔라비 구 왕족들이 이란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국외에서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자세한 건 팔라비 왕조 문서 참조. [3] 미국과 이란의 국교가 없다보니 이란에 대한 업무는 주 미국 파키스탄 대사관을 통해 비자발급등등 이란인들의 업무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