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4 14:11:49

자유 낙하

종단속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듬게임 곡에 대한 내용은 FREEDOM Di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Zekk 의 곡에 대한 내용은 フリーフォール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전역학
Classical Mechanics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14A0A><colcolor=#fff> 기본 개념 텐서( 스칼라 · 벡터) · 모멘트 · 위치 · 거리( 변위 · 이동거리) · 시간 · 공간 · 질량( 질량중심) · 속력( 속도 · 가속도) · 운동( 운동량) · · 합력 · 뉴턴의 운동법칙 · ( 일률) · 에너지( 퍼텐셜 에너지 · 운동 에너지) · 보존력 · 운동량 보존의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 질량 보존 법칙 · 운동 방정식
동역학 관성 좌표계 · 비관성 좌표계( 관성력) · 항력( 수직항력 · 마찰력) · 등속직선운동 · 등가속도 운동 · 자유 낙하 · 포물선 운동 · 원운동( 구심력 · 원심력 · 등속 원운동) · 전향력 · 운동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입자계의 운동역학 · 운동 방정식
정역학 강체 역학 정적 평형 · 강체 · 응력( /응용) · 충돌 · 충격량 · 각속도( 각가속도) · 각운동량( 각운동량 보존 법칙 ·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토크( 비틀림) · 관성 모멘트 · 관성 텐서 · 우력 · 반력 · 탄성력( 후크 법칙 · 탄성의 한계) · 구성방정식 · 장동 · 소성 · 고체역학
천체 역학 중심력 · 만유인력의 법칙 · 이체문제( 케플러의 법칙) · 기조력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궤도역학 · 수정 뉴턴 역학 · 비리얼 정리
진동 파동 각진동수 · 진동수 · 주기 · 파장 · 파수 · 스넬의 법칙 · 전반사 · 하위헌스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간섭 · 회절 · 조화 진동자 · 산란 · 진동학 · 파동방정식 · 막의 진동 · 정상파 · 결합된 진동 · 도플러 효과 · 음향학
해석 역학 일반화 좌표계( 자유도) · 변분법{ 오일러 방정식( 벨트라미 항등식)} ·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의 원리 · 라그랑지언 · 액션) · 해밀턴 역학( 해밀토니언 · 푸아송 괄호 · 정준 변환 · 해밀턴-야코비 방정식 · 위상 공간) · 뇌터 정리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기타 문서 기계공학( 기계공학 둘러보기) · 건축학( 건축공학) · 토목공학 ·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탄도학( 탄도 계수) · 자이로스코프 · 공명 · 운동 방정식 · 진자( 단진자) · 사이클로이드 }}}}}}}}}

1. 개요2. 분석
2.1. 공기 저항이 없는 경우2.2.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
2.2.1. 선형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2.2.2. 제곱형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
2.3. 동일 높이에서의 낙하 시간
3. 관련 문서

1. 개요

자유 낙하는 오직 중력만이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가 떨어지는 운동을 뜻한다.

2. 분석

자유낙하실험에서 이 운동을 분석하기 앞서 [math(\dot{y})], [math(\ddot{y})]는 각각 지면에 대한 높이 [math(y)]의 시간에 대한 도함수( 속도) [math({\rm d}y/{\rm d}t)], 이계도함수( 가속도) [math({\rm d^{2}}y/{\rm d}t^2)]임을 밝힌다. 또한 직관적인 서술을 위해 연직 위 방향을 [math(+y)] 방향으로 둔다.

2.1. 공기 저항이 없는 경우

질량 [math(m)]의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math(H)]의 높이에서 자유낙하를 했다고 생각해보자. 공기 저항을 무시할 경우 이때 작용하는 힘은 보존력 중력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체의 운동 방정식은

[math(\displaystyle m\ddot{y}=-mg )]

이고, 초기 조건 [math(y(0)=H)], [math(\dot{y}(0)=0)]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y(t)&=H-\frac{1}{2}gt^{2} \\ \dot{y}(t)&=-gt \end{aligned} )]

한편, 물체의 높이가 [math(y)]일 때까지 낙하 시간을 구하면,

[math(\displaystyle y=H-\frac{1}{2}gt^{2} \;\to\; t=\sqrt{\frac{2(H-y)}{g}} )]

이때 속력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iggl|\dot{y}\biggl( \sqrt{\frac{2(H-y)}{g}} \biggr)\biggr|=\sqrt{2g(H-y)} \end{aligned} )]


위에서 언급했듯 공기 저항을 무시할 경우 이때 작용하는 힘은 보존력 중력 외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역학적 에너지 또한 보존된다. 따라서 초기 역학적 에너지는 중력 퍼텐셜 에너지인 [math(mgH)]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mgH=mgy+\frac{1}{2}m \dot{y}^{2} )]

2.2.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

진공에서의 물체의 가속 운동은 방해, 정확히 말하면 저항력을 받지 않아 정지 속도가 없지만, 실제 지구상에서의 낙하는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된다.

사실 아래의 두 풀이 또한 실제 상황을 단순화한 것이다. 왜냐하면 실제적으로 높이에 따라 대기의 밀도가 달라지므로 저항력이 높이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2.2.1. 선형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

저항력이 속도에 비례하여 질량 [math(m)]의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math(H)]의 높이에서 자유 낙하할 때, 저항력 [math(-k\dot{y})](단, [math(k)]는 공기 저항 계수)를 받는다고 하자. 이때 물체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m\ddot{y}=-mg-k\dot{y} )]

초기 조건 [math(y(0)=H)], [math(\dot{y}(0)=0)]을 이용하면 위의 미분방정식은 쉽게 풀리고, [math(k/m := \beta)]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y(t)&=H+\frac{g}{\beta^{2}}(1- \beta t -e^{-\beta t} ) \\ \dot{y}(t)&=-\frac{g}{\beta}(1-e^{-\beta t}) \end{aligned} )]

위의 식에서 알 수 있듯 [math(t \to \infty)]이면 일정한 속력 [math(g/\beta=mg/k)]로 수렴하는데 이 속력을 종단 속력(terminal speed)이라 하고, 종단 속력은 질량에 비례한다. 이 속력을 저항력에 대입하면, [math(k \dot{y}=mg)]로 중력의 크기와 같아지므로 종단 속력은 중력과 저항력이 평형을 이룰 때의 속력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종단 속도는 자세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math(200\,{\rm km/h})]([math(53\,{\rm m/s})]) 정도이다.

2.2.2. 제곱형 공기 저항이 있는 경우

이번 문단에서는 제곱형 공기 저항이 작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자. 물체의 운동 방정식은 위 문단과 유사하게

[math(\displaystyle m\ddot{y}=-mg+k\dot{y}^{2} )]

단, 이번엔 저항력 부분의 부호가 [math(+)]가 되어야 함에 유의하자.[1] 초기 조건은 윗 문단과 동일하고, 방정식을 그냥 풀기 어렵기 때문에 우선 [math(\dot{y})]에 대하여 구하자. 위 미분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쓰자.

[math(\displaystyle \frac{{\rm d}\dot{y}}{{\rm d}t}=-g+\beta\dot{y}^{2} )]

변수 분리를 통해 이 방정식을 풀면

[math(\displaystyle \dot{y}(t)=-\sqrt{\frac{g}{\beta}} \tanh{(\sqrt{\beta g}t)} )]

변위 함수는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y(t)=H-\frac{1}{\beta}\ln \circ \cosh{(\sqrt{\beta g}t)} )]


[math(\dot{y})]로부터 [math(t \to \infty)]일 때, 일정한 속력 [math(\sqrt{g/\beta}=\sqrt{mg/k})]로 접근하며, 이 종단 속력은 질량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더욱이 이 속력을 [math(k\dot{y}^{2})]에 대입하면, 중력의 크기와 같다.

2.3. 동일 높이에서의 낙하 시간

공기저항이 없고, 동일한 높이에서 낙하하는 물체들은 위에서 보았듯이 낙하 시간 식에 질량 항이 없으므로, 동일한 시간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고실험에서 제안되었던 개념이다. 질량이 작은 물체를 약하게 잡고, 질량이 큰 물체를 강하게 잡으므로 그 비율이 서로 같아서 동시에 지면에 도달한다. [2]

3. 관련 문서


[1] 저항력은 물체의 진행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여야 한다. [2] 출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