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22:59:00

조소동맹조약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 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 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 ||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러관계 관련 문서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역사 소련군정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조소동맹조약(폐지)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2024년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외교 북러관계 · 북소관계 · 북중러관계 · 남북러관계 · 북한-만주 관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로씨야련방대사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로씨야련방사이의 포괄적인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기타 두만강철교 · 녹둔도 · 러시아-북한 국경 }}}}}}}}}

1. 개요2. 상세3. 조약 원문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조소동맹조약_로동신문.jpg
조약 체결 다음날인 1961년 7월 7일자 로동신문 1면에 실린 조약 전문[1]
당시 대한민국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기자회견
정식명칭은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간의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이다. 북한 소련 양국간에 체결된 군사 동맹조약으로 1961년 7월 6일 모스크바에서 체결되었다.

2. 상세

이 조약은 유사시 군사적 자동개입을 명시하고 있다. 상대국이 전시 상태에 돌입할 시 지체 없이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기술, 문화, 경제 원조에 관한 내용도 담겨 있다. 이 조약은 10년간 효력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한쪽이 기한 만료 1년 전에 조약 폐기에 관한 의견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5년간 연장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소련은 북한이 자신의 지령에 따를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으나 북한의 소련파는 이미 1956년 8월 종파사건으로 숙청된 후였다. 북한은 이 조약이 체결되고 나서도 당시 소련과 사이가 나빴던 중공에 접근하였고 조중동맹조약을 체결했다.[2] 그러자 소련은 1961년 11월부터 1964년 10월까지 군사원조를 철회했고 북한에 제공했던 차관을 다시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런 외교적 충돌이 몇 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동맹조약은 유지되었다. 소련이 붕괴된 후에도. 1994년 6월 김영삼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당시 보리스 옐친 대통령에게 해당 조약의 폐기를 요구하였고 1995년 8월 7일 러시아는 북한에게 이 조약의 기한을 늘리지 않겠다고 선언하였으며 1996년 9월 10일 폐기되었다.

3. 조약 원문

3.1. 조선어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간의 우호, 협조 및 호상 원조에 관한 조약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최고 인민 회의 상임 위원회와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최고 쏘베트 상임 위원회는

사회주의적 국제주의 원칙에 기초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쏘베트 련맹 간의 친선 관계를 강화 발전시킬 것을 지향하면서,

유엔의 목적과 원칙에 립각하여 극동과 전 세계에서의 평화와 안전의 유지 공고화를 촉진시킬 것을 희망하면서,

어떠한 국가 또는 국가 련합으로부터 체약 일방에 대한 무력 침공이 감행되는 경우에 원조와 지지를 호상 제공할 결의에 충만되면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쏘베트 련맹 간의 친선, 선린, 협조의 강화가 량국 인민들의 사활적 리익에 부합되며 그들의 경제, 문화의 금후 발전을 가장 훌륭하게 촉진시키리라는 것을 확신하면서,

이 목적으로 본 조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고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최고 인민 회의 상임 위원회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내각 수상 김 일성을,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최고 쏘베트 상임 위원회는 쏘련 내각 수상 니끼따 쎄르게예비치 흐루쑈브[4]를 각각 자기의 전권 대표로 임명하였다.

량 전권 대표는 소정의 형식과 완전한 절차를 갖춘 자기의 전권 위임장을 교환한 후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제1조
체약 쌍방은 그들이 앞으로도 극동과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전의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국제적 활동에 참가할 것이며 이 고귀한 과업의 수행에 기여할 것을 성명한다.

체약 일방이 어떠한 국가 또는 국가 련합으로부터 무력 침공을 당함으로써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에 체약 상대방은 지체 없이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온갖 수단으로써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

제2조
체약 각방은 체약 상대방을 반대하는 어떠한 동맹도 체결하지 않으며 체약 상대방을 반대하는 어떠한 련합이나 행동 또는 조치에도 참가하지 않을 데 대한 의무를 진다.

제3조
체약 쌍방은 평화와 전반적 안전의 공고화를 촉진시킬 것을 념원하면서 량국의 리해 관계와 관련되는 모든 중요한 국제 문제들에 대하여 호상 협의한다.

제4조
체약 쌍방은 평등과 국가 주권의 호상 존중, 령토 완정, 호상 내정 불간섭의 원칙들에 립각하여 친선과 협조의 정신에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과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간의 경제적 및 문화적 련계를 강화 발전시키며, 경제 및 문화 분야에서 가능한 모든 원조를 호상 제공하며 필요한 협조를 실현할 데 대한 의무를 진다.

제5조
체약 쌍방은 조선의 통일이 평화적이며 민주주의적인 기초 우에서 실현되여야 하며 그리고 이와 같은 해결이 조선 인민의 민족적 리익과 극동에서의 평화 유지에 부합된다고 인정한다.

제6조
조약은 평양시에서 비준서를 교환한 날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조약은 10년간 효력을 가진다. 체약 일방이 기한 만료 1년 전에 조약을 페기할 데 대한 희망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조약은 다음 5년간 계속하여 효력을 가지며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앞으로 유효기간이 연장된다.

본 조약은 1961년 7월 6일 모쓰크바시에서 조선어와 로어로 각각 2부씩 작성되였으며 이 두 원문은 동등한 효력을 가진다.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최고 인민 회의 상임 위원회의 위임에 의하여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내각
수상 김 일성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최고 쏘베트 상임 위원회의 위임에 의하여
쏘베트 사회주의 공화국 련맹 내각
수상 엔. 에쓰. 흐루쑈브

3.2. 러시아어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МЕЖДУ СОЮЗОМ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Президиум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Президиум Верховного Народного Собрания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стремясь развивать и укреплять дружественные отношения между Советским Союзом и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основывающиеся на принципе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интернационализма,

желая содействовать поддержанию и укреплению мира и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и во всем мире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целями и принципами Организации Объединенных Наций,

исполненные решимости оказать друг другу помощь и поддержку в случае вооруженного нападения какого-либо государства или коалиции государств на одну из Договаривающихся Сторон,

уверенные в том, что укрепление дружбы, доброго соседства и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ежду Советским Союзом и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отвечает жизненным интересам народов обоих государств и будет наилучшим образом способствовать их дальнейшему экономическому и культурному развитию,

решили с этой целью заключить настоящий Договор и назначили в качестве своих Уполномоченных:

Президиум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Хрущева Никиту Сергеевича, Председателя Совета Министров СССР;

Президиум Верховного Народного Собрания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 Ким Ир Сена, Председателя Кабинета Министров КНДР.

Оба полномочных представителя после обмена своими полномочиями, найденными в должной форме и полном порядке, согласились о нижеследующем:

Статья 1
Договаривающиеся Стороны заявляют, что они и впредь будут участвовать во всех международных действиях, имеющих целью обеспечение мира и безопасности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и во всем мире, и будут вносить свой вклад в дел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их высоких задач.

В случае, если одна из Договаривающихся Сторон подвергнется вооруженному нападению со стороны какого-либо государства или коалиции государств и окажется таким образом в состоянии войны, то другая Договаривающаяся Сторона немедленно окажет военную и иную помощь всеми имеющимися в ее распоряжении средствами.

Статья 2
Каждая из Договаривающихся Сторон обязуется не заключать какого-либо союза и не участвовать в каких-либо коалициях, а также в действиях или мероприятиях, направленных против другой Договаривающейся Стороны.

Статья 3
Договаривающиеся Стороны будут консультироваться друг с другом по всем важным международным вопросам, затрагивающим интересы обоих государств, руководствуясь стремлением содействовать укреплению мира и всеобщей безопасности.

Статья 4
Обе Договаривающиеся Стороны обязуются в духе дружбы и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принципами равноправия, а также взаимного уваже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суверенитета,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й целостности и невмешательства во внутренние дела друг друга развивать и укреплять экономические и культурные связи между Союзом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и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ой, оказывать другдруг у всякую возможную помощь и осуществлять необходимо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в области экономики и культуры.

Статья 5
Обе Договаривающиеся Стороны считают, что объединение Кореи должно быть произведено на мирной и 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основе и что такое решение отвечает как национальным интересам корейского народа, так и делу поддержания мира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татья 6
Договор вступает в силу со дня обмена ратификационными грамотами, который будет произведен в г. Пхеньяне.

Договор останется в силе в течение 10 лет. Если одна из Договаривающихся Сторон за год до истечения срока не заявит о желании денонсировать Договор, то он будет продолжать оставаться в силе в течение следующих 5 лет и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этим правилом будет пролонгироваться.

Составлен в г. Москве 6 июля 1961 года в двух экземплярах, каждый на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причем оба текста имеют одинаковую силу.


По уполномочию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Н. ХРУЩЁВ

По уполномочию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Народного Собрания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КИМ ИР СЕН

4. 여담

문민정부 시기의 권영해 국방부차관 역임 시절 소련에게 자동개입 조항을 삭제를 요구하였다. 당시 초대 주한 러시아 무관인 니콜라이 우소프 해군 대령은 그 말에 경악하여 보고를 하였는데 러시아 외교부에서는 "일국의 국방부차관이 직분을 망각하고 제3국의 국가 대 국가가 맺은 조약을 개정하라 폐기하라는 식의 내정간섭적 발언을 할 수 있느냐"며 항의했다.

의외로 한국 언론에서도 호의적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조소동맹조약은 논리적으로는 한미상호방위조약에 대응하는 조약이기 때문에, 이 조약이 실효되면 북한에서도 한미상호방위조약의 무위화를 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치외교 측면에서 한국은 러시아와 교섭이 가능하고 반대로 북한은 미국과 교섭이 불가능하기에 외교적 역량을 발휘한 것이라 볼 순 있을 것이다.

여하튼 권영해 국방차관은 국내외 사퇴 압력을 받아가며 곤경에 처했으나 “국민의 한 사람, 군인의 한 사람으로서 할 바를 한 것”이라며 의연하게 버텼다. 1993년 2월 문민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방부장관으로 임명된 권영해 장관은 주러 해군무관 윤종구 대령에게 “자네, 북·러 조약에서 자동 개입 조항 하나만 빠지게 한다면 무관 임무는 달성한 거야”라며 격려했다고 한다. #

문민정부 시절 북한과 러시아간의 군사동맹을 어떻게 와해시켰는지의 이야기가 담긴 기사가 있다.

북한-러시아 군사동맹 이렇게 와해시켰다. (1)
북한-러시아 군사동맹 이렇게 와해시켰다. (2)
북한-러시아 군사동맹 이렇게 와해시켰다.(3, 끝)

그러나 2024년 6월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방북으로 2024년 북러정상회담이 체결되면서 맺어진 새 조약"유사시 지체없이 원조를 제공한다"는 문안을 넣어서 조소동맹조약과 유사한 부분이 있는 조약을 체결하였다.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북한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 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문화어 제정 이전이라 띄어쓰기가 현재와는 다르다. [2] 미국은 한국, 일본, 영국, 독일, NATO 등 수많은 상대와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것에 반해 중국과 이와 같은 방위조약을 체결한 나라는 전세계에서 북한이 유일하다. 즉, 북중조약은 중국의 유일한 방위조약이다. [3] 소련 측 보관본이라 소련이 앞에 나온다. [4] 소련 측이 보관한 조선어본에는 니끼따 쎄르게예위츠 흐루쑈브로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