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6:56:30

조선인민혁명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대 북한의 군대에 대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북한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 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 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 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 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 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 ||

파일:조선인민혁명군.jpg

1. 개요2. 상세3. 평가4. 창작물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김일성 1934년 3월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들을 주축으로 창건했다고 주장하는 항일 무장군사조직.

북한은 이 군대를 조선인민군의 기원이라고 선전하지만 북한의 선전과는 달리 조선인민혁명군은 실존성이 증명되지 않은 허구의 군대다. 북한에서는 이반 치스차코프 25군의 행적을 이 군대의 행적으로 둔갑시켜 조선인민혁명군이 일본군을 물리치고 한반도를 해방시킨 군대라고 선전한다. 대표적으로 청진 상륙작전에 참가했다는 것인데 이 작전에 참전한 유일한 조선인 소련군이었던 정상진은 조선인민혁명군을 당시 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다만 소련 군인 여러 명의 회고록에 따르면 당시 조선인 빨치산들이 있었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나진에서의 전투에 참가한 소련 군관 E.우르쥬멜라슈윌리가 쓴 <조선에서의 수기>에서 100여명의 무장인원을 보았고 김일성 빨치산 대원들이라고 주장하는 지휘관이 있다고 들었다고 인용하고 있다.[1]

북한에서는 2021년부터 1932년 4월 25일을 기점으로 매년 4월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로서 기념하고 있다.

2. 상세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과 관련하여 “주체사상을 지도적 지침으로 하고 인민의 리익을 위하여 투쟁”하고 “모든 계급적 압박과 착취를 청산하고 사회주의를 건설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기록에 따르면 김일성은 1932년부터 항일 빨치산으로 활동했다.[2] 1932년 4월 25일[3] 김일성은 반일 인민유격대를 결성한 빨치산 대장이었는데 이 시기에는 만주에 여러 군벌, 마적, 독립군, 혁명군 등 다양한 무력집단이 군웅할거 하고 있던 시기였다. 1933년쯤 되면 이러한 단체들이 연합하기 시작하고 만주에 조선/중국 양국의 인민들의 "혁명적 지방주권기관"이자 "해방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신생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의 행정 능력은 산간 오지나 황무지까지 미치지 못했고 이를 이용하여 무력단체들은 자신들의 영역에서 자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반일유격대를 결성했다는 것도 거짓말인데 그는 1931년부터 중국공산당이 창건한 '왕청 유격대'의 소대장에 불과한 부대원이었기 때문이다. #

북한은 "1934년에 이르러 김일성은 동만주의 반일 인민유격대와 남만주 반일유격대를 통합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하였으며, 그 이듬해인 1935년 5월에는 반일 민족 통일전선 본보인 조국광복회를 조직하고 그 회의 회장으로 추천되었다. 그리고 김일성은 만주 각지의 혁명적 무장세력을 통합하여 신기한 영도력을 발휘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을 만들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거짓이다. 조선인민혁명군은 1930년대 만주 지방에서 민족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혁명군'과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가 소비에트 홍군이라는 명칭을 취소하고 다시 성립할 것을 지시했던 코민테른의 '1월 서한'에 따라 결성한 동북인민혁명군의 명칭을 조합해서 고안해낸 가공의 조직이다. 김일성이 가공해 만들어낸 군사조직
김일성의 자서전 " 세기와 더불어"에도 "중국 동북지방에서 활동할 때에는 동북항일연군이라고 하였고, 조선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거나 조선에 나와서는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정황에 맞게 이름을 바꾸어 가며 활동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동북항일연군은 조선인민혁명군과는 전혀 다른 실존했던 군사조직이었다. 동북항일연군 제2군이 김일성이 이끌던 부대였으며 이때 김일성이 항일 빨치산 투쟁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북한이 ' 혈맹'이라고 표현하는 중국조차도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를 부인했다. 예컨대 1962년 4월 25일 평양에선 항일유격대 창설 30주년 기념행사를 전례 없이 대대적으로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 초청된 중공측 수뇌급 간부 펑전(彭眞)은 "중국 측은 김일성이 주도하여 조직했다는 조선인민혁명군은 날조된 것이며, 김일성은 중국공산당의 지역조직에서 중간간부로서 어디까지나 중앙당의 지도 하에 행동했던 자로 규정했던 것이다."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북한에서는 현재도 4월 25일을 조선인민군 창건기념일로 선정하여 매해마다 성대한 기념행사를 치르고 있으며 한국 인터넷 백과사전에까지도 이를 버젓이 기재해 놓았다. 조선인민혁명군은 존재하지 않았다2

특히 북한에서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내용 중에는 " 양세봉 조선혁명군을 김일성이 흡수해서 대규모 부대로 거듭나게 되었다"는 것도 있는데 역시 거짓이다. 조선혁명군의 일부 대원이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4]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보는 것이 사실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리고 북한에서 주장하는 조선혁명군과 실제 사료에 등장하는 조선혁명군은 다르다.

북한에선 조선인민군의 전신이 조선인민혁명군이라 주장하기 때문에 조선인민군가의 첫 소절이 "항일의 빛나는 전통을 이어"다. 자신들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인민혁명군을 계승했다는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거짓이며 실제 조선인민군의 전신은 한인계 소련군 출신으로 구성된 보안대다.

파일:조선인민혁명군 종대.jpg
파일:조선인민혁명군.png

현재에는 김일성 우상화 작업의 도구 중 하나로 이용되며 김정은 집권 후 열병식을 할 때마다 존재하지도 않았던 조선인민혁명군을 재현해 행진시킨다. 열병식[5]에서는 앞에서 세 번째 종대의 위치로 행진한다.[6]

3. 평가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이 김일성의 “세련된 령도와 뜨거운 사랑 속에서 창건 후 빠른 시일 안에 주체의 혁명위업을 확고히 떠메고 나갈 수 있는 믿음직한 혁명적 무장력으로 자라났으며 마침내 겹쌓인 난관과 시련을 용감하게 뚫고 일제를 반대하는 항일혁명전쟁에서 력사적 승리를 쟁취하였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김일성 혁명전통에 입각한 것으로 김일성 우상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단 주체사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1950년대 중후반에야 나오며 조선인민혁명군 한반도 해방설 또한 1960년대에 들어서 나오게 됐다. 당시 김일성은 중국공산당 노선을 따르는 재만 무장투쟁 세력의 일원에 지나지 않았다.

1936년경 동북항일연군에 참가하고 이들은 1937년 보천보 전투로 일약 유명해졌지만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이름이 국내에 크게 알려지지는 않았고 김일성과 공산비적의 준동으로 보도되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아일보에서 몇 차례 소개되었으나 그마저도 조선인민혁명군이 실제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기사들이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o.jpg

당시의 신문 기사

4. 창작물

5. 관련 항목



[1] 그러나 실제로 이런 자료가 존재하는지는 의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현대사1, p.31 참고 [2] 이 무장투쟁 노선은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1930년 카륜회의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김일성은 이 회의에서 무장투쟁 노선을 정립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회의에서 주체사상을 주장했다고 하는 등 후대에 윤색되고 소급된 내용들이 많다. 카륜회의에 관한 내용 [3] 조선인민군은 1978년부터 2017년까지 이 날짜를 창군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2018년부터는 다시 원래대로 정규군 창건일인 2월 8일로 돌아갔다. [4] 그 산하 제2방면군장이 김일성이었음 [5]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열병식. 참고로 김정은 집권 후 열병식에서는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당시의 열병식과는 다르게 조선인민혁명군 및 6.25 전쟁 당시의 복장을 한 열병부대를 행진시킨다. 그런데 항상 모든 열병식에 등판시키는 것은 아닌 건지 당창건 75주년 기념열병식부터는 등장하지 않다가 2022년 4월 진행된 열병식에서 다시 등장했다. [6] 첫번째 종대는 김일성 초상기 종대, 두번째 종대는 김정일 초상기 종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