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역 | ||
부전 방면 벌 교 ← 10.7 ㎞ |
경전선 무궁화호 |
목포 방면 예 당 5.3 ㎞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조성 Joseong 鳥城 / 鸟城 / [ruby(鳥城, ruby=チョソン)] |
|
주소 | ||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조성4길 14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전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광려선 |
1930년 12월 25일 ~1936년 12월 15일 |
|
경전서부선 |
1936년 12월 16일[1] ~1968년 2월 6일 |
|
경전선 | 1968년 2월 7일[2] | |
무궁화호 | 1994년 3월 31일 | |
역사 구조 | ||
지상 1층 구조 및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1면 4선 섬식 승강장[3] | ||
철도거리표 | ||
삼랑진 방면 벌 교 ← 10.7 ㎞ |
경전선 조 성 |
광주송정 방면 예 당 5.3 ㎞ → |
|
조성역 전경 |
[clearfix]
1. 개요
대합실 |
1930년 조성리역이라는 보통역으로 출발
조성역은 1930년 12월 조성리역이라는 이름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8년 5월에 이르러 조성역으로 역명을 변경, 이후 1991년 1월에 현재의 조성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새롭게 지어진 역사는 299.83㎡ 규모의 벽돌조 단층 평지붕으로,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으나 1994년과 2008년 차례로 소화물과 화물취급을 중지하였다. 2017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되면서 무인역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테마역으로 변신, 청소년과 청년예술가, 지역 어르신을 위한 다채로운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조성역은 1930년 12월 조성리역이라는 이름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8년 5월에 이르러 조성역으로 역명을 변경, 이후 1991년 1월에 현재의 조성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새롭게 지어진 역사는 299.83㎡ 규모의 벽돌조 단층 평지붕으로,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으나 1994년과 2008년 차례로 소화물과 화물취급을 중지하였다. 2017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되면서 무인역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테마역으로 변신, 청소년과 청년예술가, 지역 어르신을 위한 다채로운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30년 12월 25일에 개업할 때에는 이름이 조성리역(鳥城里驛)이었으나 1988년 5월 21일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꾸었다.[4]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지도를 보면 대부분이 1988년 역명 개정 이전의 조성리역으로 표기된 반면, 일부는 같은해 개정 이후의 조성역으로 표기된 흔적이 지금까지 고스란히 남아있다.
그러나 조성역의 영어 표기가 2003년 개정 이전 매쿤 라이샤워 표기법으로 ChoSŏng 이었던 적이 있었다.
2030년 말 경전선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다만 경전선 광역전철이 추진되면 신 역사로 이설하여 부활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와 별개로 개량 이후 선로에 개설이 예정된 소아신호장이 만약 여객 취급을 하게 된다면 위치를 고려했을 때 신설이 아니라 조성역의 이설로 처리할 가능성도 있다.
3. 승강장
승강장 |
역명판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선로가 더 있으나 여객열차가 사용하는 선로는 승강장과 붙어있는 2개 선로 뿐이다.
승강장이나 대합실에 타는 곳 번호 표기가 없다.
↑ 벌교 | |||
| | 1 | | | |
예당 ↓ |
1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부전· 광주송정· 목포 방면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60명 | |
2005년 | 61명 | |
2006년 | 62명 | |
2007년 | 70명 | |
2008년 | 76명 | |
2009년 | 73명 | |
2010년 | 71명 | |
2011년 | 73명 | |
2012년 | 63명 | |
2013년 | 51명 | |
2014년 | 49명 | |
2015년 | 43명 | |
2016년 | 42명 | |
2017년 | 35명 | |
2018년 | 32명 | |
2019년 | 32명 | |
2020년 | 20명 | |
2021년 | 18명 | |
2022년 | 22명 | |
2023년 | 21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정차하고 있다. 다만 시외버스나 보성교통 농어촌버스가 조성면 일대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조성역의 여객 수요는 저조한 편. 실제로 서부경전선에서 그나마 수요가 나은 보성군내 보성~벌교 구간 5역 중 가장 이용객 수가 적다.
- 2011년 6월 무배치간이역으로 조정되었고 인근의 예당역과 마찬가지로 코레일네트웍스에서 승차권 발권업무를 대행하였으나, 2017년 1월 1일 차내취급역으로 변경되었다. 이용객이 너무 감소되는 바람에 승차권 발권 업무 중단을 피하지 못했다.
5. 연계 교통
관련 문서: 보성군 농어촌버스/조성면역 바로 앞에는 정차하는 버스가 없고, 조성면사무소 쪽으로 약 100m 정도 나와야 이용할 수 있다. 보성 ~ 벌교 구간을 오가는 완행 시외버스도 이용할 수 있으나 배차간격이 불규칙하고, 농어촌버스의 경우 각 가지노선별로 경유지와 행선지가 다르니 주의.
면사무소앞(327005) 예당, 보성 방향
|
|
농어촌버스 |
면사무소앞(327003) 벌교 방향
|
|
농어촌버스 |
6.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