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
사전투표일 : 2024년 10월 16일~10월 26일 08:30~20:00
투표일 : 2024년 10월 27일 07:00~20:00 |
|
선거 이전 | ||
주요 상황 · 선거구 획정 · 선거구 | ||
후보자 | ||
지역별 | ||
정당별 | ||
선거 진행 | ||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선거 공약 · 선거 광고 · 선거 토론 및 연설 · 여론조사 · 출구조사 | ||
개표 | ||
결과 분석 | ||
관련 문서 | ||
}}}
일본의 주요선거 }}}}}} |
1. 개요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주고쿠 지역 결과를 정리한 문서.2. 결과 표
지역구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
17석 | 12석 | -5 | |
|
1석 | 3석 | +2 | |
|
1석 | 1석 | ||
|
0석 | 1석 | +1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석 | 0석 | -1 |
비례대표 | ||||
지역 | 49회 | → | 50회 | 증감 |
|
6석 | 5석 | -1 | |
|
2석 | 3석 | +1 | |
|
2석 | 1석 | -1 | |
|
0석 | 1석 | +1 | |
|
1석 | 0석 | -1 |
3. 상세
일본에서 자민당 지지 성향이 가장 강한 주고쿠 지방인 만큼 지난 중원선 때와 마찬가지로 자민당이 의석을 많이 차지하여 압도적 제1당을 유지하였으나 세부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이전과는 다른 점이 있다.집권 여당인 자민당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지역구가 있는 돗토리현과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지역구였던 야마구치현의 의석을 모두 사수했다. 그러나 야마구치 2구에서는 자민당 후보가 1700여 표 차로 겨우 신승할 정도로 고전했다. #[1] 이외에도 히로시마현은 히로시마 4구에서 일본유신회 후보에게 충격패를 당하여 의석을 잃는 등 전국적인 자민당 심판 여론에 의해 텃밭에서도 아쉬운 결과를 거두었다.
입헌민주당은 야권 분열이 일어났음에도 저번 보궐선거에서 획득한 시마네 1구를 사수했다.[2] 또한 오카야마 4구에서 추가로 의석을 확보하며 자민당의 아성인 주고쿠 지방에서 선전하였다.
이번 선거에서는 주고쿠 지역의 인구 감소로 인한 선거구 조정으로 무려 지역구 3개가 통폐합된 탓에[3] 자민당의 주고쿠 권역 비례대표 후보 명단 상위 4순위를 전부 지역구를 잃어버린 현역 자민당 의원들이 차지했다.[4][5] 이로 인해 자민당이 5~6석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고쿠 권역 비례대표에서는 단 1~2명만이 석패율로 구제받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제로도 5석 확보에 그치면서 단 1명만이 비례대표로 구제받을 수 있었다.
[1]
다만 이 지역구는
히라오카 히데오의 개인기가 크게 작용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2]
사실 이는 자민당에게는 매우 충격적인 일이다. 시마네현은 보수왕국으로 불릴 정도로 자민당의 아성이었던 지역이다. 그러나 저번 보궐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 당시 총리의 지원 유세에도 의석을 내준 것에 이어 이번에도 탈환에 실패하며 일본 내 자민당에 대한 비토 정서가 얼마나 큰지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3]
히로시마 7구,
오카야마 5구,
야마구치 4구
[4]
자민당은 지역구가 날아간 자당 의원들에게 1회에 한해 배려 차원에서 비례대표 상위 순번 공천을 보장해준다. 하지만 그 이후 코스타리카 방식을 통해 선거 때마다 번갈아가며 지역구를 유지하는게 아닌 이상 계속 자리를 보장해주지는 않기 때문에 이들은 그 이후에는 알아서 살 길을 찾아야 한다.
[5]
나머지 1석은 원래
가와이 가쓰유키가 자민당 비자금 스캔들에 연루되었음에도
히로시마 3구에 자민당 후보로 출마할 예정이었으나 양당 합의 하에 공명당
사이토 데쓰오가 출마하게 되어 자리가 붕 떠버린 이시바시 린타로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