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1:10:30

제2신속대응사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2사단들에 대한 내용은 제2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제2신속대응사단의 전신(前身)에 대한 내용은 제2보병사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겸 한미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
한미연합사단 · 제36보병사단 · 제55보병사단
제17보병사단 · 제51보병사단
I 제1보병사단 · 제9보병사단 · 제25보병사단
II 제7보병사단 · 제15보병사단
III 제12보병사단 · 제21보병사단 · 제22보병사단
V 제3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 제28보병사단
VII 수도기계화사단 · 제8기동사단 · 제11기동사단 · 제2신속대응사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사단 제31보병사단 · 제32보병사단 · 제35보병사단 · 제37보병사단 · 제39보병사단 · 제50보병사단 · 제53보병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52보병사단 · 제56보병사단
동전사 제60보병사단 · 제66보병사단 · 제72보병사단 · 제73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상비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중강습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한미연합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사단 | 해체된 사단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임무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특공대( 제2신속대응사단 · 제1산악여단 · 제700/ 701/ 702/ 703/ 705특공연대 · 제2/ 35특수임무대대 · 제1/2강습대대)
정찰대
수색대
기동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마크.svg 해병대
해난구조전대(SSU)
군사경찰 특수임무반
수색대( 특수수색대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제259특수임무대대(CCT)
특수탐색구조대대(SART)
군사경찰 특수임무소대
단, 밑줄 친 부대는 2020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에 의해 국군특수전부대로 소개된 부대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제2신속대응사단
第二迅速對應師團
The 2nd Quick Response Division
파일:제2신속대응사단 부대마크.svg
의 심장을 파고드는 최정예부대 신속대응사단!
[ruby(百, ruby=백)][ruby(折, ruby=절)][ruby(不, ruby=불)][ruby(屈, ruby=굴)] [ruby(不, ruby=불)][ruby(退, ruby=퇴)][ruby(戰, ruby=전)] [ruby(常, ruby=상)][ruby(勝, ruby=승)][ruby(怒, ruby=노)][ruby(濤, ruby=도)]
<colbgcolor=#225296><colcolor=#fff> 창설일 1947년 12월 1일 (제2여단)
1949년 5월 12일( 제2보병사단)
2021년 1월 1일(제2신속대응사단)
상징명칭 노도(怒濤)부대[1]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군단 (편제상)
제2작전사령부 (작전통제권)[2]
규모 사단
역할 평시: 신속대응 임무
전시:기밀
사단장 소장 임태호(육사 51기)
위치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창대리[3]
1. 개요2. 역사3. 예하부대4. 출신인물5. 기타
5.1. 부대영상5.2. 사단가5.3. 구호
6. 여담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제7군단 예하 사단으로 신속대응부대 임무를 맡고 있다.

부대 분류상 특공여단의 확대복사버전인 특공사단이다.

사단 주변에 여단과 대대들이 모여있지 않고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다. 전국 어디든 출동하고 작전지역이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부대들이 인접해있을 이유가 없다.

2. 역사

국방개혁 2.0에 따라 2019년 12월 6일에 해체된 제2보병사단 2021년 경기도 양평군[4]에서 제2작전사령부 예하 제201특공여단 제203특공여단을 배속받아 헬리콥터와 수송기를 이용한 공중강습 임무를 수행하는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제2보병사단을 계승했기에 그 시절의 마크와 상징명칭(노도부대), 통상명칭(0000부대) 역시 그대로 썼다. 노도(怒濤)성난 파도라는 뜻이다.[5]

신속대응사단으로 변경되면서 부대구조와 임무가 변경되었다. 유사시 여단급 규모가 항공기로 기동할 수 있는 공정부대이다. 전시 상황 발생시 헬기와 수송기에 탑승 공중에서 신속하게 기동하는 것이 주임무이다. 낙하산 강하를 통해 작전지역으로 이동하고 작전의 여건을 조성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와의 차이점은 임무와 규모의 차이이다. 특전사는 소규모 팀 단위로 특수전 비정규전을 수행하고 신속대응사단은 정규군으로서 공격 방어 작전을 수행한다.

부대마크는 기존 노도부대의 마크 위에 AIRBORNE이 새겨진 리본이 붙어, 개편된 신속대응사단의 임무에 걸맞게 바뀌었다.

부대구호는 빠르게(유사시 신속대응), 높게(공정 및 공중강습작전), 완전하게(빈틈없이 완전한 작전을 통해 승리한다)이다.

또한 재창설 직후 제7군단에 예속 될 예정이다. 육군 2사단 해체, 적 심장 파고드는 최정예 부대 탈바꿈

일단 201특공여단과 203특공여단을 예속받았고, 2021년 1월 1일 이 여단들은 제201신속대응여단 제203신속대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하지만 재창설 이후 여타 사단들과 마찬가지로 삼각편제를 위해 기존 특수부대나 두 여단에서 인원들을 차출, 새 특공여단을 창설 혹은 (구)제205특공여단 등을 재창설 하리란 예측과 달리 현재도 두 여단 체제로 유지되는데, 인구감소에 따른 현역 자원 부족 및 적진 침투, 교란이 주 임무인 만큼 삼각편제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대 특성상 포병 전력을 많이 요구하지 않기에 따로 포병연대(여단)를 두지 않고 대신 각 여단별로 1개 포병대대만 두고있다.

부대원들이 대한민국 최초의 공정부대 #라는 타이틀을 사용했으나 이는 잘못된 타이틀이다. 육군 특전사는 정규 공수부대가 아니라 특수전부대니 차치하더라도, 대한민국 최초의 공정부대는 1968년 공정사단이 되었다가 운용비용 및 김신조 사건의 여파로 2년만에 일반 보병사단으로 원상 복귀한 육군 제5보병사단이 있고 5사단을 제외해도 1974년에 창설된 해병대 제1사단의 공정대대도 존재하기에 제2신속대응사단은 최초의 공정“부대”는 아니다. 따라서 굳이 따지자면 “대한민국 유일 공정사단”이라는 타이틀이 올바르다

3. 예하부대

제2신속대응사단 예하부대
제201신속대응여단 제203신속대응여단
※ 군 공통의 직할부대( 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과거 제2보병사단 시절의 예하부대들은 제2보병사단 소속 부대 문단 참고

3.1. 사단 직할대

3.2. 제201신속대응여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01신속대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제203신속대응여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203신속대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출신인물

4.1. 사단장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보병사단 시절의 사단장들에 대한 내용은 제2보병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6><bgcolor=#225296> 역대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준비단장 ||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초대 장광선 예) 중장 3사 25기 제2보병사단
제2군단
2대 석종건 예) 소장 육사 45기 제35보병사단
합참 전력기획부장
방위사업청장
3대 신희현 예) 대장 학군 27기 제36보병사단
제3군단
제2작전사령관
역대 제2신속대응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초대 신희현 예) 대장 학군 27기 제36보병사단
제3군단
제2작전사령관
2대 표창수 소장 육사 47기 제22보병사단
육군보병학교
3대 조원희 소장 육사 51기 지작사 작계처장
사이버작전사령관
4대 임태호 소장 육사 51기 수도포병여단
現 사단장

5. 기타

5.1. 부대영상





5.2. 사단가

1~4절
금수강산 수도에서 한뜻에 뭉쳐
조국의 통일 위해 노도와 같이
원수의 괴뢰군을 쳐무찌르니
장하다 그의 이름 2사단 용사

사명산 정기 받아 굳게 뭉쳤다
초전박살 굳센 신념 노도와 같이
필승의 전기연마 전진 또 전진
산악의 천하무적 2사단 용사

선진조국 힘찬 대열 선봉에 서서
조국통일 겨레소망 노도와 같이
백두산 상봉까지 쳐서 무찔러
내 조국 지키리라 2사단 용사

백절불굴 불퇴전의 빛나는 전통
평화와 번영 위해 노도와 같이
하늘과 땅으로 승리만 있으니
북진의 선봉이다 신속대응사단

기존 2사단가에 신속대응사단에 맞게 4절을 추가로 만들었다.

5.3. 구호

빠르게(빠르게) 높게(높게) 완전하게(완전하게) 신속대응사단 화이팅! 화이팅! 화이팅!

6. 여담



[1] 전신인 제2보병사단의 상징명칭을 그대로 계승했다. [2] 특이하게 소속은 제7군단으로 두되, 제7군단의 상급부대인 지상작전사령부가 아닌 후방의 제2작전사령부의 작전통제를 받도록 되어있다. 예하부대들이 제2작전사령부 예하이기도 했고, 제2작전사령부 지역에 소재하기 때문. [3] 해체된 제20기계화보병사단의 사령부에 입주해있다. [4] 대략적으로는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통합돼 없어진 (구)제20기계화보병사단 사령부 자리라고 한다. [5] 일단 신축 공사 중 종교시설에 '노도성당' 명칭이 붙은 것이 확인되어 상징명칭을 그대로 쓰는 것은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