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1 16:02:05

정지윤(조선)

鄭芝潤
1808년( 순조 8) ~ 1858년( 철종 9)

1. 개요2. 일생
2.1. 관련 문서
3.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조선 후기의 시인, 역관. 본관은 동래(東萊)[1], 자는 경안(景顔), 호는 하원(夏園).

보통 정수동(鄭壽銅)으로 알려진 인물이다.[2] 관직은 사역원 판관(司譯院判官:종5품)에 이르렀다.

2. 일생

1808년(순조 8) 아버지 정문도(鄭文度, 1787 ~ ?)와 어머니 경주 최씨 최국정(崔國禎, 1755 ~ ?)의 딸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형제로 정동윤(鄭東潤)이 있었으며 마찬가지로 사역원 관원으로 일했다.

아버지 정문도는 1809년(순조 9) 증광시 역과에 3등 8위로 입격하고 사역원 봉사(司譯院奉事:종8품)를 지냈으며, 조부 정섬(鄭暹, 1772 ~ ?)은 1790년( 정조 14) 증광시 의과에 3등 3위로 입격하고 내의원 정(內醫院正:정3품)을 지냈다. 증조부 정사옥(鄭思鈺, 1744 ~ ?)은 1774년( 영조 50) 식년시 역과에 3등 8위로 입격하고 사역원 첨정(僉正:종4품)을 역임했다. 외조부 최국정은 1777년(정조 1) 식년시 역과에 3등 8위로 입격하고 가선대부(嘉善大夫:종2품 문·무관의 품계) 왜학 교회(敎誨), 왜학 총민(聰敏)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태어날 때 손바닥에 목숨 수(壽)자가 쓰여져 있었고, 한서에 있는 지생동지(芝生銅池 - 영지버섯은 구리로 만든 물받이에서 자란다.)에서 銅자를 따와 호를 '수동(壽銅)'이라고 했다. 어릴때부터 총명하여 글을 한 번 보면 그 이치를 모두 깨달았으며, 재치가 있는 성격이었다. 하지만 세도정치 하에서 주요한 벼슬을 얻을 길이 없자 그저 당대의 부패한 관리들을 비꼬고 조롱하며, 풍자와 해학으로 일생을 보낸 인물이다. 사실 세도가들이 많이 밀어주었는데 벼슬을 사양한 탓도 있다. 그러나 아래 일화들로 보아 세도가들과는 개인적으론 친밀한 관계였지 싶다. 그래서 다른 해학가들과 달리 정수동 설화의 특징이라면 유난히 권세가들이 많이 나온다는 점이다. 시류에 영합하진 않았지만 세도가들 집에 자주 기웃거리는 것으로 보아 일종의 식객 정도의 위치로 추정된다. 지금으로 치면 레크리에이션, 기업체 유머 강사같은 포지션으로 높으신 분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서 썰 한번 풀고 두둑한 강연료로 먹고 살았다고 보면 된다.

조두순이 참봉 자리를 주어 9개월간 벼슬살이를 했다가 그 자리를 팽개치고 달아나 버린 후 진고개에서 평생을 살았다. 그래도 세도가들이 이것저것 물품 지원도 해주어서 딱히 배곯고 살진 않았다.

오성과 한음만큼이나 재미있는 일화가 많으며 사실 오성과 한음 이야기 중에는 그에게서 넘어온 이야기가 많고 일부 유머는 그의 이야기를 각색한 게 많다.
"죽는 기분 말인가? 처음 죽어보는 거라 잘 모르겠군. 내 죽은 다음에 다시 말해주지."
그가 유언으로 남긴 말이다.

2.1. 관련 문서

3. 대중 매체에서



[1] # [2] 조선 후기 경상도 경주부(현 경상북도 경주시)에 살았던 정만서(鄭萬瑞, 본명 정용서鄭容瑞, 1836 ~ ?)와는 서로 다른 인물인데, 두 사람 모두 동래 정씨이고 골계(해학, 풍자)에 능했으며 전국을 방랑한 개화기 때 사람이란 공통점으로 자주 혼동된다. # 정만서 설화 또한 비슷한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봉이 김선달 설화에도 많이 차용되곤 한다. [3] 출산 전후의 여러 질환을 다스리며, 태반을 줄어들게 하여 아기를 쉽게 낳도록 한다. 천궁(川芎), 당귀(當歸)를 쓴다. [4] 말 그대로 가난이라기 보다는 상대적 가난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정수동의 직업 특성상 생활비라는 것이 고관대작들의 마음에 달린 것이라 당장의 생활비는 부족하지 않아도 큰 돈 쓸 여유는 없었을 것이다 [5] 아이의 죽음을 곡하며 哭兒 언제나 집안 살림 계책 끝도 없어 無限他時門戶計 하루아침 떠나니 험한 언덕에 묻네 一朝携去付荒厓 네 아비 평생 술이나 마시고 다녔더니 爾爺荷鍤平生事 그래도 사람으로 시신 묻는 건 못 봤네 尙得人間未見埋 비단 한 조각 없이 네 몸을 감싸니 寸錦曾無裹汝肌 아플 때 약에 얼룩진 옷에 눈물이 주루룩 淚痕藥跡病時衣 열 살 급살에 가난한 집 자식이라 十年慟煞貧家子 저승서 남루하다 돌려 보내진 않을까 復使壤泉藍縷歸 총명하진 못해도 모자라진 않았는데 未必聰明勝闒茸 어찌 우둔한 내게 보내 기쁘게 했을까 何嘗喜汝就冬烘 어렵사리 글자 깨쳐 무슨 소용 있는가 辛勤識字將何用 벽 위 삐뚤삐뚤 부질없이 남아 있네 空有塗鴉壁上蹤 [6] 밴댕이나 반지를 소어(蘇魚)라고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