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3 18:47:46

7차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전통 윤리

전통 윤리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7차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이 계승한 다음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생활과 윤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볼.svg 이 과목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에서 수능(및 모의평가) 출제 범위로 정한 시험에 관하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사회탐구 영역/윤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도덕과 과목 ('02~'10 高1)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0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심화 선택
■ 이전 교육과정: 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윤리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2011 각론 수정)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04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6차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05학년도 ~
2011학년도
정치 · 법과 사회· 경제 · 사회·문화 · 국사 · 한국 근·현대사 · 세계사 · 세계 지리 · 한국 지리 · 경제 지리 · 윤리(윤리와 사상, 전통윤리) 중 4택
2012학년도 ~
2013학년도
정치 · 법과 사회· 경제 · 사회·문화 · 국사 · 한국 근·현대사 · 세계사 · 세계 지리 · 한국 지리 · 경제 지리 · 윤리(윤리와 사상, 전통윤리) 중 3택
2014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



1. 개요2. 목표3. 영역별 내용
3.1. 전통 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3.2. 개인과 가족의 가치 있는 삶3.3. 친족․이웃․교우(交友) 관계와 바람직한 삶3.4.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4. 교수ㆍ학습 방법5. 평가

1. 개요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고등 학교 2, 3학년 대상 심화 선택 과목인 '전통 윤리'는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조상들의 윤리적 삶을 현대적 시각에서 재음미하여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바람직한 윤리적 인식과 자세를 보다 확고히 정립하게 하려는 과목이다. 따라서, '전통 윤리'는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조상들이 지켜 온 전통 윤리의 기본 정신과 내용, 그리고 그 현대적 의미와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식하여, 자신과 가족에게 가치 있는 삶, 친족․이웃․교우 관계에서의 바람직한 삶, 국가, 사회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의 자세를 기르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 윤리'는 새 교육 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으로 강조되고 있는 인성 교육, 그리고 사회ㆍ국가적 차원에서 중시되고 있는 예절 교육과 민족 정체성 교육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전통 윤리'는 학생들이 우리 민족의 유구한 윤리적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여 민족 주체성을 지닌 미래 지향의 도덕적이고 창조적인 한국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과목이다. '전통 윤리'의 학문적 배경은 우리 민족의 전통 윤리 사상 등을 탐구하는 넓은 의미의 다학문적인 한국학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그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면, 우리 조상들이 자기 자신, 가족, 이웃, 사회, 국가 생활 영역 등의 구체적인 삶의 장면에서 실천했던 핵심적인 가치와 규범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 윤리는 학생들로 하여금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도덕'과 고등 학교 일반 선택 과목인 '시민 윤리'에서 배운 기초적인 전통 윤리를 토대로 하여, 전통 윤리의 기본 정신과 규범에 대한 근원적인 인식을 심화시킴으로써, 바람직한 전통 윤리를 실천하도록 하는 데 강조점을 둔다.

2. 목표

우리 조상들이 실천했던 윤리적 삶의 기본 정신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이를 실제 생활에 적용, 실천할 수 있다.
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전통 윤리의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그 본질과 기본 이론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전통 윤리를 오늘날의 실제 생활 속에서 계승하려는 자세를 지닌다.
나. 전통 윤리에 나타난 개인․가족 생활에서의 윤리적 규범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오늘날의 실제 생활에 적용, 실천하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다. 전통 윤리에 나타난 친족, 이웃, 교우 관계에서의 윤리적 규범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오늘날의 실제 생활에 적용, 실천하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라. 전통 윤리에 나타난 국가, 사회에서의 윤리적 규범과 자연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오늘날의 실제 생활에 적용, 실천하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3. 영역별 내용

3.1. 전통 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전통 윤리의 의미와 중요성
전통 윤리의 의미와 전통 윤리를 강조하는 것이 오늘날의 흐름임을 인식하고, 청소년의 삶에 있어서 전통 윤리가 중요함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① 전통 윤리의 의미
② 전통 윤리를 강조하는 세계적 흐름
③ 청소년기의 삶에 있어서 전통 윤리의 중요성
㈏ 전통 윤리의 본질과 기본 이론
전통 윤리의 형성 배경이 된 윤리 사상들의 주요 특징과 그 기본 이론들을 이해할 수 있다.
① 전통 윤리의 사상적 배경(원시 신앙, 유․불․도)
② 전통 윤리의 우주와 생명에 대한 이론
③ 전통 윤리의 인간 본성과 인간 관계에 대한 이론
㈐ 전통 윤리의 현대적 계승
현대 사회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전통 윤리의 보편성을 파악하고, 전통 윤리를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한 자세를 지닌다.
① 현대 사회에서의 전통 윤리의 위상
② 전통 윤리의 보편성
③ 전통 윤리의 바람직한 계승과 현대적 적용

3.2. 개인과 가족의 가치 있는 삶

㈎ 인격 도야와 수신(修身)
전통 윤리에 나타난 개인 생활에서의 윤리적 규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인격 완성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지닌다.
① 천지의 도(道)와 인간의 덕(德)
② 자아 성찰과 수행(修行)
③ 극기복례(克己復禮)를 통한 인격 수양
㈏ 부모․조상 공경과 효친
전통 윤리에 나타난 효의 기본 정신을 바르게 파악하여. 부모님에 대한 효를 실천하고 조상을 공경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① 효의 기본 정신
② 효의 실천 자세
③ 조상 섬김의 전통과 그 현대적 의미
㈐ 부부․형제 자매 관계와 사랑
전통 윤리에 나타난 남녀․부부․형제 자매 관계에 관한 윤리의 내용을 파악하여, 오늘날의 올바른 남녀․부부․형제 자매 관계 윤리를 정립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지닌다.
① 음양(陰陽) 원리와 이성(異姓)
② 부부 관계와 사랑
③ 형제 자매 관계와 우애

3.3. 친족․이웃․교우(交友) 관계와 바람직한 삶

㈎ 친족․이웃관계와 화목
친족, 이웃 사람에 대한 전통 예절의 기본 정신과 내용을 파악하여, 어른과 노인을 공경하며 이웃 사람을 사랑하고 아끼는 태도를 지닌다.
① 친족 간의 예절
② 어른과 노인 공경 전통
③ 이웃 생활에서 경애(敬愛)와 자비(慈悲)
㈏ 교우(交友) 관계와 신의, 순결
전통 윤리에서 나타난 교우 관계의 기본 정신과 내용을 파악하여, 신의와 권면을 중시하고 남녀 관계에서 순결을 지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① 친구 간의 믿음
② 친구 간의 의리(義理)와 권면(勸勉)
③ 남녀 관계와 순결
㈐ 관혼상제(冠婚喪祭)와 예절
전통 사회에서의 관혼상제와 일상 생활 예절의 기본 정신과 내용을 파악하고, 오늘날 이를 실천하려는 자세를 지닌다.
① 관례, 혼례
② 상례, 제례
③ 일상 생활 예절(인사, 의․식․주 예절)

3.4.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국가 생활과 국민의 도리
전통 정치 사상에서 나타난 국민의 위치와 도리를 올바르게 이해하여, 오늘날의 바람직한 국민의 자세를 확립한다.
① 민본 사상과 위민 정신(爲民精神)
② 충성과 호국 정신
③ 봉공(奉公)과 청백리 정신(淸白吏精神)
㈏ 사회 생활과 정명 정신(正名精神)
전통 사회에서의 강조된 선비 정신, 장인 정신, 협동 정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 올바른 자세를 확립한다.
① 의리, 검약과 선비 정신
② 근로와 장인 정신(匠人精神)
③ 공동체 의식과 협동 정신
㈐ 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 아닌 삶의 동반자로 보았던 우리 조상들의 자연관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오늘날 삶에 적용, 실천하려는 자세를 지닌다.
① 전통적 자연관과 기본 정신
② 서구적 자연관과 환경 문제
③ 자연과 인간의 조화

4. 교수ㆍ학습 방법

(1) 󰡐전통 윤리󰡑에서는 전통 윤리의 현대적 의의를 잘 부각시켜 학생들의 실천 의욕과 행동 성향을 북돋워 줄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2) 전통 윤리의 내용과 기본 정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생활에서의 실천에 초점을 두어 지도하되, 학생들의 자발적 탐구 과정을 중시하는 교수․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한다.
(3) 학생들이 전통 윤리를 배우는 것이 과거 지향적이고 복고적인 사항이 아니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전통 윤리의 우수한 측면, 전통 윤리의 세계성과 현재성 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4) 󰡐전통 윤리󰡑에서는 감동 감화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풍부하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5) 옛 성현들의 가르침 중에서 고등 학생 수준에 알맞은 원문(原文)을 발췌하여 그 의미와 정신을 학생들로 하여금 공동 탐구 과정을 통해 이해하게 하는 강독 또는 윤독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오늘날 민주 사회에서의 시민 윤리와 대립, 갈등의 소지가 있는 전통 윤리의 덕목이나 규범들에 대하여 다룰 때에는 학생들이 그 기본 정신과 의미를 현대적 상황에 맞추어 해석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 주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7) 󰡐전통 윤리󰡑에 대한 현장감이나 실재성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학습법이나 체험 학습법 등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8) 시디타이틀(CD-title) 자료 이용 등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다.

5. 평가

(1) 󰡐전통 윤리󰡑에서의 평가는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목표들을 준거로 하여 추출된 평가 요소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평가가 되어야 한다.
(2)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전통 윤리에 관한 용어, 원리, 학설 등의 이해 정도를 측정하되, 고전 원문에 담겨진 윤리적 의미와 정신의 이해 정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지적 기능 영역에서의 평가는 학습된 지식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이나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3)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전통 윤리에 대한 도덕적 열정성, 도덕적 사태에 해한 민감성, 전통 윤리적 관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성 등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둔다.
(4) 단순한 지필 평가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실천 의지와 행동 성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운 점을 유념하여 관찰법, 면담법, 질문지법, 자유 반응식 논술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