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09:08:44

전북 왕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북 현대 모터스/역사
, 왕조(스포츠)
,
,
,


파일:K리그 로고(흰색).svg K리그 역대 왕조팀
★★★
1993~1995
파일:일화 천마 엠블럼 (1989~1999).svg 일화 천마
★★★
2001~2003
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 성남 일화 천마
★★★★★
2017~2021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전북 왕조)
K리그1 기록만 서술하며, 왕조를 달성한 당시 구단명과 엠블럼으로 서술함
다른 틀 둘러보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팀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팀 ·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팀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모기업 파일:현대자동차 와이드 로고.svg 현대자동차
연고지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파일:전라북도 구 무자 휘장(1997-2009).jpg 파일:전라북도 휘장.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구단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6~2012).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13~2017).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B
유소년 18세 이하 파일:전주영생고등학교 휘장.jpg 전주영생고등학교15세 이하 파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 교표.jpg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금산중학교12세 이하 전북 현대 모터스 U-12, 전북 현대 모터스 U-10, 전북 현대 모터스 U-8유소년 축구 교실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그린스쿨.png 그린스쿨
유니폼 역대 유니폼
주요 인물 현재 선수단구단주 정의선감독 단장 이도현테크니컬 디렉터 박지성테크니컬 어드바이저 로베르토 디 마테오주장 김진수장내 아나운서 이정표
역대 역대 감독 역대 주장 역대 부주장 프랜차이즈 선수영구 결번
12
매드 그린 보이즈,
20
이동국
시설 관련 문서 홈구장 1군 현재 전주월드컵경기장이전 전주종합경기장, 익산종합운동장
2군 현재 완주공설운동장이전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클럽 하우스 성년 율소리 클럽하우스
유소년 율소리 유소년 클럽하우스(예정)
역사 전북 현대 모터스 이전 파일:완산푸마_복구.png 완산 푸마 시기파일:전북 버팔로 휘장.png 전북 버팔로 시기파일:전북 다이노스(1995).png 전북 다이노스 시기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1997~1998).png 파일:전북 현대 다이노스 엠블럼(1999).svg 전북 현대 다이노스 시기
시즌별 일람 역대 시즌 역대 ACL 성적 | 전북 왕조
K리그1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파일:K리그 트로피 아이콘.svg
2009 2011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
FA컵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2000 2003 2005 2020 2022
슈퍼컵
파일:attachment/Korean_Super_cup_trophy.jpg
2004
AFC 챔피언스 리그
파일:ACL 트로피.svg 파일:ACL 트로피.svg
2006 2016
현재 시즌 2024(1군) 2024(2군)
팬덤 관련 문서 팬덤 규모와 인기
응원 응원가서포터즈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매드 그린 보이즈 휘장.jpg 매드 그린 보이즈
팬 커뮤니티 파일:에버그린 로고.png 에버그린 전북 현대 모터스 마이너 갤러리 아이러브전북사커
라이벌전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현대家 더비 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전설매치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공성전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호남 더비
기록 관련 기록 역대 인물 역대 선수단 역대 등번호
논란 사건·사고 매북
기타 닥치고 공격 닥공매거진 초록이네 날개 마니아 판타스틱 포 우승 기념물 마스코트 리그 5연패의 서막(171029)| 왕조의 위엄(181020)| 전주·울산의 기적(191201) 문수의 기적(201025)| 전주의 기적(211106)
틀 문서
역대 시즌 B팀 역대 시즌 역대 감독 B팀 역대 감독 역대 단장 역대 주장 B팀 역대 주장 역대 장내 아나운서 영구 결번 스태프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등록 선수 B팀 등록 선수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Stand Up for Another
}}}}}}}}} ||


1. 개요2. 역사
2.1. 왕조 이전
2.1.1. 2014년2.1.2. 2015년2.1.3. 2016년
2.1.3.1. 심판 매수 적발과 승점 삭감으로 인한 준우승
2.2. 2017년2.3. 2018년2.4. 2019년2.5. 2020년2.6. 2021년2.7. 왕조 이후

1. 개요

파일:instasaved-10-12-2021.jpg
파일:instasaved-10-12-2021 (1).jpg
K리그1 최초의 5연패를 이룬 K리그1 2021 시즌 우승 당시 기념사진

K리그 소속 프로 축구단인 전북 현대 모터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연속 K리그1 우승을 달성했던 시기. 보통 심판 매수 사건 적발로 인해 준우승을 차지하고 3-peat에 실패한 2016년 다음 시즌, 5연속 우승의 시작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를 뜻하지만, 사건 이전인 2014년과 2015년, 사건이 적발된 2016년 또한 왕조 시기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가장 길게 잡으면 아예 첫 우승을 차지한 2009년부터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전북 현대 모터스는 원래 중하위권을 전전하는 대대강광 다음가는 K리그를 대표하는 약팀이었으나, 2005년 최강희 감독의 부임 이후 FA컵 AFC 챔피언스 리그를 우승하는 이변을 일으켰고, 2009년 창단 첫 K리그 우승을 시작으로 2022년 준우승을 차지할 때까지 13년간 단 한 번도 3위 이하로 시즌을 마감한 적이 없었으며, 2014년부터 2021년까지 2016년 심판 매수 사건이 적발되어 승점이 삭감되며 준우승으로 시즌을 마감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시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왕조를 이루었고, 동시에 리그의 신흥 강호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전북은 상술한 심판 매수 사건이 적발되고, 2018년 최강희 감독을 떠나보내면서 어려운 순간들을 맞이하기도 했었으나, 그럼에도 전북은 끄떡하지도 않고 8년간 전성기를 보내면서 K리그와 코리아컵 최다 우승 신기록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2. 역사

2.1. 왕조 이전

2.1.1. 2014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3성)_로고.svg

2.1.2. 2015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4성)_로고.svg

2.1.3. 2016년

2.1.3.1. 심판 매수 적발과 승점 삭감으로 인한 준우승

2.2. 2017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5성)로고.svg

2.3. 2018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6성)로고.svg

2.4. 2019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7성)로고.svg

2.5. 2020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8성)로고.svg

2.6. 2021년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9성)로고.svg

2.7. 왕조 이후

이후 2022 시즌은 울산 현대에게 리그 우승을 내주며 6년 연속 우승은 실패했지만, FA컵 결승에서 FC 서울을 상대로 우승함으로서 9년 연속 시즌 유관을 계속 이어나갔다.

하지만 2023 시즌 리그 우승컵을 되찾기 위해 야심찬 영입을 했음에도 김상식 감독과 허병길 단장의 무능함에 시즌 초 리그 순위가 강등권에 처박히고 허병길 단장과 김상식 감독을 교체하는 우여곡절을 겪는 와중에 리그 순위 4위로 ACL 엘리트 진출도 실패하고 FA컵 마저 포항에게 우승컵을 내주며 10년만에 시즌 무관을 기록한다.

그리고 23시즌 중반 교체한 단 페트레스쿠 감독과 함께 인천에서 에르난데스, 대전에서 23시즌 득점2위 티아고를 영입하는 등 절치부심하며 24시즌을 맞이했으나, 23시즌 김상식의 후임으로 선임된 단 페트레스쿠마저 별 다를게 없는 전술능력을 보여주며 시즌 초 성적부진의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해버렸고 김상식 감독 시절 코치를 맡던 김두현으로 감독이 또 교체되었다. 그 와중에 FA컵은 16강 조기 탈락, 23-24 ACL은 울산에게 덜미를 잡혀 8강에서 탈락한걸로 모자라 클럽월드컵 진출까지 실패했고 김두현 감독마저 경험부족을 드러내며 18라운드까지 진행된 리그는 꼴지를 겪는 수모를 당하며 불과 2년전까지 리그를 호령하던 왕조팀이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의 급격한 추락을 겪고 있다. 왕조를 겪은 후 급격한 추락을 겪고있다는 점에서 프로야구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와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