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東學農民革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700> 배경 | <colbgcolor=#fff,#191919> 삼정의 문란 · 동학 · 만석보 · 아편전쟁 · 청불전쟁 | |
전개 | 장성 황룡촌 전투 · 전주 화약 · 갑오사변 · 갑오개혁 · 청일전쟁 · 우금치 전투 | ||
관련 인물 | <colbgcolor=#94153e> 농민군 | 전봉준 · 김개남 · 손화중 · 최시형 · 손병희 · 김창수 | |
조선 | 고종 · 조병갑 · 이용태 · 홍계훈 | ||
기타 인물 | 이홍장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오시마 요시마사 | ||
기타 | 사발통문 · 파랑새 · 갑오군정실기 | }}}}}}}}} |
장성 황룡촌 전투 長城 黃龍村 戰鬪 |
||
|
||
시기 | ||
1894년 음력 4월 22일 ~ 4월 23일 | ||
장소 | ||
조선 전라도 장성군 황룡면 월평리 | ||
교전 단체 | 조선 관군 | 동학 농민군 |
지휘관 |
홍계훈 이학승 † |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
병력 | 친군심영 300명 | 6,000~7,000명 |
피해 | 100여 명 | 50여 명 |
결과 | ||
동학 농민군의 승리 |
1. 개요
장성 황룡 전적 |
2. 전투 상황
1894년 3월 봉기 이후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군[1]이 황토현에서 영관 이경호가 이끌던 감영군을 격퇴한 후, 전라도에서 전국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자 이러한 사태에 다급함을 느낀 조선 조정은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삼아 이를 진압하게 하였다. 홍계훈은 한성부를 지키던 장위영의 신식 병력들과 강화도의 신병들을 규합한 정예부대인 경군 1,000명 중 약 8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인천 제물포를 출발해 서해를 돌아 전라도 군산에 상륙하여 금구를 거쳐 남하한다. 당시 이들의 병력은 독일 제국에서 수입한 크루프사의 야포와 마우저 소총, 회선포[2] 2문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실력있는 청나라 용병 10여 명까지 보유한 강력한 부대였다.4월 5일 홍계훈의 부대가 전주성에 입성하였고, 화력에서 열세인 동학군은 전주성 공략을 뒤로 미루고 관군을 피해 남쪽으로 퇴각하면서 정읍, 고창, 흥덕 등을 장악한 후, 관군의 전력을 자세히 분석한 전봉준은 동학군에게 전면전을 피하고 부대를 나누어 북상하라고 지시했다.
관군은 4월 18일경에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아마 홍계훈은 동학군을 과소평가하고 여유롭게 진군했던 것 같았지만, 동학군은 이미 전봉준의 지시대로 관군의 진격 루트를 피해 장성까지 북상한 뒤였다. 장성에 도착한 동학군은 삼봉에 진을 쳤다. 자신이 동학군의 유인작전에 말려든 것을 알게 된 홍계훈은 장위영 대관(壯衛營 隊官) 이학승에게 친군심영(親軍沁營)[3] 병력 300명을 주어 장성으로 진격하게 하였다.
심영 병력은 300명뿐이었지만 정규 훈련을 받은 정예군이었고 레밍턴 롤링블럭 소총과 회선포까지 갖추고 있었기에 동학군으로선 무시할 수 없는 병력이었다. 이학승은 삼봉과 마주하고 있는 황룡강 근처에 진을 치고 동학군을 회유하는 서신을 동학군 측으로 보냈다. 그런데 이학승은 그 답이 오기도 전에 동학군에게 선제 공격을 가했다. 심영병들은 장터에서 점심을 먹고 있던 동학군을 향해 크루프 야포로 포격을 가했고, 갑작스런 공격에 동학군 여럿이 죽거나 다쳤다.
전봉준은 즉시 고지로 올라가 학익진을 펼치라 명령하고, 관군의 움직임을 살폈다. 그런데 관군의 수는 불과 수백 명뿐이었고, 후방에 지원부대도 전혀 없는 것을 보자, 전봉준은 한번 싸워볼 만하다고 판단했다. 문제는 관군의 신식 무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였다.
전북 정읍 동학 농민 운동 기념관에 전시된 장태 |
이 전투에서 후방에 남은 이학승은 백병전 중 전사하고, 동학군은 심영병이 보유했던 레밍턴 소총 다수와 크루프 야포 1문과 회선포 1문을 노획하는 전과를 세웠다.
3. 전투 이후
줄루 전쟁때 이산들와나 전투와 양상이 비슷하다. 소수의 근대 병력이 다수의 전근대 병력에게 공세를 취했다가 인해전술과 지리적 열세로 인해 패배했다.[4] 지휘관 이학승은 용맹도 있고, 지휘관으로서 소신도 있었으나 실전경험이 부족해 실책을 범했다. 관군 입장에선 화력이 앞서지만 수적으로 열세였기에 방어태세로 시간을 버는 편이 유리했지만, 이학승은 15배가 넘는 동학군에 공세를 취했고, 고지에서 장태를 굴려 화력을 상쇄하는 동학군의 계책에 당해 무너졌다.이 전투 이후 동학군의 사기는 크게 올라갔으며, 반대로 관군은 큰 손실을 입고 동학군의 전력만 강화시켜준 결과를 초래했다.
증좌승지이공학승순의비(贈左承旨李公學承殉義碑) |
월평에 전사한 장위영 대관 이학승을 기념하는 순의비가 서있다. 이학승은 죽은 후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通政大夫 承政院 左承旨)로 추증되었다. 이학승은 철수하던 관군의 최후미에서 철수작전을 감독하면서 동학군과 교전하다 전사한다.
전투 지역 인근인 황룡면 장산리에는 이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동학농민기념공원이 조성됐다.
4. 창작물
SBS 드라마 녹두꽃 16화에서 다루었다. OST와 함께 나름 비장하게 그려지긴 했는데, 고증에서나 연출에서나 여러모로 아쉬웠다.
일단 관군이 게베어 1871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왔는데 당시 게베어는 중앙의 친군영이 주로 사용했으며, 동학군 진압을 위해 나선 심영병들은 레밍턴 롤링블럭을 주력으로 사용했다.
전투 상황의 묘사에 있어서도 사실과 다른 점이 너무 많다. 드라마에서는 동학군과 심영병들이 평탄한 강변에서 맞붙는 것으로 묘사하였으나, 전술했듯이 실제로는 동학군이 고지를 차지한 상태에서 심영병들이 위로 진격하면서 전투가 일어났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저런 평지에서 장태를 굴려 봐야 제대로 된 돌격이 될 리도 없으며, 관군의 소총 사격에 장태가 관통되는 묘사도 있어서 이럴거면 뭐하러 장태를 굴리는지 의문이 들 정도.
거지떼가 크루프 야포 포신에 물을 부어 무력화시키는 것도 실제와는 다른 야사를 따른 것이며, 그 묘사도 다소 어설프고 작위적이다.[5]
무엇보다도 당시 관군 지휘관은 장위영 대관이었던 이학승이었지 양호초토사 홍계훈이 아니었다. 게다가 이학승이 먼저 도망치는데, 실제 이학승은 제일 후미에 남아 마지막까지 싸우다 전사했다. 명량의 배설 매국노 만들기도 그렇지만, 극본작가의 수준이 미달일 경우 캐릭터들을 입체적으로 만들 역량이 없어, 특정 캐릭터에 선한 면 악한 면을 모조리 몰아넣는 평면화 패턴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도 다르지 않았던 것.
[1]
호남 창의군.
[2]
조선군이
개틀링 기관총을 일컫던 말.
[3]
강화도에 위치하던 친군영(親軍營).
[4]
덤으로 영국군은 당시 줄루 제국에 반발하던 여러 흑인 부족들의 적극적 지원을 받았음에도 이들이 같은 흑인끼리 손잡고 덤빌까봐 믿지 못해 불리한 상황에서도 돕던 이들이 총기를 달라고 하는 걸 거부했다가 더 당했다. 나중에는 흑인들도 백인처럼 같이 전쟁 치러서 흑인끼리 다 친하게 지내는 걸 느끼며 총기를 대거 제공하면서 다른 전투에선 물량, 장비로 앞선 영국군이 지리적과 온갖 현지 정보를 이들 다른 흑인민족 도움을 받자 이후론 줄루 제국군을 아주 학살했다.
[5]
현지에 전해지는 야사에 따르면 관군에게 징발되어 밥을 짓던 할머니가 몰래 대포에 물을 부어 고장을 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