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8 19:29:27

장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백출(원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aduk_test3.png 바둑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5ae59><colcolor=#000> 규칙 국가별 룰, 초읽기, 접바둑, , 착수금지
형태 , , 행마, 장생, 자충, , 촉촉수, 장문, 후절수, 환격
대국 흐름 포석, 정석, 끝내기, 계가, 복기, 기보
수읽기 먹여치기, 사활, 수상전, 수나누기, 교환, 맞보기
도구 바둑판, 바둑돌, 인공지능
사람 및 기관 바둑 기사, 품계, 기원, 한국기원, 대한바둑협회, 일본기원, 관서기원, 중국기원, 바둑 기전
기타 용어, 격언,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파일:attachment/15151.png
2013년 6월 29일 한국바둑리그에서 나온 장생.

1. 개요2. 발생 원리3. 규정4. 반응5. 사례6. 그 외 창작물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장생()은 바둑 용어로 사활에서 가 아닌데 같은 모양이 계속 반복되는 형태를 말한다.

위 설명과 별도로 전근대 중국에서 편찬된 현현기경()이라는 아주 유명한 바둑책이 있다. 책의 내용은 사활 문제를 다룬 것으로 이 중에 장생세(長生)라는 문제가 있다. 장생의 기원은 이 문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어원은 아마 불로장생에서 온 것으로 추측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중국의 장생전(長生 殿)에서 치러진 대국에서 이와 같은 형태가 나와 붙인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2. 발생 원리

파일:attachment/151511.png

첫 번째 그림에서 흑이 살기 위해서는 a에 두어 백△를 따내야 한다. 그러나 백이 b에 두면 오궁도화로 잡히게 된다. 그래서 두 번째 그림처럼 오궁도화를 방지하기 위해 1로 먹여치고, 백은 손을 뺐다가는 왼쪽 백 넉 점이 잡히면서 흑이 살아 버리므로 2로 따낸다. 그 다음 세 번째 그림처럼 이번에는 흑이 손을 뺐다가는 단수에 걸린 흑 여섯 점을 잡아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흑3으로 백 두 점을 따낸다. 그 다음에 마지막 그림으로 백4에 먹여쳐 버리면 가 아닌데 끊임없는 동형반복이 나오므로 장생 무승부가 된다.[1]

3. 규정

한국 규칙에서는 무승부가 된다. 장생의 형태가 발생했을 때 두 대국자 중 어느 한 쪽의 포기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주심과 입회인의 합의로 무승부 처리를 한다. 입회인이 없으면 주심이 바로 무승부 선언을 하기도 한다. 제도까지 만들어가며 무승부를 방지하는 바둑에서 무승부가 나오는 몇 안 되는 사례다.

응씨배에서는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려고 장생이나 삼패도 패의 일종으로 취급해서 한 바퀴 더 돌리고 싶으면 팻감을 써야 하는 것이 규칙이다. 즉, 동형반복이 되려면 무조건 팻감을 써야 하므로 무승부가 없다. 다만 실제로 응씨배에서 장생이나 삼패가 등장한 경우는 전무하다.

4. 반응

우칭위안 九단의 회고록에서 " 장생은 백만판을 둔다고 해도 나타나기 어렵다. 만약 생긴다면 경사스러운 일로 팥밥을 지어 축하해야 할 일"이라고 할 정도로 바둑계에서는 장생을 길조로 여긴다. 장생이 발생하면 두 대국자는 무병장수하고[2] 바둑을 좋아하는 그 나라 사람들에게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아마 그래서인지 천 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희귀하기 때문에 장생을 예외적으로 무승부로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응씨배처럼 장생과 삼패를 패의 형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3] 물론 바로 무승부를 시키는 것 보다는 이게 더 합리적인 면이 있기는 하지만 장생의 형태 자체가 매우 드문 만큼 아직은 무승부로 규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5. 사례

파일:558812f80f7967d9a83fd.jpg

6. 그 외 창작물

7. 관련 문서



[1] 자꾸 먹여치기가 나오다 보니 장생을 자살라고도 한다. 참고로 바둑에서는 '죽이다'를 '버리다'와 비슷한 뜻(사석 작전)으로 쓴다. [2]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정말로 1993년에 장생을 만든 린하이펑 九단과 고마쓰 히데키 八단(당시)은 큰 병 없이 건강하게 2023년 현재까지 현역 바둑 기사로 잘 활동하고 있다. [3] 즉, 팻감을 써야 사이클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