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00:25:22

일은포

1. 개요2. 과정3. 결과4. 사건의 전말 분석5. 그 외 이야기

[clearfix]

1. 개요

2003년에 일본 정부와 전 세계 헤지펀드들이 일본의 외환 보유고를 두고 벌인 환율 공방전. 일본은행이 이 당시 외환시장에 돈을 퍼부은 게 마치 대포를 쏘는 것 같다고 해서 일은포 사건이라고 불렸다.

2. 과정

3. 결과

그렇게 근 1년[6] 동안 30조 엔(!), 당시 한화로 300조+α[7] 원 가량 되는 자금을 투입하여 환율을 방어하는 데 성공한 건 물론이고, 디플레이션까지 완화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

결국, 겁도 없이 일본 정부에 덤볐던 헤지펀드들은 대부분 극악의 손실을 기록한 건 기본이었고, 심각한 경우에는 도산을 면치 못했다.[8]

4. 사건의 전말 분석

처음부터 게임이 될 수 없었다. 이전 영국이나 아시아 신흥국을 무너뜨린 외환시장 공격과 반대로, 일본의 경우는 헤지펀드들이 엔화를 매입하는 공격이었으므로 이에 대항하는 일본의 실탄은 자국 화폐인 엔화였다. 일본 정부는 만기가 빠른 미국 채권을 일본은행에 팔아 엔화를 모은 다음, 달러를 사들여 채권을 국고에 반환하고, 다시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을 팔아 엔화를 모아 시장에 풀고 전술한 과정대로 채권을 반환하면 되는 사이클대로 움직이면 그만이었다. 결론적으로는 일본은행이 시장의 미국 국채를 엔화를 찍어내 사들이는 셈인데, 일본은행이 엔화를 못 찍어낼 리가 있겠는가? 게다가 일본 정부는 해당 포지션에 대한 단일 주체였기 때문에 자신의 방침을 끝까지 밀어붙이기 쉬웠다.

반면 헤지펀드들은 비록 겉보기에는 수조 달러 규모의 공룡 같아 보였지만 실상은 수백 개가 넘는 조직들이 각자의 방침에 따라 운용하는 합체로봇과 같은 상태였기 때문에 하나씩 뭔가 아니다 싶어 빠지기 시작하면 모래성처럼 무너질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물론 일본 정부 측 포지션도 위험이 없는 건 아니어서, 일본은행이 달러 채권을 사들이기 위해 엔화를 무한정으로 찍다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견디지 못해 항복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하필 일본은 장기 디플레이션으로 신음하고 있었고, 활로가 될 만한 수출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엔고를 타개할 필요도 있었던 상황이었는데 마침 헤지펀드들이 달려들어준 것이다. 일본 정부는 헤지펀드를 상대로 싸우면서 디플레이션도 해소하고 환율도 올리는 일석이조의 꿀을 빠는 상황이 되었으니 물러설 이유조차 사라져버렸다.

일본은 고베 대지진 조지 소로스의 공격으로 엄청난 손해를 보고 수출 기업이 줄줄이 적자를 본 사건이 있었다. 이 때 타격을 맞은 기업들이 후지츠 파이오니아 등 쟁쟁한 거대 기업들이었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이를 바득바득 갈았다.

일본은 이 때를 기준으로 헤지펀드에게 털리면서 학습효과로 인한 경험치가 축적됐기 때문에 헤지펀드의 공세를 초장부터 박살내야 막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고 이를 과감히 실행에 옮겼다. 더 과거로 가자면 근대화 시기에 일본은화의 은함량 차이를 이용한 서양의 환치기로 에도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 막부가 휘청거렸던 경험도 적극적 대응에 나선 계기가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5. 그 외 이야기

일은포의 외환 개입 자체는 실패했다는 시각도 있다. 일본 재무성에서 목표로 걸었던 1달러당 100엔은 결국 사수했지만 일본이 개입을 중단했다고 얘기했던 2004년 3월 이후 생각만큼 환율이 안정되지 않아서 2004년 11월에는 102엔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는 한참 공격과 방어가 오가던 그 기간 중 105엔보다 더 낮은 것이다. 20년 그래프를 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환율 방어는 정부 개입의 효과가 의외로 낮은 게 아닌가 하는 시각도 있다. 관련 기사 그리고 이러한 적극적인 외환 개입은 당연하겠지만 미국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그 때문에 미조구치 젬베에(溝口善兵衛, 1946 ~ ) 당시 일본 재무관이 미국 재무부 차관이었던 존 브라이언 테일러(John Brian Taylor, 1946 ~ )에게 상황을 설명하기도 했다. 일본 내부에서는 테일러-미조구치 개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일본 위키 설명 존 테일러는 일본이 개입할 때마다의 해당 내용을 일본에서 보내는 이메일을 받았고 그걸 블랙베리로 확인했다고. # 일본이 외환 개입을 하는 것을 외국환평형조작(外国為替平衡操作)이라고 하는데, 일은포는 2012년까지의 행했던 작업 중 가장 기간이 길고 큰 규모의 외환 개입 작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입 기록을 재무성에서는 기록으로 남겨놓는데 헤이세이 15년과 16년 기록으로 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1] 물론, 대부분의 자금은 외부에서 차입한 자금이었다. 성공하면 막대한 수익이 생기지만, 실패하면 파산은 말할 것도 없고 요단강 익스프레스를 끊어야 했으니, 간단히 말하자면 일본 금융당국 및 일본은행을 해 볼 만한 상대로 봤다. [2] 대표적으로 큰 피해를 본 게 태국 바트화이다. 한국도 상당한 피해를 보았다. [3] 일본 외국환법과 일본은행법에 의거해서 일본은행은 재무성의 외환시장 관리 업무를 위탁받게 되어 있다. [4] 실제로도 24시간 내내 거래가 이루어진다. 연방준비제도에서 상설 통화스와프를 체결해 준 중앙은행들이 발행하는 유로, 일본 엔, 파운드 스털링, 스위스 프랑, 캐나다 달러 모두 24시간 트레이딩 가능. [5] 실제 한국의 외국환평형기금과 기능이 같다. [6] 2003년 1월부터 방어 시작, 2004년 3월 헤지펀드가 붕괴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7] 100조엔(1000조원)어치 미국 단기채 매도한 것들. [8] 특히 짐 로저스가 일본에 앙심을 품은 가장 큰 이유가 이때 일은포에 호되게 당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짐 로저스는 2022년에 일본 주식에 손댔다가 엔저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