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0:51:41

일러스트리어스급 항공모함

일러스트리어스급에서 넘어옴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규항공모함
최초 평갑판 항공모함

아거스급 항공모함


 
최초 항모 설계

허미즈급 항공모함


 
전함 → 항공모함
아일랜드형 함교 도입

이글급 항공모함


 
순양함 → 항공모함

커레이저스급 항공모함


 
갑판 일체화 설계

아크로열급 항공모함


 

 

 
경사 비행갑판
증기식 캐터펄트 도입

오데이셔스급 항공모함


 
1943년 계획, 취소

몰타급 항공모함


 
1963년 계획, 취소

CVA-01급 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경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경항공모함
기타
유니콘급 항공모함 · 빈딕티브 · 아크로열급 수상기모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pWfUhk4.png
파일:external/img2.ruliweb.daum.net/20765092430.jpg 파일:external/img2.ruliweb.daum.net/20765092010.jpg
Illustrious-class aircraft carrier

1. 개요2. 제원3. 동형함4. 영국 해군의 주력 항모
4.1. 배경4.2. 함선이 가진 세부사항
4.2.1. 고도화된 피해 대응 대책4.2.2. 레이더의 채용
4.3. 장갑갑판
4.3.1. 비판4.3.2. 옹호4.3.3. 소결
4.4. 함재기의 문제4.5. 활동
5. 기타6. 외부 링크7. 미디어에 등장8. 둘러보기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주력 항모이며 본격적으로 비행갑판이 장갑화된 항모이었다.

2. 제원

함급 제원
승계 함정 아크로열급 항공모함
후계 함정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
기준배수량 23,207톤
만재배수량 28,919톤
전장 740 ft (230 m)
전폭 95.75 ft (29.18 m)
흘수선 28 ft(8.5 m)
장갑 현측 : 4.5인치, 비행갑판 3인치, 격납고면 4.5인치
보일러 Admiralty 3-drum 6기
터빈 Parsons기어드터빈 3기 3축
출력 111,000 마력
최고속도 30.5노트
무장 QF 4.5인치 양용포 16문
QF 2파운드 기관포 40문
40 mm 보포스 기관포 3문
20 mm 오리콘 기관포 52문
함재기 36기~55기[1]
자매함 포미더블, 빅토리어스, 인도미터블

3. 동형함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퇴역
87 일러스트리어스
(Illustrious)
1937년 4월 27일 1939년 4월 5일 1940년 5월 25일 1954년 12월 7일
67 포미더블
(Formidable)
1937년 6월 17일 1939년 8월 17일 1940년 11월 24일 1947년 8월 12일
38 빅토리어스
(Victorious)
1937년 5월 4일 1939년 9월 14일 1941년 5월 14일 1968년 3월 13일
92 인도미터블
(Indomitable)[2]
1937년 11월 10일 1940년 3월 26일 1941년 10월 10일 1955년 9월 30일

4. 영국 해군의 주력 항모

4.1. 배경

1918년도에 아거스(HMS Argus, I49)를 취역시키면서 세계 최초로 현대 항모의 표준을 보여준 영국이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시기 쯤에 가면 아크 로열(HMS Ark Royal, 91)을 뺀 나머지 항모들은 구식화 되어가고 있었기에 영국 해군은 새로운 항모를 필요로 했고 그에 따라 등장한 것이 일러스트리어스급이었다.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은 북대서양 혹은 대서양에서 활동할 것이 상정되었는데, 이 해역에서는 함대가 지상발진 항공기의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컸다. 이 경우 지상발진 항공기는 일반적인 함재기가 탑재하는 폭탄보다 더 무거운 폭탄을 싣고 올 경우가 컸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갑판을 장갑화하고 대공화기를 증강한다는 컨셉으로 개발된 것이 본 함급이다.

4.2. 함선이 가진 세부사항

일러스트리어스급은 장갑항모이지만 아크로열 이후로 진수되어 기존 항모보다 더욱 발전된 형태를 가진다.

4.2.1. 고도화된 피해 대응 대책

일러스트리어스급은 기존 항공모함에 비해 화재 대응능력에 신경쓴 항공모함이다. 만약 폭탄이 갑판을 관통및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그 즉시 격납고 격벽으로 차단, 추가적인 화재의 번짐을 막을 수 있었으며 인화물질의 취급 및 보관 역시 선진적이였다. 그리고 항공유 탱크가 흘수하에 있었으며 이는 해수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탱크와 갑판은 항공유 파이프가 연결했다. 또한 수압을 이용하여 항공유를 탱크로 부터 끌어올려 피격시 기화된 유증기등 인화가스가 함내에 퍼지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었다. 이 점은 동일한 장갑항모였던 다이호보다 안정적인 구조였으며 차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4.2.2. 레이더의 채용

영국은 전간기부터 레이더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레이더가 2차 대전의 해전 양상의 중요포인트가 될 것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레이더를 일러스트리어스급에 탑재하기 위해 초도함인 일러스트리어스의 진수를 3개월 미루며 레이더 장비를 탑재하기에 이른다. 또한 함내 레이더 관제를 위한 장비를 아낌없이 추가하였으며 더욱 효과적인 전투 초계임무를 할 수 있게 된다.

4.3. 장갑갑판

일러스트리어스급의 핵심적인 요소인데, 실제로 이 3인치짜리 장갑갑판은 일러스트리어스급의 상징으로서 전쟁 동안 일러스트리어스급이 단 한 척도 격침되지 않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물론 이에 따른 항해 안정성의 하락, 갑판 수리의 난해함과 같은 단점도 있었지만 그래도 2차 몰타 항공전 당시 폭탄 지근 5발, 명중 7발을 맞고 견뎌낸 일러스트리어스나 카미카제에 충돌하고도 심한 손상이 없었던 빅토리어스 등 일러스트리어스급의 명성을 퍼트리는 데 큰 역할을 한 요소.[3]

그러나 이 장갑갑판에 대해서는 다소 평가가 엇갈린다.

4.3.1. 비판

우선 장갑갑판에 의한 무게중심의 상승 등이 문제가 되어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타국의 항공모함보다 함재기 숫자가 부족한 편이었다. 심지어 1번함인 일러스트리어스의 함재기는 36대였다.[4] 다른 자매함 역시 55대 이하의 함재기만을 적재할 수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이나 쇼카쿠급 항공모함이 80대 이상의 함재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차이가 있는 셈이다. 항공모함이 단순히 한두 척으로 편성되어 돌아다니는 게 아니라, 다수의 항공모함과 경항공모함들이 동시에 몰려다니었던 태평양의 상황을 감안해보면 그 함대에 편성된 함재기 수량 격차는 더더욱 벌어진다.

따라서 장갑갑판을 포기하고 함재기의 숫자를 늘리는 게 더 좋았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이는 태평양 전쟁 당시 항모 기동부대 간 항공전에서는 함재기가 기본적으로 수백 대가 투입되면서, 수십~100여기 이상이 갈려나가는 전투도 흔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에서 함재기의 부족은 치명적이다.

또한 제한된 함재기 탑재량은 사용목적에 맞춘 함재기의 수용여부 문제를 야기했다. 본질적으로 부족한 항공모함의 함재기 수용능력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롤 함재기가 반드시 강요되어야만 했고 영국은 전쟁기간 내내 함재기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다. 일례로, 미국같은 경우에는 이미 41년도에 실전 투입되는 요크타운급 항공모함들이 전투기와 뇌격기, 급강하폭격기를 각각 20대 이상씩 갖추어 균형 잡힌 편성이 가능했다. 반면 아크로열급은 수상제공권 확보를 위해서 수상전투기를 20대 이상 갖추는 순간, 적 함선을 직접 타격할 기체가 극히 부족해진다는 난점에 처하게 된다. 대전기의 대공포로 항공기를 요격하는 게 꽤나 힘겨운 일이라고 하더라도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뇌격기들과 급강하폭격기들은 적 함대에 돌입하기 직전 요격에 취약해지는 순간이 반드시 존재했다. 이로 인한 피해를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미국과 일본의 항모기동부대는 함재기 데미지 컨트롤 능력뿐만 아니라, 충분한 공대함 공격대 숫자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아크로열급은 부족한 함재기 수용능력으로 인해 단 한 번의 공습에 모든 것을 걸어야 했고 연이은 2파 공습, 3파 공습은 공군에게 맡기거나, 수상함대가 가서 끝장을 내는 식으로 운용을 해야만 한다는 난점에 처하게 된다.

또한 함재기 개발 자체도 부진했다. 대전 전까지는 함재기를 개발하는데 쓸 예산마저 대공황으로 맛탱이가 가버린 해군을 복구하는데 써야 했고 1939년 이전까지 해군은 자체적인 항공대가 없다시피 한 상태였다.[5] 막상 대전이 닥치자, 공군은 이미 순항최대속도 500-600km을 넘기는 최신식 레시프로 기체를 배치하고 운용하고 있을 때, 여러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 복엽기인 시 글래디에이터와, 소드피쉬를 울며 겨자먹기로 써야하는 상황이 닥치게 되었다. 주로 상대했던 독일 해군이나 이탈리아 해군의 함재기들이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 복엽기보다도 더 제공전에 불리한 수상기였기에 망정이었지, 만약 항공모함이 있었다면 꽤나 큰 피해를 입었을 것이고, 실제로 영국해군은 독일 공군의 세력권 내부로 복엽기들을 투입하는 것을 극도로 꺼렸다.[6] 함재기 자체개발을 위해 시 허리케인, 시파이어, 시퓨리, 페어리 바라쿠다 등 공군에서 사용하던 기체들을 해상용으로 리모델링하면서 다양한 기체들을 시험해보지만, 본질적으로 공군을 위해 개발된 기체들이 가지는 한계, 즉 함재기로 처음부터 설계된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이런저런 난점들을 가지게 되면서 한동안 함재기군 일체를 미해군 기체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7]

항모가 아무리 튼튼해봐야 함재기가 없다면 즈이카쿠마냥 미끼 이외에는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 따라서 현재의 항모처럼 우월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없었던 당시로서는 갑판의 장갑화보다 함재기의 수량 확보를 더 신경쓰는 편이 나을 수도 있었다는 의문을 가질 수 있다.[8] 이 함재기 부족 문제는 다음 함급인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에서 어느 정도 해결된다.

4.3.2. 옹호

하지만 이는 영국군이 일러스트리어스급을 개발할 때 처했던 작전상황과 교리를 무시하고, 태평양 해전의 항공모함 교리들에 기반한 후대의 시선으로 바라본 평가로, 영국이 일러스트리어스급의 설계를 진행할 당시에 장갑판을 갖추면서 함재기 탑재 수량을 줄인 것은 그렇게 비합리적인 행위가 아니었다. 게다가 후대의 평가를 보더라도 미국이 장갑항모를 채택한 것을 보면 해군 조약에 배수량이 제한된 상태에서 어쩔 수 없는 타협을 한 것이었다.

장갑이 가지는 방어력은 2000m이하에서 투하된 220kg의 폭탄 또는 3500m 이상에서 투하된 110kg 폭탄의 공격을 버티도록 장갑이 설계된다.

기본적으로 원양에서의 작전을 기본으로 한 미국과 일본 해군과 달리 영국 해군은 좁은 지중해 북해, 그리고 대서양에서의 주요 교전이 펼쳐질 것이라 예측했고, 이 경우에는 적의 육상 비행장과 함대의 거리가 대양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짧아진다. 실제로 태평양 전쟁 중반부에, 드넓은 태평양에서 기동 작전을 펼친 미 해군과 일본 해군의 기동거리와 작전거리를 보면 작전 하나에 기본적으로 일천km단위를 찍는 반면, 영국이 실제로 2차대전에서 숱하게 맞이한 지중해에서의 교전들은 적과의 거리가 짧으면 100km까지 줄어드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따라서 함대가 적기를 발견하고 방공 태세에 돌입하면서 함재기가 요격에 나설 시간이 극도로 짧았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야기하게 된다. 적의 해군 항공대가 아니라 적 공군의 직접적인 공격을 받음과 동시에 함대 또한 우군 공군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지는 것이다. 어차피 항공모함이 함재기를 무식하게 싣고 다녀봐야, 미 해군처럼 항모를 풀빵 찍듯 찍어낼 게 아니면, 공군이 작정하고 굴리는 기체의 숫자에 당연히 밀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비교적 적기를 조기에 발견하고 차단할 수 있거나, 아예 항모를 적 함대로부터 숨기는 게 가능한 태평양과 달리, 북해, 지중해, 북대서양에서 언제든지 적 공군에게 항모가 공습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어야 했으며, 따라서 항공모함의 생존력을 염두에 둔 자체 방어력 확보가 불합리한 판단은 아니다. 실제로 일러스트리어스급들은 잦은 피격기록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살아남았으며, 일례로 포미더블의 경우 카미카제를 직격으로 맞고 버틴 다음 5일 후 또 카미카제 공격을 당했는데도 멀쩡히 버텨냈다.

또한 대전 전에 각 해군의 교리는 어디까지나 전함이 재해권을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지, 무슨 항공모함의 시대가 찾아올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항공모함의 능력에 크게 집착한 일본해군은 함대결전사상에 따른 점감요격을 하기 위해 보조전력으로서 항모를 크게 대우한 것이고, 미 해군도 드넓은 태평양에서의 종심거리를 감안해서 항공모함을 맞춘 것에 가깝다.[9] 반면 영국해군은 항공모함이 적 함대를 발견하거나, 적 함대의 발을 묶는 수준, 우군 공군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의 최소한의 개함방공 혹은 우군 공군이 오기 전까지의 시간끌기 정도만 해도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10], 일러스트리어스급이 취역할 당시에는 비교적 적은 함재기 탑재 수량은 단점이기는 하지만 제한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질 수 있었다.

거기다 영국 해군이 주 전장으로 상정한 북해/북대서양의 일기는 미 해군이 주로 활동했던 태평양에 비해 매우 불량하다. 태풍이 불지 않는 한 바람이 적고 잔잔한 열대 태평양과 달리, 영국 해군이 활동한 북해/북대서양은 5m 너울 쯤은 일상에 가깝고 10m급 너울도 드물지 않은, 사시사철 황천이 휘몰아치는 험악한 바다다[11]. 잔잔한 바다에선 미 해군처럼 일부 함재기는 재출격도 빠르게 할 겸 교대로 비행 갑판에 주기시키고, 격납고는 공간 활용을 넓게 하고 예열 작업도 비행 갑판에 올라가기 전 미리미리 할 수 있게끔 개방 격납고를 채택해도 별 탈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험악한 바다에서 그러다가는 함재기가 파도 맞고 소금기에 쩔어 못 쓰게 되거나 아예 파도와 바람에 쓸려가는 수가 있으므로 영국 해군처럼 함재기 수량과 소티 효율을 희생하더라도 폐쇄 격납고를 채택하고 격납고 주기를 원칙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다. 격납고 주기를 원칙으로 하던 영국 해군도 대전 말 태평양에서 활동할 때는 탑재기 수를 늘리기 위해 일부 비행 갑판 주기를 채택하였고[12], 후일 프롭기보다 외부 환경에 더 민감한 제트기 시대가 열리자 미 해군도 에식스급과 미드웨이급을 대개장하여 폐쇄 격납고를 채택한 것이 이런 부분을 잘 보여준다.

Friedman의 저서 등에 따르면 요크타운급을 위시로 한 미국의 항공모함은 총 탑재 수량의 30%가량을 비행갑판에 주기시켰음을 인식해야 하며, 실제로 일러스트리어스급의 격납고 면적은 요크타운급의 80% 정도로, 장갑갑판을 위해 희생된 것은 사실이나 비판 문단처럼 2배 이상의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13] 쇼카쿠급은 아예 조약의 제약을 벗어나 설계된 물건이니 비교 자체가 무의미하다.[14]. 23000톤 제약에 맞추어 설계된 함선이 32000톤급 함선에 비해 적재 용량이 적은 것은 설계의 쟁점을 떠나 그냥 당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행갑판의 장갑화가 탑재 함재기의 수량을 일부 희생한 것은 분명 사실이나, 감당할만한 수준이었으며 각국이 보유한 함재기의 수납성이나 운용 지역 및 교리 등의 차이를 무시하고 탑재 수량의 차이를 모두 장갑갑판의 문제로만 돌리는 것은 부당한 비판이다. 단점이 분명하나 장점 역시 분명하며, 그렇기 때문에 미 해군 역시 일러스트리어스급의 전훈을 바탕으로 미드웨이급에서 장갑갑판을 도입한 것이다[15].

4.3.3. 소결

종합적으로 보면 영국의 빈곤한 사정과 2차 런던 해군 조약의 23,000톤 배수량 제한이 발목을 잡았던 셈이다. 사실 2차 대전기의 항모들은 자기들끼리도 뭉쳐 다녔기 때문에 1개 기동부대의 함재기 총량이 육상비행장에 주기된 항공기 숫자를 압도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었다. 미 해군은 이렇게 압도적인 숫자의 함재기들을 바탕으로 수시로 CAP[16]를 돌리면서 적 항공기의 습격에 대비했다. 그렇게 해서 항모의 피해를 원천차단한 경우도 있었지만 일격을 허용한 사례도 제법 된다. 미국이야 항모의 숫자가 워낙 많았으니 금방 다른 항모로 대체할 수 있었다. 대체하지 못하더라도 항모 하나 빠지는 정도로는 작전에 큰 영향이 없는 경우도 있었고. 그러나 영국 해군의 경우 항모의 숫자가 워낙 부족했기 때문에 한 척이 잠시라도 이탈하는 경우는 상당히 뼈아팠다. 그래서 탑재량을 다소 포기하고 생존성을 추구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탑재량이 부족하다보니 함재기도 멀티롤 기종을 추구하게 되었지만 결국 자체적으로는 쓸만한 기종을 개발하지 못하면서 일러스트리어스급의 탑재량 부족이 더 큰 약점이 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는 미국으로부터 F4U 콜세어 등 걸출한 함재기를 도입하게 된다.

이 장갑갑판의 충격이 용골까지 그대로 전달되어서 함 자체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실제로 일러스트리어스급 4척중 3척은 1955년 이전에 퇴역했으며 포미더블은 1947년에 퇴역했다. 빅토리어스만이 1968년까지 운용되었으며 후계함인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도 1955년에 전부 퇴역하는 등 영국의 항공모함들은 대부분 퇴역이 빠른 편이었는데 에식스급 중 가장 오래 운용한 렉싱턴이 1991년까지 운용한 것과는 대조적이다.[17] 하지만 이에 대해서 장갑갑판을 갖춘 건 전함 등도 마찬가지인데 항공모함이라고 특별히 수명이 크게 단축되지는 않으며 영국 항모들이 빠르게 퇴역한 것은 종전후 영국군이 대대적으로 감축하는 과정에서 함재기 운용능력도 떨어지고 구식 설계사상으로 건조된 함선을 운용하기 힘들어서라는 측면도 고려할 수 있다. 일단 종전후 영국군이 대대적으로 감축된 것은 사실이며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의 경우에도 제트기를 운용하기에는 격납고가 너무 협소해서 개장 비용문제로 퇴역했다. 이후 미국도 장갑갑판을 도입한 것을 생각하면 수명에 악영향을 준다고 해도 감당할만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4.4. 함재기의 문제

사실 모든 단점 역시 장갑에서 나온 문제인 것 같았으나 일러스트리어스급의 경우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장갑때문에 희생된 탑재량은 더더욱 압박하는 것이 바로 함재기였다. 일러스트리어스급이 취역한 당시 일러스트리어스급이 사용할 함재기는 페어리 풀머와 페어리 소드피쉬였다. 우선 페어리 폴머의 경우 당시로선 독특한 방식이였던 복좌식 구조에 멀티롤 운영을 위해 비행을 할 때 해상초계 임무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뒷좌석에 항법사가 탑승해야 했다. 안그래도 1035마력인 엔진과 만나면서 페어리 폴머의 속도는 초기 미 해군이 사용하던 와일드캣보다 100km/h나 부족했으며 이는 1942년 실론 해전에서 제로기에게 전멸당하는 원인이 된다.

페어리 소드피쉬는 시대가 2차 대전임에도 불구하고 복엽기였다. 일본의 97식 함상공격기, 미국의 TBD보다 한참이나 느렸다. 특히 TBD는 느린 속도때문에 미드웨이 해전 당시 축차 투입된 뇌격도중 엔터프라이즈 소속, 요크타운 소속 일부를 제외한 모든 TBD가 제로기에게 격추된 적이 있다. 그런데 소드피쉬는 이 TBD보다 110km/h 정도 더 느렸다.

이런 처참한 성능들로는 태평양 전선이었으면 진작에 도태했을 함재기들이다. 하지만 상대했던 옆 나라들 또한 항모는커녕 함선공격에 지상발진 호위전투기 없이 장거리 초계기나 둔중한 공격기 정도나 보낼 정도로 처참한 건 마찬가지라 유럽전선에선 그럭저럭 적절하게 쓰였다. 실제로 비스마르크의 격침에 중요한 역할을 한 건 선술한 소드피쉬 편대였으며, 이때 비스마르크는 어이없게도 이들을 단 한 대도 격추 못하고 소드피쉬에게 어뢰 맞고 속력 감소와 조타가 불가능해져서 예정대로 도망치지 못하고 끝내 로드니와 킹조지V에게 최후를 맞이했다.

종합하자면 일러스트리어스급 항모 자체는 그런대로 쓸만한 배들이었지만 탑재할 함재기들이 삼류 이하였다.

4.5. 활동

영국 해군의 주력항모답게 많은 지역에서 작전을 펼쳤다. 1944년에 영국 태평양 함대가 편성되었을 때 4척 모두 해당 함대에 편성되어서 작전을 수행하였다.

5. 기타

1939년, 진수식 도중 선대를 벗어나는 HMS 포미더블

6. 외부 링크

wikipedia:Illustrious class aircraft carrier
HMS Illustrious British Aircraft Carrier of WW2
ARMOURED AIRCRAFT CARRIERS IN WORLD WAR II BAPTISM OF FIRE Armoured aircraft carrier action and damage reports, 1940-1945

7. 미디어에 등장

파일:external/navyfield.co.kr/Illustrious.gif
파일:Naval Creed 일러스트리어스.jpg 파일:Naval Creed 로빈.jpg 파일:Naval Creed 빅토리어스.jpg 파일:Naval Creed 인도미터블.jpg
일러스트리어스 로빈(빅토리어스) 빅토리어스 인도미터블

8. 둘러보기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 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에레버스급
경순양함 C급( 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 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 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 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 SSN-AUKUS}
SSBN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 드레드노트급}
고속정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 대잠 호위함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 26형 시티급}, { 31형 인스퍼레이션급}, { 32형 호위함}
구축함 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 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 뱅가드R
상륙함 LPH 오션급R
LPD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 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무인함 UUV 시캣, { 세투스 XLUUV}
군수지원함RFA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 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자매함 별로 차이가 있으며 추후 개장을 통해 탑재량이 증가한다. [2] 인도미터블은 일러스트리어스급 내의 소그룹에서 인도미터블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혼자 2층 격납고를 채택했기 때문. [3] 일러스트리어스가 카미카제로 인해 손상을 입었지만, 교대 전까지 작전을 수행하다가 물러났고 손상 조사 중 외판 일부가 찢어졌고 몇몇 횡늑골이 금 간 것이 발견되어 수리를 위해 종전까지 영국 본토에 머물렀고 다른 영 해군 항모들은 카미카제에 입은 손상을 응급 수리하고 작전을 재개했으며 작전에서 물러나 수리받을 때는 1개월 정도가 걸렸다. 미 해군 항모의 경우 카미카제에 입은 손상 정도에 따라 달랐으나 대부분은 작전에서 물러났고 수리에는 1개월에서 3개월 정도가 걸렸다. [4] 미 해군에서 운용한 경항모 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의 함재기 숫자가 33대다. 함재기 수용량을 생각하면 정말로 경항모 수준인 셈이다. 이유가 어땠든간에 태평양에서 항공모함으로 구성된 기동부대들을 주축으로 대규모 편대를 동원한 장거리 교전을 숱하게 수행한 미국, 일본과 달리 절대적인 함재기 탑재 수량의 부족은 영국 해군에 있어서 항공모함이 보조 전력으로만 쓰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도록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호위항모였던 커먼스먼트 베이급 호위항공모함의 경우도 함재기가 34기였다. 호위항모의 구분은 탑재기 수량보다도 속도가 중요하긴 했지만. [5] 1차 대전 당시 활동했던 해군 항공대는 1918년에 공군에게 통째로 먹혔고 1924년에 공군 소속으로' FAA가 창설된다. 그리고 1939년에 FAA가 해군에 이관되면서 함재기를 직접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6] 반면에 미 해군은 충분한 숫자의 함재기가 갖춰지자마자 일본의 지상 비행장들을 방법하고 다녔으며, 지상비행장에서 발진되는 항공기들도 요격하는 것을 전제로 작전을 세우기도 했다. 따라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했다. [7] 비행장에서의 운용이 전제된 공군용 항공기와 항모에서의 운용이 전제된 해군용 항공기는 골조부터 다르다. 공군용 항공기는 이착륙거리를 신경 쓸 필요가 없다시피 하며 항모에 착함할 일도 없으므로 골조를 가볍게 만들어도 상관없다. 반면 해군용 항공기는 항모 갑판에서의 이착륙이 가능해야 하므로 단거리 이착륙이 필수인데, 이 착륙 과정이 기체 전체에 심각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골조부터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애초에 설계 이념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공군용 항공기를 해군용으로 개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8] 미 해군의 미드웨이급 항공모함이 그런 사례이다. 2차 대전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130기 이상을 탑재할 수 있으며 3.5인치의 갑판장갑을 두르고 있다. [9] 추가적으로 진주만 공습에 의해 당시 태평양 해역에 보유중인 전함 태반을 못쓰게 되어버렸기에 반강제적으로 항공모함 전술을 연구하고 운용할 수 밖에 없었다. [10] 항공모함이 발을 묶고 전함들이 달려가서 두들겨 패면 된다는 발상은 실제로 2차대전 중 영국 해군의 교전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 기록들이다. 후드가 제대로 얻어맞기는 했지만, 비스마르크 추격전도 예시에 포함되는 사례. [11] 영국도 영일동맹의 종료 이후에는 일본을 제1의 가상적국으로 지목하였고, 이에 따라 아크 로열은 태평양에서의 운용을 전제로 하여 위와 같은 이유로 장갑갑판을 배제한 설계로 건조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나치 독일의 대두로 대표되는 안보환경의 변화로 본토 인근의 북해와 대서양, 그리고 지중해가 우선적인 전장으로 상정된 것. [12] 이렇게 하면 임플래커블급 기준으로 80기 이상의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 [13] 당장 산호해 해전에서 요크타운이 적재한 함재기가 SBD 35대, TBD 10대, F4F 17대로 총 61대에 그친다. 물론 미드웨이 해전 이후로는 70대 이상을 적재하는 등 일러스트리어스급에 비하여 보다 여유있게 설계된 점은 사실이나, 미 해군이라고 해서 반드시 해당 설계한도를 채우지는 않았고 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근거가 된다. 영국 해군이 보다 수납성이 좋은 미제 함재기 및 갑판 주기를 도입한 오키나와 전투에서 인디패티거블은 총 69대의 함재기를 보유하였고 이는 필리핀 해 해전에서 엔터프라이즈가 보유했던 64대에 밀리지 않는 숫자이다. [14] 일본 제국은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 서명하지 않음 [15] 1944년 10월 에식스급 항공모함 프랭클린의 피격 보고서에서 CVB(미드웨이급)의 장갑갑판 설계에 영국 해군 장갑항모들의 전훈이 반영되었음이 언급된다[19] [16] Combat Air Patrol. 전투초계비행 [17] 다만 렉싱턴을 제외한 전 함선은 70년대 퇴역했다. 렉싱턴은 훈련함으로 91년까지 운용된 것. [18] 공식 코믹스 중 하나인 퀸즈오더 196화에서 인도미터블은 '가슴이 큰 거야말로 일러스트리어스급의 독창성'이라고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