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 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Benson-class destroyer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심즈급 구축함의 후계 함급으로 건조된 미합중국 해군의 구축함.
2. 제원
벤슨급 구축함 Benson-class destroyer |
||
이전급 | 심즈급 | |
다음급 | 글리브스급 | |
표준배수량 | 1,620톤 | |
만재배수량 | 2,474톤 | |
전장 | 106.12m | |
전폭 | 11m | |
흘수 | 만재 시 5.41m | |
승조원 | 208명[1] | |
출력 | 50,000SHP | |
최고 속력 | 37.5노트 (약 69.5km/h) | |
항속거리 | 12노트 (약 22km/h) 순항 시 12,000km | |
동력 | 기관 | 밥콕 & 윌콕스 보일러 4기 |
베슬리헴 스틸 증기 터빈 2기 |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무장 | 주포 |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5문[2] |
부포 | 2연장 보포스 40mm 포 2기[라피] | |
오리콘 20mm 기관포 7문[라피] | ||
대잠 | 5연장 21인치 어뢰 발사관 2기[5] | |
폭뢰 거치대 2기 | ||
K-건 폭뢰 발사대 4 ~ 6기[라피] | ||
기타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6정 |
3. 상세
벤슨급은 구축함의 경우로는 대형으로, 기존 구축함과 비교하여 병기에서 훨씬 낫고 더 효율적인 포가(砲架)를 채용하고 참신한 5연장 어뢰발사관을 탑재했었다.4. 운용사
총 30척이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건조된 후 운용되었으며 이 중 3척[7]이 전쟁 중 손실되었다. 종전 이후에는 맥시코와 타이완에 생존 함선들이 양도되기도 하였다.5. 자매함 목록
함번 | 함명 | 함명 유래 | 취역일자 | 퇴역일자 | 최후 |
DD-421 | USS 벤슨(USS Benson) | 윌리엄 벤슨 | 1940/7/25 | 1946/3/18 |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뤄양(洛陽)으로 활동 1974년 해체 |
DD-422 | USS 마요(USS Mayo) | 헨리 T. 마요 | 1940/9/18 | 1946/3/18 | 1972년 스크랩 처리 |
DD-425 | USS 매디슨(USS Maddison) | 제임스 J. 매디슨 | 1940/8/6 | 1946/3/13 | 1949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426 | USS 랜스데일(USS Landsdale) | 필립 V. H. 랜스데일 | 1940/9/17 | 1944년 상선 호위 중 독일군 폭격기의 뇌격으로 격침 | |
DD-427 | USS 힐러리 P. 존스(USS Hilary P. Jones) | 힐러리 P. 존스 주니어 | 1940/9/6 | 1947/2/6 |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한양(漢陽)으로 활동 ? |
DD-428 | USS 찰스 F. 휴즈(USS Charles F. Hughes) | 찰스 F. 휴즈 | 1940/9/5 | 1946/3/18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459 | USS 래피(USS Laffey) | 바틀렛 래피[8] | 1942/3/31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히에이의 포격으로 격침 | |
DD-460 | USS 우드워스(USS Woodworth) | 셀림 E. 우드워스 | 1942/4/30 | 1951/1/14 |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아르티질레레(Artigilere)로 활동 1971년 해체 |
DD-491 | USS 파렌홀트(USS Farenholt) | 아서 W. 파렌홀트 | 1942/4/2 | 1946/4/26 | 1972년 스크랩 처리 |
DD-492 | USS 베일리(USS Bailey) | 시어도어러스 베일리 | 1942/5/11 | 1946/5/2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598 | USS 밴크로프트(USS Bancroft) | 조지 밴크로프트 | 1942/4/30 | 1946/5/18 | 1973년 해체 |
DD-599 | USS 바튼(USS Barton) | 존 K. 바튼 | 1942/5/29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아마츠카제의 뇌격으로 격침 | |
DD-600 | USS 보일(USS Boyle) | 토머스 보일 | 1942/8/15 | 1946/3/29 | 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01 | USS 챔플린(USS Champlin) | 스티븐 챔플린 | 1942/9/12 | 1947/1/31 | 1972년 해체 |
DD-602 | USS 미드(USS Meade) |
리처드 W. 미드 3세 로버트 L. 미드 |
1942/6/22 | 1946/6/17 | 1973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03 | USS 머피(USS Murphy) | 존 M. 머피 | 1942/7/25 | 1946/3/9 | 1972년 스크랩 처리 |
DD-604 | USS 파커(USS Parker) | 폭스홀 A. 파커 주니어 | 1942/8/31 | 1947/1/31 | 1973년 스크랩 처리 |
DD-605 | USS 칼드웰(USS Caldwell) | 제임스 R. 칼드웰 | 1942/6/10 | 1946/4/24 | ? |
DD-606 | USS 코글런(USS Coghlan) | 조셉 B. 코글런 | 1942/7/10 | 1947/3/31 | ? |
DD-607 | USS 프래지어(USS Frazier) | 대니얼 프래지어 | 1942/7/30 | 1946/4/30 | ? |
DD-608 | USS 갠스부트(USS Gansevoort) | 게르트 갠스부트 | 1942/8/25 | 1946/2/1 | ? |
DD-609 | USS 길레스피(USS Gillespie) | 아치볼드 H. 길레스피 | 1942/8/18 | 1946/4/17 | ? |
DD-610 | USS 호비(USS Hobby) | 제임스 H. 호비 | 1942/11/18 | 1946/2/1 | 1972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11 | USS 칼크(USS Kalk) | 스탠튼 F. 칼크[9] | 1942/10/17 | 1946/5/3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12 | USS 켄드릭(USS Kendrick) | 찰스 S. 켄드릭 | 1942/9/12 | 1947/3/31 | 시험용으로 소모 |
DD-613 | USS 롭(USS Laub) | 헨리 롭 | 1942/4/28 | 1946/2/2 | ? |
DD-614 | USS 맥켄지(USS MacKenzie) | 알렉산더 S. 맥켄지 | 1942/11/21 | 1946/2/4 | ? |
DD-615 | USS 맥래나한(USS McLanahan) | 테넌트 맥래나한 | 1942/12/19 | 1946/2/2 | ? |
DD-616 | USS 닐즈(USS Nields) | 헨리 C. 닐즈[10] | 1943/1/15 | 1946/3/25 | 1972년 해체 |
DD-617 | USS 오드로노(USS Ordronaux) | 존 오드로노 | 1943/2/13 | ? | ? |
6. 매체에서의 등장
- 월드 오브 워쉽에서 미국 구축함 8티어로 나온다. 또한 중화민국(대만)에 넘어간 형식인 뤄양 역시 8티어 프리미엄 함선으로 나왔다.
- 콘솔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는 미국 구축함 6티어로 나온다. 어뢰사거리가 늘어서 본격적으로 어뢰전도 해볼만해진다.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대공강화 개수를 받지 않은 사양으로 추축군
뭐?해상 타겟으로 등장한다. 파괴 시 전술점수는 16점이며, 상대방은 제공권의 최대 16%를 잃는다.
-
또 다른 중국의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의 구축함 중
벤슨,
베일리,
라피,
호비,
칼크가 등장한다.
- 지금은 서버가 종료된 대만의 모바일 게임 강철소녀에 벤슨이 등장했다. 개장시 뤄양으로 변경되었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4티어 구축함으로 나온다. 그리고 자매함중 하나인 래피와 중화민국으로 넘어간 형식인 뤄양도 4티어 프리 미엄 구축함으로 나온다.
7. 둘러보기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SS) |
<colbgcolor=#fefefe,#191919> 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 |||
구잠함 |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 ||||
고속정 (PC) |
PCA급, PCL급 | ||||
미사일 고속정 (PG) |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 ||||
초계함 (FF) |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 ||||
호위구축함 (DE) |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 ||||
호위함 (FF) |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 ||||
구축함 |
구축함 (DD) |
|
|||
방공 구축함 (DDG) |
지룽급 | ||||
상륙정 |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 ||||
상륙함 | LPD | 위산급 | |||
LSD |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 ||||
LST |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 ||||
LSM | 메이전급R | ||||
LSSL | 리안지급R | ||||
소해함 |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 ||||
수송함 | 윈펑급 | ||||
군수지원함 | 우이급, 판시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전시엔 276명
[2]
라피는 4문
[라피]
[라피]
[5]
라피는 1기
[라피]
[7]
과달카날 해전에서
래피, 바톤이 격침당했고 랜스데일은 1944년 독일 공군에 의해 격침되었다.
[8]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수병. 증기선 USS 마모라 소속으로 근무했다. 야주 시티 전투 당시 동료 승조원 두명과 함께 12파운드 함포를 가지고 상륙, 포격을 가해 남부군을 몰아냈다. 이 공로로 동료들과 함께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9]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 장교. 1917년 자신이 복무하던 USS 제이콥 존스(DD-61)이 독일 잠수함의 뇌격으로 격침될 때 승조원들이 탈출할 시간을 벌기 위해 노력하다 저체온증과 탈진으로 사망하였다. 이 희생을 기려 사후 해군수훈장이 수여되었다.
[10]
남북전쟁 당시 북부군 해군 장교. 아군 모니터함 USS 테쿰셰가 기뢰와 접촉해 격침되자 보트를 타고 가서 10명의 승조원을 구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