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22:43:48

인테르링구아

인공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12529,#e0e0e0> 공학 언어 수식 · 화학식 · 명제 논리 · 술어 논리 · 프로그래밍 언어 · 로지반 · 링코스 · 이쓰쿠일 · 도기 보나 · 보아보무
국제 보조어 솔레솔 · 볼라퓌크 · 에스페란토 · 이도 · 인테르​링구에 · 베이식 잉글리시 · 인테르링구아 · 국제 수화 · 코타바 · 노시로어 · 링구아 프랑카 노바
예술어/ 가공의 언어 에녹어 · 앵글리시 · 퀘냐 · 신다린 · 암흑어 · 클링온어 · 발리리아어 · 아브어 · 칼라니어 · 나비어 · 킬리키어
기타 모스 부호 }}}}}}}}}

인테르링구아
인터링구아
Interlingua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어순 주어-목적어-동사 (SOV)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로마자
사용인구 수 1,500명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ia
ISO 639-2 ina
ISO 639-3 ina

1. 개요2. 특징3. 문법4. 발음5.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링크

인테르링구아(Interlingua, 인터링구아)는 국제보조어협회의 후원을 받아 1937년에서 1951년에 미국의 알렉산데르 고데(Alexander Gode)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어이자 국제 보조어이다.

이름이 비슷하지만 다른 인공어로 ' 인테르링구에(Interlingue)[1][2]'도 있다. #

2. 특징

굴절없는 라틴어(Latino sine flexione)라고도 불리며 문법과 단어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에서 가져왔다.

영어와 동일하게 a-z까지 26자를 사용한다.

사용자는 2000년 기준 전세계에 1500여명이라고 한다. 링크

1940년대 말~1950년대 초에 걸쳐 언어학자인 알렉산데르 고데(Alexander Gode)가 국제보조어협회(IALA)의 후원을 얻어 다시 공식화하였으며, 국제과학협회에서는 이 언어의 사용을 장려했다.

약 25개국, 천여 명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으며, 1887년에 만들어진 에스페란토의 대안으로서의 가능성도 인정되고 있다. 언어의 사용은 대체로 문자언어로 국한되어 있다. 국제과학잡지들이 논문 초록과 요약을 인테르링구아로 발간했지만 널리 쓰이지 않는다.

3. 문법

더 늦게 생긴 만큼 에스페란토보다 더욱 문법이 단순하여, 명사 형태는 라틴어의 탈격에서 차용한 1가지뿐이며 남성·여성·중성의 구별이 없고 격도 없다. 복수형은 '~s' 1가지이고 형용사의 형태도 1가지이다. 명사와 형용사의 일치도 없다. 정관사는 하나이고, 동사는 인칭이나 수에 따라 어형변화를 하지 않는다.

영어 라틴어의 많은 영향을 받은지라 배워두면 중급 이상의 영어로 넘어갈 때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다. 기초적인 영어만 가능하다면 인테르링구아를 배울 수 있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한 언어들로 만들었기 때문에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배우기 어려울 수도 있다.

4. 발음

5. 외부 링크



[1] 1949년까진 옥시덴탈이라고 불렸다. [2] 언어 이름은 맨 뒤 a와 e만 다르지만 언어 코드는 ie, ile, ile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르다. [3] 단, 예외적인 경우가 있는데 esser, haber, vader 이 세 명사는 현재형으로 전환하면 각각 es, ha, va가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