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6 12:37:52

이쓰쿠일


인공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12529,#e0e0e0> 공학 언어 수식 · 화학식 · 명제 논리 · 술어 논리 · 프로그래밍 언어 · 로지반 · 링코스 · 이쓰쿠일 · 도기 보나 · 보아보무
국제 보조어 솔레솔 · 볼라퓌크 · 에스페란토 · 이도 · 인테르​링구에 · 베이식 잉글리시 · 인테르링구아 · 국제 수화 · 코타바 · 노시로어 · 링구아 프랑카 노바
예술어/ 가공의 언어 에녹어 · 앵글리시 · 퀘냐 · 신다린 · 암흑어 · 클링온어 · 발리리아어 · 아브어 · 칼라니어 · 상헬리어 · 나비어 · 킬리키어
기타 모스 부호 }}}}}}}}}



1. 개요2. 음운론3. 형태론
3.1. Vr 접사
3.1.1. 사태(事態; Function)
3.2. Cv 접사
3.2.1. 상(相; Phase)
3.3. Vc 접사
3.3.1. 상호관계격 (相互關係格; Transrelative Case)3.3.2. 소유격3.3.3. 결합관계격3.3.4. 시간격3.3.5. 공간격3.3.6. 호격
3.4. Ci+Vi 접사
3.4.1. 서법(敍法; Mood)3.4.2. 언효(言效; Illocution)
3.5. Ca 접사
3.5.1. 구성(構成; Configuration)3.5.2. 연계(聯繫; Affiliation)3.5.3. 관식(觀識; Perspective)3.5.4. 주안(主眼; Extension)3.5.5. 허실(虛實; Essence)
3.6. Vf 접사
3.6.1. 언향(言響; Context)
3.7. 강세
3.7.1. 언위(言威; Designation)
4. 통사론5. 문자 체계6. 수 체계

1. 개요

Ithkuil
Ithkuil exists as an exercise in exploring how human languages could function, not how human languages do function.
이쓰쿠일의 존재 의의는 인간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아니라, 어디까지 작동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활동입니다.

존 퀴하다(John Quijada)가 만든 인공어로, 가능한 한 최대한 정확하고 논리적이며, 모호성과 중의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이 목표를 위해 극히 복잡한 문법과 인간 발성기관의 거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는 발음과 고유의 문자 체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쓰쿠일은 거의 모든 상황과 개념을 다른 언어보다 짧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엄청난 난이도 때문에 현재 존 퀴하다 본인을 포함해서 누구도 이 언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없다.

후속 언어가 개발 중이라고 한다. 이쓰쿠일 레딧

2023년 2월경 후속 언어가 개발 완료되었다.

이쓰쿠일 공식 사이트

2. 음운론

3. 형태론

이쓰쿠일의 형성자(formative)는 수많은 문법적 범주에 의해 굴절한다. 그 종류가 매우 많고 자연어에 있는 문법 범주와 딱 떨어지게 대응되는 것도 없어서, 언어의 난이도를 올리게 된다.

3.1. Vr 접사

3.1.1. 사태(事態; Function)

사태는 동사가 실존적 또는 심리적인 상태/동적인 행동이나 사건/단순한 'X는 Y'와 같은 동일시/서술 중에서 어떤 종류이냐에 기반하여, 동사와 동사의 명사 참여자의 일반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보통 그런 종류의 의미는 사람들이 문맥 속에서 사용하는 것을 듣고만 알 수 있는 것이다.

3.2. Cv 접사

3.2.1. 상(相; Phase)

3.3. Vc 접사

Vc 접사는 격을 표현한다. 총 96가지의 격이 있다.

격들이 표현하는 대표적인 의미상의 역할들이다.

3.3.1. 상호관계격 (相互關係格; Transrelative Case)

상호관계격은 동사에 직접 참가하는 명사를 분류하는 격으로, 대충 '주어' 또는 '목적어' 등 에 대응한다.

3.3.2. 소유격

이쓰쿠일의 소유격은 그 의미에 따라 구분한 7가지가 있다.

3.3.3. 결합관계격


결합관계격들은 어떤 명사가 다른 대상과 관계를 맺고 있을 때의 사용하는 격들이다. 이것은 인접한 명사거나, 부사적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것은 영어에서는 주로 복합 명사로 표현되는 것들이다. 32가지가 있다.

3.3.4. 시간격

3.3.5. 공간격

3.3.6. 호격

3.4. Ci+Vi 접사

서법과 언효는 Ci+Vi 접사에 합쳐져 나타난다.

3.4.1. 서법(敍法; Mood)


이쓰쿠일에서는 발화되는 진술이 확실한지 불확실한지의 두 개 구분과 발화의 명시적/암시적 전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모르겠는지, 발화의 사실성을 결정하는지의 네 개 구분을 사용하여 총 여덟 가지 서법을 사용한다.

3.4.2. 언효(言效; Illocution)

3.5. Ca 접사

구성, 연계, 현현, 주안, 허실의 5분류가 Ca 접사에 합쳐져 나타난다.

3.5.1. 구성(構成; Configuration)

구성은 내부적인 구성이나 분리 가능성, 구획, 물리적 유사성 등에 따라 구분되는 동사적, 명사적 묶음의 요소들을 다루는 개념이다. 나무를 예시로 들어 보면, 나무 하나가 덩그러니 서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여러 나무들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 나무들을 나무 두 그루, 나무 열 그루 하고 숫자로 셀 수도 있지만, 단순히 숫자로만 구분하는 것 외에 의미적으로 관련 있는 묶음으로, 예컨대 같은 종류의 나무들이 모여 있으면 '군락', 다른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모여 있으면 '숲', 다른 종류의 나무들이 난잡하게 얽혀 있으면 '정글' 같은 식으로 지칭 가능하다. '사람' 역시 개개의 사람을 지칭할 수 있지만 '군중'과 같은 단어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쓰쿠일에서는 위의 예제들에서 나타나는 '나무'나 '사람'과 관련된 여러 가지 개념들을 표현할 때 각각 다른 상관없는 단어를 쓰지 않고 '나무' 나 '사람'을 9개의 구성으로 굴절시켜 표현한다.

3.5.2. 연계(聯繫; Affiliation)

연계는 구성원의 주관적 기능/상태/목적/효용 등에 기반한 관계에 따라 분류하는 범주이다. 연계는 구성과 함께 적용되어 어떤 집단의 구성원들이 전체적 맥락에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군락'이란 단어는 보통 나무들이 특정한 목적이나 기능 없이 자연적으로 자라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과수원'은 나무들이 인간의 목적에 따라 의도적으로 심어진다. 또한 사람들이 모인 '집단'이라는 말 그 자체는 주관적 목적이나 기능에 중립적이지만 '팀'이라는 단어는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들을 표현할 수 있다.

3.5.3. 관식(觀識; Perspective)

관식은 대상이 시공간 상에서 어떻게 식별되는지에 따라 분류하는 범주이다.

3.5.4. 주안(主眼; Extension)

주안은 대상이 시공간적 규모나 경계 측면에서 고려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3.5.5. 허실(虛實; Essence)

3.6. Vf 접사

3.6.1. 언향(言響; Context)

언향은 대상의 어떤 유무형의 특징들이 발화에서 심리적으로 암시되는지를 나타낸다.

3.7. 강세

3.7.1. 언위(言威; Designation)

4. 통사론

5. 문자 체계

6. 수 체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