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3:25:05

인민의용군

파일:인민의용군.gif
6.25 전쟁 당시 북한군에게 징집된 남한 출신 의용군

1. 개요2. 배경3. 전개4. 역할5. 여담6. 출처

1. 개요

인민의용군은 6.25 전쟁 당시 북한이 전쟁 수행 중인 조선인민군을 지원하기 위해 점령한 남한 지역의 청장년을 징집하여 창설한 소위 ' 의용군'으로 1950년 7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선포한 ‘전시동원령’에 근거해 창설되었다.

2. 배경

6.25 전쟁 발발 당시 인민군 병력은 20만여 명이었는데 이는 당시 북한 지역에서 동원 가능한 최대한의 병력이었다.[1][2] 북한도 이 문제를 알고 있어서 남침 시 미군이 개입하기 이전에 남한을 속전속결로 점령한다는 전략을 구상했다. 그러나 전쟁이 발발하고 국군의 강력한 저항과 미군의 빠른 개입으로 인해 병력 소모율이 당초 예상을 뛰어넘자 이에 따른 소모를 벌충하기 위해 남한 지역에서 의용군이란 명목 하에 강제징집을 실시했다.

3. 전개

6.25 전쟁이 격화되어가던 1950년 7월 1일 북한은 만 18세부터 36세까지의 주민을 동원 대상으로 하는 동원령을 선포하였다. 이와 더불어 같은 날 북한의 군사위원회 제4차 회의에서는 인민군이 점령한 남한 지역에서의 의용군 모집 사업을 원만히 추진하기 위해 상설기구로서 인민의용군조직위원회를 설치하고, 서울을 비롯해 점령지의 주요 도시에 훈련소를 설치, 의용군 입대자들에 대한 단기군사정치훈련을 시켜 인민군에 편입한다는 방침이 결정되었다. 조선로동당 7월 6일 ‘의용군 초모 사업에 대하여’라는 결정서를 각급 당조직에 하달하였다. 이 결정서에서는 의용군은 18세 이상의 청년군으로 하되 빈농 출신의 청년을 많이 끌어 들일 것, 각도에 할당된 징모 수는 책임을 완수할 것, 전 남로당 당원으로서 변절자도 의무적으로 참가시킬 것등을 밝히고 있다. 이 결정에 따라 각급 당조직에서는 의용군 모집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민청을 비롯한 각급 사회단체에 지시했다.

의용군 모집 대상과 모집 방식은 전선의 변화 추이에 따라 달리했다. 개전 초기에는 주로 출옥한 좌익사범, 지하활동가, 보도연맹원 등을 대상으로 자원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지다가 7월 2일부터 궐기대회('군중대회'로도 불린다)을 통한 집단적인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궐기대회 형태의 모집방식은 개인적 영웅심과 군중심리를 이용하여 일시에 다수의 인원을 모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북한은 의용군 모집을 위해 복구된 당조직과 노동·청년·학생·여성단체들을 총동원했는데, 특히 청년과 학생단체인 민청과 민주학련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단체들은 궐기대회를 조직하는가 하면 신문이나 방송 등의 언론매체와 강연회, 가두연설 등 조직적인 선전과 홍보활동을 통해 의용군을 모집했다.

전선의 확대와 급증하는 전투보충병의 수요는 무리한 의용군 모집사업을 더욱 촉진시키는 계기였다. 전쟁 초기의 활발한 모집실적과는 달리 7월 말부터는 모집실적이 급속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자발적으로 지원할 인력의 고갈과 전쟁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은 의용군 모집실적의 저하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더 많은 인원을 조직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책임동원의 성격이 강한 할당제로 의용군 모집방식이 바뀌었다. 가두모집과 호별 할당 등 강제성을 띤 징집이 동원되었는데, 무리한 할당량을 채우기 위해 민청과 직업동맹 등의 간부들이 각지에 파견되어 가두모집을 추진하였다. 마을 단위에서는 제비뽑기나 마을의 논의구조를 통해 대상자를 선정하는 방식이 빈번해지기도 했다.

한편, 점령지의 각 도에서는 1950년 9월 초에 의용군을 중심으로 여단을 편성하기도 했다. 경북에서는 안동여단, 충남에서는 대전여단, 전남에서는 광주여단 등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총지휘하는 의용군 총사령관에는 로동당 부위원장인 이기석이 임명되었다.

4. 역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징집된 인원은 재교육을 위해 북한으로 보내지는 경우도 일부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최전선의 전투병 내지 노무자로 활용되었다. 이들은 정해진 장소에서 2∼10일간의 훈련을 받고 최전방 낙동강 전선에 배치된 후 그곳에서 재편성되었다. 즉 전투병으로 최전선에 참가하는 경우와 물자수송과 전시복구사업에 동원되는 병력으로 분류되었다.

5. 여담

당연하지만 자국민이 강제로 적군에 편입되어 끌려가는 광경을 목도하게 된 대한민국 정부 입장에서는 크게 분개할만한 일이었다. 그래서 정부는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는 걸 막기 위해 국민방위군을 창설하지만 이쪽도 마찬가지로 국민방위군 사건이라는 병크를 터트리게 된다.

6. 출처


[1] 공업화가 먼저 진행되었다곤 하지만 예로부터 식량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북한 지역이 남한 지역에 비해 불리한 환경이라 인구가 남한 지역에 비해 적었다. 해방 직전 남북의 인구 격차가 대략 1600만:900만이었던 것이 해방 이후 귀국과 월남 행렬로 인해 전쟁 발발 직전에는 2100만:960만으로 벌어진 상황이었다. 이 병력도 농사나 공장 등 노동현장에 투입해야할 인력들을 무리해서 끌어모은 것이라 당시 인민군의 전력 증강을 지원해주고 있던 소련 군사고문단 또한 이에 우려를 표할 정도였다. [2] 때문에 낙동강 전선 인천 상륙 작전에서 이 전력을 모조리 날려먹은 인민군은 역으로 북한으로 진격하는 유엔군을 저지하지 못 해 멸망 직전까지 몰렸으며 중공군의 개입으로 북한 지역을 재탈환한 이후 40만 명 규모로 재편성을 했으나 실제 전선의 대부분은 중공군이 담당하면서 휴전이 체결될 때까지 두 번 다시 공산군의 주력으로 나서지 못 했다. 이는 넘쳐나는 인력과 미국의 무장 지원으로 60만 명 규모로 병력이 확대되어 전선의 대부분을 담당하게 된 국군과 비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