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匿 名 性 / Anonymity어떤 행위를 한 사람이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는 특성. 무명성, 무기명성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으며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에 이르러서 상당히 주목받는 사회학적 특성이다.
공인은 신분과 이름이 알려져 있는 만큼 그에 맞게 행동해야 하지만 대중은 그 신분과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아서 행동의 구속이 적다. 이러한 무조직과 익명성이 대중의 특징이자 가장 강력한 힘이며 때로는 대중이 비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익명성을 지닌 대중에게는 그 특성상 독창적인 개성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상품 생산과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평균적인 잣대를 마련하게 만든다. 따라서 깊은 사고가 동반되지 않은 인스턴트(instant)적인 소비문화가 범람하게 되고 대중사회 특유의 외부지향성과 자기소외 등 비인간화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대중의 힘이 크지 않았던 과거에는 익명성에 논란의 소지가 적었으나 인터넷이 발달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제법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반대로 익명성은 대중이 가진 가장 큰 힘 중 하나기 때문에 막연히 나쁘다고 단정지을 수도 없다.
2. 장점
익명성은 대중이 지닌 가장 큰 힘 중 하나다. 익명성은 우리 사회에서 꼭 필요한 내부고발이나 비윤리적인 행태의 폭로를 가능하게 만든다. 내부고발자는 그 특성상 높으신 분들이나 권력주체로부터 탄압당할 확률이 높은데 이 때 내부고발자를 보호해 주는 장치가 바로 익명성이다.권력주체나 감시 집단이 특정인을 탄압하기 위해서는 특정인의 신분을 알아내야만 한다. 특정인에게 유무 형적인 처벌을 가하려면 특정인의 실질적인 존재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익명성은 신분 조사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특정인을 비합리적인 탄압으로부터 보호해 준다. 때문에 대중은 익명성을 방패 삼아 사회의 부조리를 개선해나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조장할 수 있다.
3. 문제점
익명성의 문제점은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 하에 자행되는 악성 댓글 등이 있다. 이는 오프라인에서 직접적으로 하지 못하는 혐오표현이나 욕들을 익명이 보장되는 온라인에서 대신 푸는 것이며 피해자의 심각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유발하게 된다. 악플의 원인은 직장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어보지 못하거나 인간관계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경우 그 스트레스를 온라인에서 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열등감이나 자존감이 심하게 낮을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유명 연예인이나 유튜버들에게 악플을 달며 관심을 받고 싶어하는 비뚤어진 방식으로 인해 자존감을 채우려고 한다.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인터넷 실명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이 또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지금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악플의 문제점은 계속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해당 유튜버들이 댓글을 보지 않는다면 해당 유튜브 컨텐츠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양날의 검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익명성의 문제는 비단 유튜브같은 대중적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티 같은 대중적이면서도 마이너한 곳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 악성 댓글은 아니지만 익명성에 기대어 남을 헐뜯는 글을 서슴없이 쓰거나 익명성에 기대어 서로가 서로를 공격하는 말 그대로 개판에 가까운 모습들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번째 이유로는 인스타그램이나 카카오톡 같은 경우에는 오프라인에서처럼 현실의 연장선이라고 보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하다못해 일면식도 없는 단톡방이나 카페에서도 엄격한 규칙을 적용하여 익명성의 문제에 대한 대처를 확실하게 하는 편이다. 하지만 디시인사이드 같은 커뮤니티는 게시물에 달리는 악플이나 볼수록 눈살이 찌푸려지는 댓글에 대해서 어떠한 대처나 처벌도 없이 그대로 방치해두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흐름은 상대방에 대한 비방이나 혐오가 되풀이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 때문에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은 완전히 최악이다.[1]
두 번째 이유로는 오프라인에서 대놓고 얘기할 수 없을 정도로 인식이 악화된 인터넷 커뮤니티 자체에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데 상술한 바와 같이 카카오톡이나 인스타가 오프라인에서 인정받는 이유는 현실과 같은 유대감이 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시인사이드 같은 경우는 현실에서 보지도 못하거나 아예 사회에서 매장당하거나 도태되고 히키코모리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현실에서 사회생활도 잘하는 사람이 과연 인터넷 커뮤니티에 집착할 이유는 그 어디에도 없다.
그래서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 모여있는 집단인 만큼 상대에 대한 존중이 아예 전무하다. 따라서 혐오표현이나 욕설을 해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그 어떠한 제재나 불이익도 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현실과의 괴리를 심하게 벌어지게 하는 것밖에 안 되며 현실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욕구나 자존감을 인터넷 커뮤니티로 채우려고 하며 자신의 모든 세계가 고작 인터넷 커뮤니티밖에 안 되는 암울한 미래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오프라인에서 디시인사이드를 한다고 떠벌리고 다니면 그날부터 모든 인간관계가 다 끊어진다.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를 조롱하던 곳이 인터넷 커뮤니티라는 것을 5000만 국민들이 모를까?
4. 관련 문서
- Anonymous
- WikiLeaks
- 악플러
- 키보드 배틀
- 위키
- 나무위키: 이메일 인증을 한다지만 이메일 인증은 어디까지나 본인 확인용일 뿐이다. 실제 사용자들끼리는 누가 누구인지 전혀 모른다.
- 익명
- 인터넷 실명제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헨리 지킬(Henry Jeykll)이 변한 모습인 에드워드 하이드(Edward Hyde)는 지킬의 악한 본능이자 익명성을 믿고 나쁜 짓 하는 모습으로 볼 수도 있다.
- 악성 댓글
[1]
이 세상에 자기가 하고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입 밖으로 내뱉을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만약 자랑스럽거나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들과 해당 커뮤니티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다면
길복순/감독 일베저장소 성향 논란 같은 논란이 생기지도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