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47:58

이몽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 역대 태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태조 배현경 · 홍유 · 복지겸 · 신숭겸 · 유금필 · 최응
혜종 박술희 · 김견술
정종 왕식렴
광종 유신성 · 서필
경종 박양유 · 최지몽
성종 최량 · 최승로 · 이몽유 · 서희 · 이지백
목종 한언공 · 최숙 · 김승조
현종 강감찬 · 최항 · 최사위 · 왕가도
덕종 류소
정종 서눌 · 황주량 · 최충 · 김원충
문종 최제안 · 이자연 · 왕총지 · 최유선
순종 이정공
선종 문정 · 류홍 · 김상기
헌종 -
숙종 소태보 · 왕국모 · 최사추
예종 류인저 · 윤관 · 김인존 · 위계정 · 왕자지
인종 김부식 · 최사전
의종 최윤의 · 유필 · 문공원
명종 윤인첨 · 문극겸
신종 조영인
희종 최선 · 임유
강종 최이 · 정극온
고종 조충 · 이항 · 김취려
원종 이세재 · 채정
충렬왕 허공 · 설공검
충선왕 홍자번 · 정가신
충숙왕 -
충혜왕 한악 · 이규 · 이조년
충목왕 -
충정왕 이암 · 이인복
공민왕 왕후 · 이제현 · 이공수 · 조익청 · 류숙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color=#fff><colbgcolor=#191970> 사공 정헌공
이몽유
시호 정헌공(貞憲公)
삼사 사공(司空)
성씨 이(李)
이름 몽유(夢有)
생몰연도 ? ~ ?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고려 시대의 문관. 대다수 고려 초기 인물처럼 생몰연도가 불확실하며 단편적인 기록만 있다. 기록을 살펴보면 최소 광종 경종 성종 삼대를 섬겼다.

2. 상세

가장 연대가 오래된 기록은 '문경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이다. 광종 대에 조성된 비석으로 이몽유가 비문의 내용을 작성했다. 비석의 뜻은 '문경에 있는 봉암사에 세워진 정진대사를 기리는 탑인 원오탑의 탑비'이다. 이몽유는 당시 임금 광종을 '오황(吾皇)', 즉 '우리 황제'라고 불렀으며 태조의 가마를 '구천지승가(九天之鼎駕)', 고려의 왕위를 '구천지위(九天之位)'라고 불렀다. 정종의 즉위를 통천(統天)을 이었다고 표현했다. 만월대를 천구(天衢), 천문(天門)이라 칭했다. 광종의 연호인 광덕을 사용했으며 그의 명령을 ' 칙(勅)', ' 성지(聖旨)'로 불렀고 자국 고려를 달리 불러 '성조(聖朝)'라 했다.

탑비에 기록된 이몽유의 관작은 다음과 같다:
이후의 자료는 존재하지 않고 다시 등장할 때는 성종 때이다. 좌집정 직위를 받고 두 차례의 과거 시험에서 지공거를 맡아 시험을 주도했다.[2] 또한 성종의 명으로 공문서 양식을 정하는 프로젝트의 책임자가 되었다.

무신정권 최이 집권 시기에 제작된 서적 보한집에도 등장하는데, 광종 시기에 문(文)으로 활약했다고 한다.

탑비나 보한집의 글을 보면 당대에 글로 유명했었던 듯 하다. 작문 능력을 인정받아 한림학사가 되었고 시험 출제자가 되어 평가를 맡았고, 공문서 제도 확립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기가 맡은 임무를 준수하게 끝내니 사후 성과를 인정받아 성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1] 병부경은 이후 병관시랑 → 병부시랑 → 지병부사로 명칭이 바뀐다. [2] 이 때 이몽유가 뽑은 사람이 바로 강감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