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로하 노래 가사를 임의로 만든 곡조에 붙여 부른 노래. |
영어에서의 ABC 송과 비슷한 노래로,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어에서는 이 노래에서 등장하는 가나의 순서에 따라 가나를 정렬했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이로하'라는 단어는 '첫걸음, 기초, 순서' 등의 의미가 있다. 한국어로는 '가나다', 영어로는 'ABC'와 그 뜻이 비슷하다.
2. 설명
2.1. 노래 가사
맨 윗줄은 히라가나, 그 다음 줄은 한자를 사용한 당시 표기, 아래쪽의 가타카나는 현대 발음이다. 또, 마지막 두 줄은 순서대로 현대 발음을 한글로 적은 것과 한국어 번역이다.
いろはにほへと ちりぬるを 色は匂へど 散りぬるを イロワニオエド チリヌルオ 이로와 니오에도 치리누루오 향기로운 꽃도 언젠가는 져 버리거늘 わかよたれそ つねならむ 我が世誰ぞ 常ならむ ワガヨタレゾ ツネナラン 와가요 타레조 츠네나란[1] 우리가 사는 이 세상 누군들 영원하리 うゐのおくやま けふこえて 有為の奥山 今日越えて ウイノオクヤマ キョーコエテ 우이노 오쿠야마 쿄-코에테 덧없는 인생의 깊은 산을 오늘도 넘어가노니 あさきゆめみし ゑひもせす 浅き夢見じ[2] 酔ひもせず アサキユメミジ エイモセズ 아사키 유메미지 에이모세즈 헛된 꿈 꾸지 않으리 취하지도 않을 터요. |
금광명최승왕경음의(金光明最勝王経音義)에 기록된 원문은 만요가나로 쓰여 있으며, 한 음 당 1~3개의 차용 한자를 표기했다. 각 한자에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현대의 가나처럼 표현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한자로 기록한 것이므로 음만 읽으면 된다.
以(伊) 呂(路) 波(八) 耳(尓) 本(保) へ(反) 止(都) 千(知) 利(理) 奴(沼) 流(留) 乎(遠) 和(王) 加(可) 餘(与) 多(太) 連(礼) 曽(祖) 津(川) 祢(年) 那(奈) 良(羅) 牟(无) 有(宇) 為(謂) 能(乃) 於 久(九) 耶(也) 万(末麻) 計(介氣) 不(布符) 己(古) 衣(延) 天(弖) 阿(安) 佐(作) 伎(畿) 喩(由) 女(馬面) 美(弥) 之(志士) 恵(會/廻) 比(皮/非) 毛(文裳) 勢(世) 須(寸) |
2.2. 제작시기와 제작자
이 노래는 일반적으로 10세기 말~11세기에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그 근거 중 하나가 けふこえて의 え다. 비록 만요가나로 표기되기는 했으나, 이로하 노래의 가장 오래된 기록인 금광명최승왕경음에 え가 衣으로 표기되었다. 본디 衣는 ア행의 エ를 표기하는 문자이고, 超えて의 え는 超ゆ가 ヤ행하2단동사라 둘이 구별되던 시기, 즉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이 쓰이던 시기에는 섞일 수가 없었다. 이는 두 글자의 음가가 동일해졌음을 나타낸다. 금광명최승왕경음이 승력 3년(1079)이고, 구유(970)에 천지의 노래와 타이니의 노래(大為爾の歌)는 있으나 이로하 노래는 언급은 없으며, 상대 가나 표기법이 붕괴한 이후의 노래라는 것도 알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10세기 말~11세기 중반 사이에 성립되었다고 여긴다.
이 노래에는 ん이 쓰이지 않았는데, 제작 시기에는 ん이 없었기 때문이다.
누가 이 노래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지만, 헤이안 시대 초기의 승려 구카이(空海)가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명하다. 이 이야기가 와전되어 구카이가 히라가나를 만들었다는 설도 있는데 일본 내에서는 꽤나 유명한 이야기. 그러나 이로하 노래의 문법은 헤이안 시대 후기의 것이므로 헤이안 초기 사람인 구카이가 지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설도 있다. 이 설을 받아들일 경우 당시 워낙 쿠카이가 유명해서 이로하 노래의 원작자가 구카이라고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쿠카이가 지은 이로하 노래. 현재는 쿠카이가 지은 종파인 진언종(真言宗: 신곤슈)의 종가(宗歌)로 불린다.
https://youtu.be/F3MSeUJ35MY (자동재생 주의)
2.3. 해석
이로하 노래의 해석에는 다수설인 위의 해석 말고도 다양한 학설이 있다. 가장 첫문장인 いろは의 경우 꽃이 아니라 色葉로 보아서 봄의 꽃과 가을의 단풍 양쪽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으며, 청탁에 관해서도 마지막의 す가 ず라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3], 마지막 문장인 阿佐伎喩女美之 恵比毛勢須의 之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의지부정의 조동사 じ로 보아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ず[4]"(덧없는 꿈 꾸지 않으리, 취하지도 않으리)로 해석하지만, 일부에서는 과거의 조동사 き의 연용형인 し로 보아 "浅き夢見し 酔ひもせず[5](덧없는 꿈을 꾸었다. 취하지도 않고서)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얕은 꿈과 취기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도 확실하지 않다.그 외에 유일하게 글자수가 맞지 않는 마지막 구에 京을 넣어 48자로 맞추어 읽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최소 13세기부터 기록으로 확인되며, 이 때문에 이로하 카루타에는 京에 해당하는 京の夢大坂の夢가 들어있다.
2.3.1. 암호설
- 참조: 위키백과 '이로하 노래' 항목
옛 문헌 중에는 한 행에 7자씩 끊어서 쓰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렇게 써서 마지막 글자만 읽으면 '억울하게 죽는다(咎(とか)なくて死(し)す)'라는 말이, 또 같은 방식으로 마지막 행 이외의 5번째 글자를 읽으면 '책을 나루터의 소녀(本(ほ)を津(つ)の小女(こめ))'[6]라는 말이 되어, 이 두 개를 합하면 '나는 누명을 쓰고 살해당한다. 이 책을 나루터에 있는 나의 아내에게 보내라.' 정도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いろはにほへと ちりぬるをわか よたれそつねな らむうゐのおく やまけふこえて あさきゆめみし ゑひもせす |
2.3.2. 열반경 설
각 행이 같은 헤이안 시대 말에 유행했던 불교의 제행무상 시생멸법 생멸멸이 적멸위락을 뜻한다고도 한다. 이로하우타에는 有為の奥山 같은 불교 용어가 섞여있다.色は匂へど 散りぬるを
향기 좋고 색이 아름답게 한창 피어있는 꽃도, 결국에는 져 버린다.
=제행무상(諸行無常)
我が世誰そ 常ならむ
(지금) 이 세상에 살아있는 우리도, 언제까지나 살아있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생멸법(是生滅法)
有為の奥山 今日越えて
이 무상한, 유위전변(세상사의 덧없음)에 헤메이던 깊은 산속을 지금 벗어나
=생멸멸이(生滅滅已)
浅き夢見じ 酔ひもせす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면, 이제는 덧없는 꿈을 꾸는 일 없이, 실제와 가상의 세계에 사로잡힐 일 없는 편안한 심경일 것이다.
=적멸위락(寂滅爲樂)
2.4. 이로하 이외의 팬그램
2.4.1. 아메츠치노코토바(あめつちの詞)
헤이안 말에 이로하 노래가 보급되기 전까지 널리 쓰였다. 미나모토노 시타고(源順)의 시에서 삼행시처럼 각각의 히라가나를 시작과 끝으로 하는 시들이 50행 가량 이어져 있는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지만, あ행의 え와 や행의 え가 구분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의 구분은 보이지 않아 헤이안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두 음절의 명사를 나열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처음에는 하늘/땅/별/하늘 식으로 그럴듯하게 나열되다가, 사람/개/위/끝 식으로 흐트러지기 시작하여 마지막에는 명사도 아닌 의미불명의 구절로 끝나기 때문에 문학성으로는 이로하 노래에 밀리지만, 최초의 팬그램이라는 상징성 때문인지 지금까지 전해져 온다.
あめ つち ほし そら 天 地 星 空 아메 츠치 호시 소라 하늘 땅 별 하늘 やま かは みね たに 山 川 峰 谷 야마 카와 미네 타니 산 강 봉우리 골짜기 くも きり むろ 雲 霧 室 苔 쿠모 키리 무로 코케 구름 안개 방 이끼 こけ ひと いぬ うへ すゑ 人 犬 上 末 히토 이누 우에 스에 사람 개 위 끝 ゆわ さる おふせよ 硫黄 猿 生ふせよ 유와 사루 오우세요 유황 원숭이 자라나라 えのえを なれゐて 榎[7]の枝[8]を 馴れ居て 에노에오 나레이테 팽나무의 가지를 친해져 있어 |
이탤릭채로 된 마지막 12글자의 경우 위에 적은 것은 가장 알려진 해석일 뿐, 해석에 여러 이견이 있다. 남아있는 기록이 あ행의 え와 や행의 え가 통합된 이후의 것뿐이라 'えのえを'의 어느 쪽을 や행의 え로 볼지도 논쟁거리.
2.4.2. 토리나쿠우타(鳥啼歌)
1903년 요로즈초호(萬朝報[9])에서 당시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사용하던, ん을 포함한 48자의 가나로 쓴 팬그램을 모집했다. 이 중 1등을 한 것이 사이타마현 코다마군에 사는 사카모토 모모지로(坂本百次郎)의 작품으로 첫 소절에서 따와서 '토리나쿠우타', 혹은 '이로하'의 3글자에 맞춰 '토리나', '신 이로하' 등으로 불린다.작가가 고려하고 지은 것이지는 불명이지만, 이로하 노래에 비해 비교적 문자 그대로의 발음이 난다.
とりなくこゑす ゆめさませ 鳥啼く声す 夢覚ませ 토리나쿠코에스 유메사마세 새 우는 소리에 꿈에서 깨라 みよあけわたる ひんかしを 見よ明け渡る 東を 미요아케와타루 힌가시오 보라 훤히 밝아지는 동쪽을 そらいろはえて おきつへに 空色映えて 沖つ辺に 소라이로하에테 오키츠베니 하늘색 비치는 먼바닷가에 ほふねむれゐぬ もやのうち 帆船群れゐぬ 靄の中 호부네무레이누 모야노우치 돛단배 무리 없는 안개 속 |
2.5. 교육 용도로의 사용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어에서는 이 노래에서 등장하는 가나의 순서에 따라 가나를 정렬했다. 이를 이로하 순서(いろは順, 이로하 준)라 하며, 근대 이전 일본어 교육에는 이로하 순서가 널리 쓰였다. 이로하 노래에 없는 ん은 맨 마지막에 나온다.오늘날에는 메이지 유신을 거쳐 50음도에 따른 배열이 정착하였기에, 이로하 순서에 따른 정렬은 제한적으로만 나타난다.
1492년경 조선에서 만들어진 일본어 교재 이로파(伊路波)에도 이로하 노래가 등장한다. #[10] チ와 ツ의 표기가 각각 '디'와 '두'로 표기되어, 당시에는 아직 구개음화와 파찰음화가 진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후 1676년에 간행된 일본어 교재인 첩해신어에도 이로하 노래가 등장한다. 이로파에서는 は를 'ᄫᅡ'로 전사한 반면 첩해신어에서는 '화'로 적었다는 점으로부터 순음퇴화의 진행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3. 용례
- 일본 법률 조문에서 목(目)을 나열할 때는 이로하 순서대로 한다.
-
음악에서 음 이름을 나열할 때 ABC를 한국에서 가나다 순으로 매기듯이, 일본에서는 이로하 순으로 한다. 예컨대 C장조(C Major)를 한국에서는 다장조라 하고 일본에서는 하장조(ハ長調)라 한다.[11]
으뜸음(음이름) 영어 한국어 일본어
다(C) C Major 다장조 하장조(ハ長調)
A minor 가단조 이단조(イ短調)
올림다(C♯) / 내림라(D♭) C♯ Major / D♭ Major 올림다장조 / 내림라장조 에이하장조(嬰ハ長調) / 헨니장조(変ニ長調)
A♯ minor / B♭ minor 올림가단조 / 내림나단조 에이이단조(嬰イ短調) / 헨로단조(変ロ短調)
라(D) D Major 라장조 니장조(ニ長調)
B minor 나단조 로단조(ロ短調)
내림마(E♭) E♭ Major 내림마장조 헨호장조(変ホ長調)
C minor 다단조 하단조(ハ短調)
마(E) E Major 마장조 호장조(ホ長調)
C♯ minor 올림다단조 에이하단조(嬰ハ短調)
바(F) F Major 바장조 헤장조(ヘ長調)
D minor 라단조 니단조(ニ短調)
올림바(F♯) / 내림사 (G♭) F♯ Major / G♭ Major 올림바장조 / 내림사장조 에이헤장조(嬰ヘ長調) /헨토장조(変ト長調)
D♯ minor / E♭ minor 올림라단조 / 내림마단조 에이니단조(嬰ニ短調) / 헨호단조(変ホ短調)
사(G) G Major 사장조 토장조(ト長調)
E minor 마단조 호단조(ホ短調)
내림가(A♭) A♭ Major 가장조 헨이장조(変イ長調)
F minor 바단조 헤단조(ヘ短調)
가(A) A Major 가장조 이장조(イ長調)
F♯ minor 올림바단조 에이헤단조(嬰ヘ短調)
내림나(B♭) B♭ Major 내림나장조 헨로장조(変ロ長調)
G minor 사단조 토단조(ト短調)
나(B)[12] / 내림다(C♭) B Major / C♭ Major 나장조 / 내림다장조 로장조(ロ長調) / 헨하장조(変ハ長調)
G♯ minor / A♭ minor 올림사단조 / 내림가단조 에이토단조(嬰ト短調) / 헨이단조(変イ短調) - 일본군 해군에서 잠수함을 분류할 때 이로하 순으로 분류한 이래 해상자위대에서도 이로하 분류를 문서상으로 계속 활용한다.
- 일본군 육군에서도 무기 소분류에 사용했다. 그 유명한 97식 전차가 '치하'가 된 것도 중(チュウ)전차 중 세 번째(イロハ)로 개발됐기 때문.
- 일본 철도차량의 그린샤와 일반차량을 나타내는 코드 '로'와 '하'도 여기서 온 것으로, 예전에는 객실 등급을 '이로하'로 나누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1등칸이 사라져서 '로'와 '하'만 남았다. 그래서 일본에서 칸마다 'X하 nnn-nnnn'이라고 번호가 붙어있는 철도차량[13] 들을 많이 볼 수 있는 것.
- 일본의 유명 고갯길인 이로하자카도 이로하 노래에서 따온 것. 커브마다 히라가나 이로하 순으로 한 글자씩 배당했다.
- 이시카와현, 치바현[14] 등 몇몇 현에서는 동네 이름에도 쓴다. 주소/일본에 나와있듯 시정촌 아래로 한국의 동리와 비슷한 격의 하위지명이 있는데, 하위지명이 다시 오아자와 코아자로 나뉘는데 오아자를 평범한 지명으로 붙이고 코아자를 이, 로, 하 등등으로 부여하였다. 여기에 이로하와 함께 갑을병이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 히메지성은 성의 입구를 이로하 순으로 '이 문', '로 문', '하 문', '니 문', '토 문'이라 부른다.
-
일본에서 1872~1876년 발행된 사쿠라 우표의 판 구별을 용이하기 위하여 우표 도안 하부 중앙에 썼는데, 이때 발행된 액면가 1/2 센, 1센, 2센, 4센, 6센, 10센, 20센, 30센. 6센 주황색 도안에 15판을 의미하는 ヨ가 들어간 것은 무척 희귀하여 사용필 6장이 존재하며 일본 사쿠라 우표도감 평가액은 3,000만엔(3억원)
◇.
1874년에 외국용으로 새를 도안한 3종이 발행이 되었고, 이때에도 도안 하단 중앙에 사용하였고 발행된 액면은 12센, 15센, 45센.
이로하 순서는 일본에서도 이제는 많이 쓰지 않아 일본어를 공부하는 한국 사람들도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아직도 생활 속에 깊이 들어가 있는 요소이므로 일본어 번역이나 과거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아 두는 쪽이 좋다. 상기한 대로 순서가 있는 것에는 꽤 쓰인다.[15] 또한 특정 사물이나 현상을 소개할때 하나씩 뜻풀이한다는 뜻으로 미국에선 "OO의 ABC", 한국에선 "OO의 가나다" 등의 표현이 쓰이듯이 일본에서는 "OO의 이로하"라는 표현이 상당히 자주 쓰인다. 서도를 하는 기초적인 방법을 서도의 이로하(書道のいろは)로 쓴다던지 하는 식.
그 외에 창작물 제목으로 쓰이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고, 예시는 꽃이 피는 첫걸음. 상술한 것과 같이 기본적인 첫걸음을 뜻하는 의미로 쓰였기에 한국어로는 '첫걸음'으로 번역되었다. 사람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창작물의 등장인물 중에서는 잇시키 이로하 등. 그 외 실존인물 등에 대해서는 이로하 문서를 참고 바람.
4. 대중매체에서
- 슬레이어즈 TRY의 1화부터 24화까지의 각 에피소드 제목의 첫번째 발음과 마지막 발음을 순서대로 모아서 청음으로 바꿔 나열해보면 이로하 노래의 순서가 된다.(25, 26화는 제외. 24화는 마지막 발음이 ん이기 때문에 첫번째 글자만)[16]
- 지옥소녀 2기에 해당하는 '후타코모리' 엔딩곡의 가사에 이로하 노래 가사의 일부가 차용되어 있다. 원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니고 약간 변형되어 있다. 비슷하게 하나야마타의 애니메이션 오프닝 역시 이로하 노래 가사의 일부를 차용하고 있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에서 작중의 이세계는 세 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를 쓰는데, 각각 "이 문자", "로 문자", "하 문자"다. 한국 정서에 맞게 번역한다면 각각 "가 문자", "나 문자", "다 문자"라는 심심한 이름이 된다.
- 함대 컬렉션에서 사용하는 심해서함의 일반 함종 클래스 명칭은 일본군 해군의 전통에 맞게 이로하 노래의 순서를 따랐다.
- 銀サク의 카가미네 린의 보컬로이드 오리지널 곡 중에 이로하 노래가 있다. 이로하 노래(VOCALOID 오리지널 곡) 참조.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이로하, 하나아와세의 이로하 등 가상매체에서의 이로하라는 이름은 모두 이 노래가 유래이다.
- 닌타마 란타로의 이반/로반/하반도 이 노래에서 따왔다.
- 동방 프로젝트 BGM의 어레인지 곡 향기로운 꽃도 언젠간 지는 법은 이로하 노래 첫 구절의 한자표기를 그대로 가져 왔다.
- 뒤떨어진 후르츠 타르트 등장인물의 이름은 첫 글자 이로하 노래에서 따왔다.
- 앙상블 스타즈!의 유닛 홍월의 유닛곡 중에 홍월 이로하 노래가 있다.
- 문호와 알케미스트의 전투 스테이지인 '유애서'의 책장 순서는 이로하 노래 순서에 맞춰져 있다.
- 하나야마타의 오프닝곡 花ハ踊レヤいろはにほ은 제목과 가사의 일부 소절을 이로하 노래에서 따왔다.
- 탐정학원Q 카미카쿠시 촌 살인사건 암호 중 하나가 이로하 순을 이용한다.
- 별의 커비 애니메이션에서 동네 아이들 셋의 이름이 이로, 하니, 호헤이다.
[1]
여기서 む는 현대가나표기법에서 추량 조동사 う다. 자세한 건
음편 항목의 ウ음편 참조.
[2]
또는 し
[3]
대부분 고문서에서 일관적으로 ず로 나타난다. だれ의 경우 원래 たれ였던 것이 だれ가 된 것으로, 원래 청음이 맞다.
[4]
현대어역:浅い夢は見まい、酔いもしない
[5]
현대어역: 浅い夢を見た、酔いもしないで
[6]
ほをつ를 大津(
오츠)로 해석하기도 한다
[7]
あ행의 え
[8]
や행의 え
[9]
신자체가 표준이 되기 전인 1940년 폐간했기에 구자체인 萬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10]
잘 보면 オ가 オニ 비슷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於(어조사 어)의 초서체에서 유래한
헨타이가나로 지금은 お로 대체되었다. お 역시 於의 초서체에서 유래한 글자이다. ク 역시 오늘날 쓰이는 く의 위쪽 획이 살짝 꺾인 모습인데 이 역시 헨타이가나.
[11]
예전 일본 음악 책이나
일제강점기 조선의 음악 교과서에는 계이름이 이탈리아어인 도레미파솔라시가 아니라, 이로하 순으로 하니호... 로 쓰여 있다.
[12]
으뜸음이 변조되지 않은 음일 때의 유일한 이명동음조다. 다른 이명동음조는 전부 올림음이나 내림음을 으뜸음으로 삼는다.
[13]
키하 40계 동차,
키하 100·110계 동차등이 있다. 자세한 명명 방법은
글 참고.
[14]
아사히시,
소사시, 산무시(山武市) 등 태평양 연안 지역
[15]
한국어에서 십간 내지 십이지를 순서 매기는데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데, 더 자주 쓰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16]
이를 위해서 2개 에피소드는 첫번째 발음을 동일한 발음(い, え)의 고어표기(ゐ, ゑ)로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