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9:49:50

의친왕기념사업회

義親王記念事業會
의친왕기념사업회
Royal Foundation of Korea
파일:사동궁 이화문 비율조정.png
<colbgcolor=#cd313a><colcolor=#fff> 설립일 2022년 10월 21일
소속 대한제국 황실
분류 종친회, 사회문화단체
명예회장 이해경[1]
회장 이준[2]
기능 대한제국 황실 직계후손단체
독립운동가 의친왕 선양
소장 황실유물 보존ㆍ전시 및 조사ㆍ연구
황실 독립운동사 학술 연구
살아있는 궁중문화 보존사업
춘암장학회 운영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의친왕 이강3. 대한제국 황실 계보도
3.1. 사동궁 계보도3.2. 사동궁 역대 궁주
4. 역사5. 조직도6. 사업분야
6.1. 황실의 독립운동사 학술연구6.2.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소장 유물 전시 개최6.3. 대한제국 황족 기신제향 봉행 주관단체
6.3.1.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향6.3.2. 운현궁 흥선대원군 기신제향
6.4. 대한제국 사동궁 복원 추진
7. 사회 참여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의친왕기념사업회는 대한제국 황실 직계후손들이 설립한 단체이다.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의 둘째 황자이자 독립운동가 의친왕 이강의 황실 독립운동사를 연구하는 활동을 한다. 또한, 조선 왕실로부터 이어온 궁중생활문화 무형유산을 보유한 단체로서 궁중문화, 황실문화를 보존, 계승, 진흥한다.
의친왕기념사업회 설립목적
1. 전 세계 대한황실 후손들의 구심점이 되는 황실종친회
2. 의친왕의 독립운동사 체계적 연구, 정리, 출판
3. 대한황실과 항일운동을 함께 한 인물 발굴, 선양, 서훈
4. 황손들 소장 중인 조선왕실과 대한황실 궁중유물 체계적 관리, 전시, 연구
4. 대한제국 궁궐인 사동궁(의친왕궁) 복원
5. 대한제국 시기 역사 학술연구 지원하는 춘암장학회 운영
6. 대한제국 의친왕과 의친왕비 기신제향 봉행
7. 대한제국 황실인물 기신제향 봉행
8. 의친왕과 대한제국 관련 드라마, 영화, 뮤지컬, 웹툰 등 미디어 제작
9. 황실 후손들의 황실사 구술 기록으로 남기는 사업
10. 500년 조선왕실과 대한황실의 궁중문화 계승사업

2. 의친왕 이강

의친왕 이강(1877-1955)은 고종 이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궁 밖에서 자랐다. 왕세자 이척(후일 순종)은 심신이 허악했기에, 명성황후 1891년(고종 28) 왕자 이강을 궁으로 들여 의화군에 봉하고 후견인이 되었다. 1894년(고종 31) 보빙대사로 일본을 국빈 방문하고 유럽 6개국의 특파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1900년(광무 4) 8월 17일, 대한제국 의왕으로 책봉받았고, 1906년 대한제국 육군 부장(장군)과 대한적십자사 총재에 임명되었다. 대한제국 최초의 궁인 의왕궁( 사동궁)[3]이 건설되었고, 대한제국 의왕부가 설치된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 이후 ' 의친왕'에서 '이강 공'으로 격하되었다.
파일:의친왕의화군시절.jpg
파일:의친왕육군부장.jpg
파일:의친왕중년.jpg
파일:의친왕노년.jpg
▲ 의화군 시절 의친왕 ▲ 대한제국 육군 장군 시절 의친왕 ▲ 중년의 의친왕 ▲ 노년의 의친왕
의친왕은 당대 독립운동가인 김구, 윤봉길, 손병희, 김가진, 김규식 선생 등과 교류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했고, 대동단 독립선언서 33인 중 첫번째로 서명했다. 1919년 11월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망명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간 후, 워싱턴회의 대한민족 대표 건의서에 황족 대표로 참여하는 등 독립운동을 이어나가자 일제에 의해 1930년 '공' 작위까지 박탈당해 평민이 되었다. 끝까지 독립운동가들을 지원하고 항일정신을 고수했다. 해방 후 한국전쟁을 겪고, 1955년 영양실조와 병환으로 안동별궁에서 훙서했다.

의친왕의 후계자는 6남 이곤이 계승하였다.

3. 대한제국 황실 계보도

파일:의친왕가계도.png
고종은 1남 순종, 2남 의친왕, 3남 영친왕, 4녀 덕혜옹주의 3남 1녀를 두었다.(성인이 된 자녀 기준) 순종, 영친왕, 덕혜옹주의 대는 끊겼기 때문에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직계는 2남 의친왕 계열로 계승된다. 의친왕의 1남 이건은 일본인과 결혼, 귀화하여 한국과 인연을 끊었고, 2남 이우는 흥선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에게 양자출계, 3남 이방은 소현세자파 이기손에게 양자출계, 4남 이창은 은전군파 종손 이헌용에게, 5남 이주는 인평대군파 종손 이인용에게 양자출계하였다.

6남 이곤이 의친왕의 후계자가 되어 사동궁을 물려받고, 7남 이해청 은신군의 종손 이기용에게 양자출계하였다. 8남 이현은 조선 왕실의 마지막 어진화사인 이당 김은호 문하에서 한국화 작가로 활동하였고, 9남 이갑은 미국으로 이민, 10남 이석은 민중가요 〈비둘기집〉을 부른 가수로 유명하며, 전주 한옥마을에 거주 중이다. 11남 이환, 12남 이정은 미국으로 이민했다.

3.1. 사동궁 계보도

파일:대한황실사동궁계보도.png
앞서 언급했듯이, 고종의 1남 순종은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계보는 둘째 의친왕계로 이어진다. 의친왕의 1남은 일본귀화, 2남~5남까지 대가 끊긴 종친가로 양자를 가고, 6남 이곤이 의친왕가를 계승했고, 1984년 그의 아들 이준이 사동궁 궁주 지위를 물려받아 현재 대한제국 황실 의친왕가의 종손으로서 봉무하고 있다.

3.2. 사동궁 역대 궁주

파일:사동궁역대궁주.jpg

4. 역사

파일:의친왕기념사업회_창립총회.jpg
<colbgcolor=#29176e> 2022년 10월 21일 대한제국 의친왕기념사업회 창립총회
2022년 10월 21일 의친왕기념사업회 창립총회 겸 〈의친왕과 황실독립운동〉 전시 개막식에는 대한제국 황실 사동궁 운현궁,[5] 계동궁,[6] 맹현가,[7] 대궁[8] 등 황실 종친들과 의친왕과 함께 항일운동 했던 동농 김가진, 우사 김규식, 백범 김구, 도산 안창호 독립운동가의 후손들과 김영란 경운회장, 전 문화재청장, 국립고궁박물관장, 덕수궁 관리소장 등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파일:이해경이준.jpg
<colbgcolor=#29176e> 이해경 명예회장과 이준 회장
의친왕기념사업회 창립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의친왕의 5녀 이해경이 의친왕기념사업회 명예회장으로, 의친왕가의 종손이자 사동궁 사손인 이준이 의친왕기념사업회 초대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의친왕기념사업회의 추밀원장, 사무총장, 자문단장, 청년회장 직은 맹현가, 운현궁, 계동궁, 대궁, 누동궁 등 황실의 지친들이 각각 부임했다.

5. 조직도

파일:의기회 조직도.png

6. 사업분야

의친왕기념사업회는 크게 황실의 독립운동사 학술연구사업, 궁중유물 전시, 보존, 연구사업, 의친왕 및 황족 기신제향 봉행, 사동궁 복원추진단 운영, K-Royal Academy 운영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6.1. 황실의 독립운동사 학술연구

대한제국 황실과 함께 항일운동을 했던 인사들을 발굴하고 황실의 독립운동사를 밝히기 위해 학술포럼, 심포지엄, 지역별 연구회를 운영한다. 뉴스

6.2.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소장 유물 전시 개최

대한제국 황실 후손 각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소장 유물을 지속적으로 전시, 보존, 연구를 한다.
<colbgcolor=#29176e><colcolor=#fff>
의친왕기념사업회x경운박물관<의친왕과 황실의 독립운동> 전시 동영상
파일:대한제국황실미술전전시2.jpg
이준 회장과 서울미술협회 이사장진
파일:의친왕기념사업회초청작가전_1.jpg
의친왕 상해임시정부 망명기념 의친왕기념사업회 초청작가전
파일:이우황손초상화.jpg
의친왕의 차남이자 운현궁 종손 이우 초상화 (이당 김은호)

6.3. 대한제국 황족 기신제향 봉행 주관단체

의친왕기념사업회는 1955년 화양리에 위치했던 의왕릉(현 어린이대공원 자리)때 부터 지내오던 사동궁 제향 전통을 근간으로 국조오례의, 대한예전, 춘관통고, 효릉등록, 속오례의, 능제규례, 태상지 등을 바탕으로 구성한 '대한제국 사동궁 장예부 등록'에 의거하여 대한황실 황족의 기신제향을 봉행한다.

6.3.1.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향

의친왕기념사업회는 매년 UNESCO 세계문화유산 홍유릉 의친왕 묘역에서 의친왕과 의친왕비 기신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초헌관은 현 사동궁주 이준 의친왕기념사업회 회장이, 아헌관은 의친왕비의 가문인 연안 김씨 대종회에서 추천한 인물이, 종헌관은 의친왕과 항일운동을 함께 한 가문의 후손이 맡고, 제관들은 의친왕의 후손들과 대한제국 황실 종친들이 봉무한다.
파일:의친왕기신제향2024_1.jpg
제관 봉무 중인 대한제국 황실 후손들과 장예부[9]와 예식부[10] 부원들
파일:의친왕기신제향2024_2.jp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홍유릉 권역 내 의친왕묘
<colbgcolor=#29176e><colcolor=#fff>
2024년 대한제국 의친왕 기신제향 영상

6.3.2. 운현궁 흥선대원군 기신제향

의친왕기념사업회는 매년 2월 22일 흥선대원군[11]의 기신제향을 모시고 있다. 흥선대원군의 손자 영선군 이준용이 후사가 없자 의친왕의 둘째 아들 이우가 양자 출계하여 운현궁을 계승했다. 따라서 흥선대원군의 친손자 의친왕의 후손들과 흥선대원군의 서장자 완은군의 후손들, 그리고 흥선대원군을 숭모하는 인사들과 함께 매년 제향과 설, 추석 성묘를 모신다.
파일:흥원_제향1.jpg
흥원에서 산릉제향을 모시는 이준 황손과 사동궁, 운현궁 후손들

6.4. 대한제국 사동궁 복원 추진

파일:10_12_4_24_vbEw_K153_5_547.png
<colbgcolor=#330066> 사동궁 양관과 한옥
사동궁 대한제국 궁(宮). 의친왕 이강이 살던 궁이자 의왕부(義王府)가 있었던 곳이다. 1895년에 일본 제국으로 유학을 떠났던 시절엔 조선의 왕자 의화군이었으나, 1905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는 대한제국의 으로 책봉된 상태였기에 의친왕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1906년에 사동궁이 건립되었다. 의친왕과 사동궁 이야기(영상)

한성부 중부 관인방[12]에 있었다. 이름은 궁이 있던 동네의 별칭 '사동(寺洞)'에서 유래했다.[13][14]

의친왕의 5녀 이해경의 증언에 따르면, 의친왕은 결혼 직후엔 계동궁 근처 의화궁에 머물렀다가 왕으로 책봉된 이후부터는 사동궁에 머물렀다고 한다. 의왕부는 1906년( 광무 10)에 생겼는데, 의친왕은 왕으로 책봉받기 직전인 1899년(광무 3)부터 미국에서 머물다 1905년(광무 9) 무렵에 귀국했기에 그 이후부터 거주하였다. 1908년(융희 2)에는 양관(洋館)이 건립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사동궁은 '이강공저(李堈公邸)'[15]로 불렸다가 1930년에 일제 의친왕을 강제로 공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장남 이건이 뒤를 이은 후에는 '이건공저(李鍵公邸)'로 불렸다. 그리고 8.15 광복 의친왕에게 환원되면서 다시 사동궁으로 불렸다.

그러나 8.15 광복 후 사동궁은 몰락했다. 초대 정권에서 구 황실자산 국유화법이 제정되어 황실 자산은 국유화되어 민간에 불하가 되었는데 황족에서 평민이 되어 생활이 궁핍해진 의친왕에게 박응래라는 사람이 접근해 사동궁 일부를 팔라고 강요했고, 결국 1946년에 200만 원에 내놓았다. 그러자 미군정이 사동궁은 사유재산이 아닌 국가재산이니 대법원장에게 얘기해 구 이왕직에서 관리하도록 하였으나 대법원에서는 이를 묵살했다. 그리고 1948년 박응래는 사동궁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다. 사동궁 일부는 의친왕의 후계자 이곤이 물려받았으나 이마저도 한국전쟁 이후 석연치 않은 거래들로 민간에 불하가 되어 의친왕과 의친왕비 안동별궁[현]으로, 이곤 가족은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파일:NISI20110920_0005166634_web.jpg
<colbgcolor=#330066> 주차장 건설로 헐린 사동궁 한옥
대한의사협회는 1955년 11월 12일 종로구 관훈동 옛 사동궁의 일부를 매입하여 대한의사협회 회관을 마련했다. 이 건물은 1960년 11월 화재로 사라지기까지 5년 동안 서울시의사회에서 함께 사용했다. 또한 종로구 인사동11길 19[17]는 1946년 박응래에게 팔렸다가 다음 해에 최시화의 소유가 되었고, 1955년경에 옛 사동궁 한옥 한 채[18]에 요정 ‘다성’[19]이 들어섰다. 서울시는 2004년에 이 집을 사들여 2005년에 허물고 ‘서인사 마당 공영 주차장’으로 만들어 사용 중이다.[20] 또한 그 주변의 보존 상태가 양호한 한옥 하나를 수리해 '인사동 홍보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파일:120923017980939_thumb_1024_w.jpg
<colbgcolor=#330066> 사동궁 한옥의 일부인 인사동 홍보관
1965년 종로구 인사동 192번지 82호의 사동궁 양관 자리 일부와 종로구 견지동 87번지 1호 등에 종로예식장이 들어섰다. 1986년에는 종로예식장 자리와 그 주변을 선경이 사들여 SK건설빌딩(인사동 192번지 18호)이 들어섰다.

사동궁의 규모는 굉장히 컸으며 한때는 지금의 조계사 터를 포함한 견지동, 수송동 일부도 영역이었다. 운현궁처럼 서양식 건물 1채에 수십 동의 한옥이 있었다. 내전 부분은 지밀 12칸, 행각 42칸, 구주방 14칸, 신주방 34칸, 침방 8칸, 유모방 12.5칸, 서행각 18칸, 이상궁방 18칸, 한상궁방 18칸, 안상궁방 23칸, 동행각 22칸이었고, 외전 부분은 사랑 20칸, 행각 30칸, 방회청 8.5칸, 행랑 16칸, 외행각 12칸, 창사루 100칸, 즉 총합 426.5칸의 규모였다.
파일:김종성건축가.jpg
<colbgcolor=#330066> 서울대 건축과 교수진과 자리한 김종성 건축가(왼쪽 세번째)와 이준(오른쪽 맨 앞)[21]
2023년, 의친왕기념사업회는 < 대한제국 사동궁 복원 추진위원회>를 발족시키며 김종성 건축가[22]를 위원장으로 추대하여 서울시 종로구청 대한제국을 철거하여 공영 주차장을 만든 행정실수를 바로 잡고, 국가 소유인 공영 주차장 자리에 사동궁을 복원하여 황실 후손들이 소장한 조선왕실과 대한황실의 궁중유물 1,000여점을 전시하고 외국인에게 황실문화를 알려줄 수 있는 사동궁 기념관을 건립 계획이다. 프라임경제 - 의친왕기념사업회, 사동궁 기념관 건립 추진…이준 황손 "황실 유물 1000여점 전시하길"'

7. 사회 참여

의친왕기념사업회는 대한제국 황실후손들을 대표하는 단체인 만큼 이준 회장은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목소리를 내는 편이다.

8. 관련 문서



[1] 고종의 손녀이자 의친왕의 다섯째 딸, 2025년 기준 대한제국 황실의 후손 중 최연장자 [2] 고종의 장증손이자 의친왕의 장손. [3] 사동궁은 운현궁, 수진궁, 누동궁, 계동궁 같이 왕족의 잠저를 높여 부르는 '궁'이 아니라 대한제국의 왕이 기거하는 궁으로서, 운현궁 등 별궁과는 그 격이 한 단계 높다. [4] 한일병탄 이후 일제는 사동궁을 '이강공 저'라 부르고 1930년 이후 '이건공 저'라고 불렀다. 광복 후 다시 사동궁 명칭을 되찾았다. [5] 흥선대원군의 종가. [6] 연령군의 종가. [7] 흥완군의 종가. [8] 인평대군의 종가. [9] 의친왕기념사업회 내 제향을 담당하는 부서 [10] 의친왕기념사업회 내 의전, 호위, 예식을 담당하는 부서 [11] 1907년 '헌의흥선대원왕'으로 추존되었다. [12]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인사동길 30번대 홀수 지역 일대 [13] 이 일대가 원동(園洞), 대사동, 승동, 탑동 등 과 관련된 지명이 많아 붙여진 별칭이다. [14] 인사동의 사동과 이 사동이 같다. [15] 보통 고종 덕수궁 이태왕, 순종 - 의민태자 창덕궁 이왕이 되었다고 의친왕 흥친왕 역시 사동궁 이강 공, 운현궁 이희 공이 정식 명칭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고종, 순종의 궁호는 일본 천황 밑의 왕족으로 붙는 미야케의 개념이기에 공족이 된 이강과 이희는 미야케를 쓸 수 없었다. [현] 서울공예박물관 자리 [17] 구 지번 주소 종로구 견지동 85-18 [18] 사랑채였다고 한다. [19] 한동안 '도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의친왕의 후손이 '다성'이라고 알려주었다. [20] 이 상황을 증언하는 출처인 책 《대한민국 사용후기》의 저자 J. 스콧 버거슨은 2005년 이 한옥이 헐리는 과정을 보고 사라져가는 문화에 무심한 한국인들에게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했다. 저자가 구청 담당공무원에게 이 사실을 따졌을 때 이들은 진짜 몰랐는지 일제 시대 지도를 펴놓고 한동안 당황했다고. [21] 김종성 건축가는 의친왕비의 친정 조카이므로 이준과는 아저씨-조카가 된다 [22] 서울힐튼호텔, 서울역사박물관 등 굵직한 건축물을 설계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의친왕의 처조카가 되며, 사동궁에서 태어나서 생활했던 몇 안되는 인물 중 한 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