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20:24:25

트랜스포머 아마다

파일:트포로고.jpg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 시리즈
since 198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White> G1 세계관
(1983~2001, 2017~)
미국 스토리라인 <colbgcolor=White> 일본 스토리라인
트랜스포머
(1983~1986)
극장판
(1986)
스크램블 시티
(1986)
리버스
(1987)
헤드마스터즈
(1987)
- 마스터포스
(1988)
트랜스포머 V
(1989~1993)

트랜스포머 존
비스트 워즈
(1996~1998)
비스트 머신즈
(1999~2000)
비스트 워즈 세컨드
(1998)
비스트 워 네오
(1999)
트랜스포머 카로봇
(2000)
로봇 마스터즈
(2004)
프라임 워즈
(2016~2018)
WFC
(2020~2022)
마이크론 세계관
(2002~06)
아마다
(마이크론 전설)
(2002)
슈퍼 링크
(2004)
갤럭시 포스
(2005)
Alinged 세계관
(2010~2017)
본편
트랜스포머 프라임
(2010~2013)
트랜스포머 어드벤처
(2015~2017)
외전
트랜스포머 GO
(2013)
레스큐 봇
(2010~2016)
기타 세계관
애니메이티드
(2007~2009)
Q 트랜스포머
(2015)
사이버버스
(2018~2021)
어스스파크
(2022~)
봇봇
(2022)
-
}}} ||

트랜스포머 유니크론 트릴로지
트랜스포머 아마다 트랜스포머 에너존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

트랜스포머 아마다(마이크론 전설)/은하영웅 사이버트론 (2002~2003)
超ロボット生命体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マイクロン伝説
파일: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 이미지.webp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원안 이시카와 히로토(石川裕人)
STEVE DRUCKER
감독 우에다 히데히토
시리즈 구성 모토히라 료(もとひら了)
캐릭터 디자인 오모테지 마지로(おもてじまじろう)
트랜스포머 & 메카 디자인 후쿠시마 히데키(福島秀樹)
오구라 신야(小倉信也)
오가와 히로시(小川 浩)
무라타 고로(村田護郎)
야마다 타카히로(やまだたかひろ)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터 아베 무네타카(阿部宗孝)
미술 감독 사카모토 노부히토(坂本信人)
색채 설계 카토 요시타카(加藤良高)
촬영 감독 엔도 야스히사(遠藤泰久)
CG 이펙트 히구치 테츠지(樋口哲治)
편집 타구마 준(田熊 純)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마츠오 하야토(松尾早人)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산토 마나부(山東 学)
미나미 요시나가(南 喜長)
애니메이션 제작 액터스
제작 테레비 도쿄
Nihon Ad Systems
방영 기간 파일:미국 국기.svg 2002. 08. 23. ~ 2003. 10. 03.
파일:일본 국기.svg 2003. 01. 10. ~ 2003. 12. 26.
방송국 파일:미국 국기.svg 카툰네트워크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52화
국내 심의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특징3. 등장인물4. 주제가
4.1. 일본판4.2. 한국판4.3. 미국판
5. 평가6. 회차 목록7. 미디어믹스
7.1. 만화7.2. 게임
8. 완구9. 기타

[clearfix]

1. 개요

2002년부터 나온 밀레니엄 트랜스포머 시리즈. 제작사는 액터스[1] 감독은 우에다 히데히토.

미국에서의 방영 제목은 트랜스포머 ARMADA(아마다)이며 미국과 유럽에서 선행 방영했다. 일본쪽 명칭은 초로봇 생명체 트랜스포머 마이크론 전설(超ロボット生命体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マイクロン伝説). 미국쪽이 먼저 방영해서인지 세계적으로는 아마다로 훨씬 잘 알려져 있다.

2. 특징

원작회귀에 중점을 둔 듯 초대작에 나온 캐릭터들의 이름을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일본에서는 완구 CM 성우로 초대부터 헤드마스터즈까지 나레이션을 맡았던 마사무네 잇세이 성우를 기용했으며 영미권 카툰네트워크 방영당시 예고편에서는 피터 컬런[2]을 나레이터로 기용하였다. *

다만 제작진이 본작을 만들기 전에 메카물을 만든 경험이 적거나 가이킹 대공마룡의 전설의 초반부처럼 스폰서의 투자가 없거나 적은 탓인지 몰라도 작화붕괴가 심하다 못해 난무한다. 비례부터 시작해서 얼굴과 기본적인 생김새 자체는 물론 아예 다른 유닛으로 그려지는 등[3] 작화의 질이 떨어진다. 중후반에는 작화가 어느 정도 개선됐지만 그래도 작붕이 간혹 나온다. 그래서 후속작에선 트랜스포머들을 아예 3D렌더링으로 처리하였다.[4] 다만 작화나 후술할 명칭 문제 부분만 빼면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과 스토리는 괜찮은 편이다. 미국에서 먼저 방송된 뒤 일본에서 방송됐는데, 일본판에선 작화가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5] 작화붕괴는 여전하며 오히려 미국판에서 제대로 나온 작화가 일본판에서 바뀌면서 작붕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트랜스포머 팬들은 대체로 먼저 방영한 나라의 버전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마이크론 전설보다는 아마다로 부르는 편이다. 반대로 일본에서 먼저 방영한 트랜스포머 카로봇의 경우는 대체로 RID보다는 카로봇으로 많이 부르는 편이다.[6]

국내에서는 SBS와 9개 지역민방[7]에서 2004년 12월 20일부터 매주 월, 화요일 오후 5시에 은하영웅 사이버트론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그러나 하다 만 듯한 현지화,[8] 완구류의 방향성 문제 등의 악재가 겹쳐서 흥행면에서는 부진을 보였으며,[9] 그 탓에 결국 조기종영이라는 결말을 맞이했다.[10] 그런데 문제는 해당 회차가 옵티머스가 사망하는 회차였고, 원판에서는 언젠가 옵티머스가 부활할 거라는 암시를 하는 나레이션이 나오는데 이 나레이션을 뜯어고쳐서 진짜 옵티머스의 사망으로 그냥 끝나버렸다.

캐릭터 이름은 미국판과 비슷하거나 일본판과 비슷한것 그리고 전혀 다른 이름 등 여럿이 있다.[11]

영상이나 대사 번역들은 전부 미국, 유럽판을 기초로 되어있다.[12] 전작인 카로봇이 국내 방영시 미국판 영상을 쓰면서도 등장인물 명칭이나 내용은 일본판에 기준해 있던것과 대조된다.[13] 그러면서 세력명은 일본판을 따라 '사이버트론', '데스트론'으로 부른다.

3. 등장인물[14]

3.1. 오토봇(사이버트론)

3.2. 디셉티콘(데스트론)

3.3. 제3세력

3.4. 미니콘

3.5. 인간

4. 주제가

4.1. 일본판

비스트워즈 세컨드처럼 주제가가 2편이 나왔다.
OP1
TRANSFORMER ~Dream Again~
TV ver.
Full ver.(15주년 기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사이킥러버
작사 YOFFY
작곡 YOFFY
IMAJO
편곡 사이킥러버
카와세 사토시(川瀬 智)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 ||
ED1
Never Ending Road
TV ver.
Full ver.(15주년 기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사이킥러버
작사 YOFFY
작곡 YOFFY
IMAJO
편곡 사이킥러버
카와세 사토시(川瀬 智)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OP2
Iron courag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타카토리 히데아키
작사
작곡
편곡 카고시마 히로아키(籠島裕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ransform!)

鋼鉄の勇気かがやけ
강철의 용기여 빛나라

まぶしいひかりを浴びて
눈부신 빛을 쬐고

渦巻く銀河のかなたへ
소용돌이치는 은하 저편으로

旅立てよ Transformers
여행하자 Transformers

深い闇に こたえを求め
깊은 어둠에서 답을 찾으며

胸を焦がす 闘いの日々
가슴을 태우는 싸움의 나날

運命に 進化してく 生命体
운명에 진화해가는 생명체

傷つきさまよい それでも
상처입고 헤매이지만 그럼에도

やさしさ探しあてたとき
상냥함을 찾아냈을 때

君の中 なにかが 変わりはじめる
네 안에서 무언가가 변하기 시작해

(Transform!)

鋼鉄の勇気かがやけ
강철의 용기여 빛나라

まぶしいひかりを浴びて
눈부신 빛을 쬐고

渦巻く銀河のかなたへ
소용돌이치는 은하 저편으로

旅立てよ Transformers
여행하자 Transformers

伝説の勇者闘え!
전설의 용자여 싸워라!

あふれる想い抱いて
넘치는 마음을 끌어안고

いつの日かこの[ruby(宇宙, ruby=そら)]いっぱい
언젠가 이 [ruby(우주, ruby=하늘)] 가득히

勝ち誇れ Transformers
자랑스러워해라 Transformers

出遭い別れ くりかえすたび
만남과 이별을 거듭할 때마다

“強くなれ”と 心が叫ぶ
마음이 '강해져라'고 외쳐

哀しみに 錆びつかないで 魂
슬픔에 녹슬지 않은 영혼

頬をこぼれてく 涙は
뺨에 흘러내리는 눈물은

自分を磨きあげた[ruby(勲章, ruby=あかし)]
스스로를 갈고닦은 [ruby(훈장, ruby=증거)]

もっと君を 君自身を 信じて
너를, 네 스스로를 좀 더 믿어줘

(all're one!)

鋼鉄の勇気かがやけ
강철의 용기여 빛나라

鋼の意志つらぬけ
강철의 의지를 관철해라

燃え立つコロナを背にうけ
불타오르는 코로나를 등지고

熱くなれ Shinin' Spark!!
뜨거워져라 Shinin' Spark!!

鋼鉄の勇気かがやけ
강철의 용기여 빛나라

まぶしいひかりを浴びて
눈부신 빛을 쬐고

渦巻く銀河のかなたへ
소용돌이치는 은하 저편으로

旅立てよ Transformers
여행하자 Transformers

伝説の勇者闘え!
전설의 용자여 싸워라!

あふれる想い抱いて
넘치는 마음을 끌어안고

いつの日かこの[ruby(宇宙, ruby=そら)]いっぱい
언젠가 이 [ruby(우주, ruby=하늘)] 가득히

勝ち誇れ Transformers
자랑스러워해라 Transformers
}}}}}}}}} ||
ED2
DON'T GIVE UP!!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사이킥러버
작사 YOFFY
작곡 YOFFY
IMAJO
편곡 사이킥러버
Macin' 쿠와타(Macin' 桑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2. 한국판




한국어판은 이성욱이 불렀다.

4.3. 미국판

G1 시절부터 쓰던 곡의 어레인지를 썼지만 특이하게도 보컬 없이 반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나레이션이 첨부되어 있다.
오토봇과 디셉티콘 사이의 전쟁은 격화되고 그들은 미니콘을 쟁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승리하는 쪽이 더 많은 미니콘들을 차지한다.
만약 디셉티콘이 승리하게 된다면 메가트론과 그의 노예 미니콘들은 우주를 정복할 것이다.
우주에서 유일하게 평화로운 곳인 지구에서 옵티머스 프라임과 오토봇들은 그들의 적을 물리칠 것이다.
이제 새로운 전투를 준비하라.
전장이 뒤바뀌었다.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우주로 향해 트랜스포머들이 맞닥뜨린 가장 위험한 적과 마주했다.
그들은 유니크론 배틀에 참여한다.

5. 평가

유니크론 트릴로지의 첫 작품으로 꽤나 잘 나왔다는 평가를 받으나, 작화붕괴가 너무 많다는 점[34] 때문에 후속작에선 트랜스포머들은 3d 작화로 표현됐다.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35]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비고
제1화 遭遇
조우
First Encounter
모토히라 료
(もとひら了)
우에다 히데히토 시다 타다시
(志田ただし)
美: 2002.08.23.
日: 2003.01.10.
韓:
주요 등장인물 첫 등장
제2화 擬態
의태
Metamorphosis
사노 타카시 나가타 마사미
(永田正美)
美: 2002.08.23.
日: 2003.01.17.
韓:
제3화 仲間
동료
Base
타카야마 이사오
(高山 功)
코바야시 이치조
(小林一三)
美: 2002.08.23.
日: 2003.01.24.
韓:
제4화 合体
합체
Comrade
오케야 아키라
(桶谷 顕)
요코타 카즈
(横田 和)
하타케야마 시게키
(畠山茂樹)
이정만
(イ・ジョンマン)
美: 2002.09.21.
日: 2003.01.31.
韓:
옵티머스의 파트너 미니콘 스파크플러그가 등장한다.
제5화 武人
무인
Soldier
토노이케 쇼지
(外池省二)
타카다 준
(高田 淳)
아와이 시게노리
(栗井重紀)
美: 2002.09.27.
日: 2003.02.07.
韓:
제6화 保護
보호
Jungle
시즈야 이사오
(静谷伊佐夫)
아오키 신이치로
(青木新一郎)
쿠와하라 치카에
(桑原周枝)
美: 2002.10.04.
日: 2003.02.14.
韓:
제7화 祝祭
축제
Carnival
모토히라 료 우에다 히데히토 카미조 오사무
(上條 修)
최부균
(チェ・ブーキュン)
최경석
(チェ・ギョンソック)
美: 2002.10.11.
日: 2003.02.21.
韓:
제8화 神殿
신전
Palace
오케야 아키라 사노 타카시 나가타 마사미 美: 2002.10.18.
日: 2003.02.28.
韓:
제9화 廃墟
폐허
Confrontation
토노이케 쇼지 시기노 아키라
(鴫野 彰)
마츠모토 마사유키
(松本まさゆき)
코바야시 이치조 美: 2002.10.25.
日: 2003.03.07.
韓:
제10화 迷路
미로
Underground
시즈야 이사오 요코타 카즈 쿠스다 사토루
(楠田 悟)
하타케야마 시게키
이정만 美: 2002.11.01.
日: 2003.03.14.
韓:
스모크스크린 등장
제11화 記憶
기억
Ruin
모토히라 료 코가와 요리야스
(古川順康)
아와이 시게노리 美: 2002.11.15.
日: 2003.03.21.
韓:
제12화 理由
이유
Prehistory
토노이케 쇼지 오오니시 케이스케
(大西景介)
사쿠라이 코노미
(桜井木ノ実)
쿠와하라 치카에
美: 2002.11.22.
日: 2003.03.28.
韓:
제13화 聖剣
성검
Swoop
시즈야 이사오 우에다 히데히토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2.11.29.
日: 2003.04.04.
韓:
스타 세이버 등장
제14화 強敵
강적
Overmatch
모토히라 료 사노 타카시 나가타 마사미 美: 2002.12.13.
日: 2003.04.11.
韓:
스캐빈저 등장
제15화 疾風
질풍
Gale
오케야 아키라 이토 코지 카미조 오사무 美: 2002.12.20.
日: 2003.04.18.
韓:
사이드웨이즈 등장
제16화 慢心
만심
Credulous
토노이케 쇼지 타카다 준 하타케야마 시게키 이정만 美: 2002.12.27.
日: 2003.04.25.
韓:
제17화 策略
책략
Conspiracy
시즈야 이사오 시기노 아키라 아와이 시게노리 美: 2003.01.10.
日: 2003.05.02.
韓:
스캐빈저가 오토봇으로 소속을 바꾼다.
제18화 戦友
전우
Trust
모토히라 료 아오키 신이치로 사쿠라이 코노미
쿠와하라 치카에
美: 2003.01.17.
日: 2003.05.09.
韓:
제19화 休日
휴일
Vacation
오케야 아키라 코가와 요리야스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1.22.
日: 2003.05.16.
韓:
제20화 援軍
원군
Reinforcement
토노이케 쇼지 하타케야마 시게키 美: 2003.01.23.
日: 2003.05.23.
韓:
실버볼트 등장
제21화 前兆
전조
Decisive Battle
시즈야 이사오 오오야 미츠코
(大宅光子)
김상역
(キム・サンヨク)
美: 2003.01.24.
日: 2003.05.30.
韓:
스카이붐 쉴드 등장
제22화 伝心
전심
Vow
오케야 아키라 카미조 오사무 최부균
최경석
美: 2003.01.25.
日: 2003.06.06.
韓:
제23화 謀反
모반
Rebellion
사노 타카시 나가타 마사미 美: 2003.01.26.
日: 2003.06.13.
韓:
제24화 幻影
환영
Chase
모토히라 료 시기노 아키라 야마구치 미히로
(山口美浩)
사쿠라이 코노미
테라사와 신스케
(寺沢伸介)
美: 2003.01.27.
日: 2003.06.20.
韓:
제25화 軍師
군사
Tactician
토노이케 쇼지 타카다 준 쿠스다 사토루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1.28.
日: 2003.06.27.
韓:
스러스트, 제트파이어 등장
제26화 合身
합신
Link Up
시즈야 이사오 우에다 히데히토 카미조 오사무 김진관
(キム・ジンクァン)
美: 2003.01.29.
日: 2003.07.04.
韓:
옵티머스&메가트론,파워업
제27화
( 총집편)
発覚
발각
Detection
모토히라 료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3.01.
日: 2003.07.11.
韓:
제28화 豪腕
호각
Awakening
토노이케 쇼지 후지모리 카즈키
(藤森カズキ)
하타케야마 시게키 美: 2003.03.08.
日: 2003.07.18.
韓:
제29화 共鳴
공명
Desperate
오케야 아키라 코가와 요리야스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美: 2003.03.15.
日: 2003.07.25.
韓:
제30화 逃走
도주
Runaway
시즈야 이사오 시기노 아키라 야마구치 미히로 테라사와 신스케 美: 2003.03.22.
日: 2003.08.01.
韓:
제31화 過去 (前編)
과거 (전편)
Past Part 1
토노이케 쇼지 사노 타카시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3.29.
日: 2003.08.08.
韓:
휠잭, 사이드스와이프 등장
제32화 過去 (後編)
과거 (후편)
Past Part 2
아와이 시게노리 나가타 마사미 美: 2003.04.05.
日: 2003.08.15.
韓:
제33화 犠牲
희생
Sacrifice
오케야 아키라 우에다 히데히토 하타케야마 시게키 이정만 美: 2003.04.12.
日 :2003.08.22.
韓:
메가트론이 오토봇 기지를 습격해 레퀴엠 블래스터를 빼앗는다.
스모크스크린 사망
제34화 生命
생명
Regeneration
시즈야 이사오 타카다 준 카미조 오사무 김진관 美: 2003.04.19.
日: 2003.08.29.
韓:
스타스크림이 디셉티콘을 배신하고 오토봇에 합류한다.
스모크스크린 부활
제35화 救出
구출
Rescue
모토히라 료 후지모리 카즈키 이시쿠라 켄이치
(石倉賢一)
이정만 美: 2003.04.26.
日: 2003.09.05.
韓:
오토봇이 디셉티콘 기지를 습격해 미니콘들을 구출한다.
제36화 火星
화성
Mars
오케야 아키라 시기노 아키라 야마구치 미히로 테라사와 신스케 美: 2003.05.03.
日: 2003.09.12.
韓:
스타스크림 & 제트파이어가 화성에서 미니콘을 구조한다.
제37화 決意
결의
Crack
시즈야 이사오 우에다 히데히토
아와이 시게노리
아와이 시게노리 이정만 美 :2003.05.10.
日: 2003.09.19.
韓:
스타스크림이 다시 디셉티콘으로 복귀한다.
제38화 脅威
위협
Threaten
토노이케 쇼지 사노 타카시 마츠모토 마사유키 美: 2003.10.03.
日: 2003.09.23.
韓:
디셉티콘이 히드라 캐논을 제조한다.
제39화 地球
지구
Crisis
모토히라 료 우에다 히데히토 나가타 마사미 美: 2003.10.10.
日: 2003.09.26.
韓:
옵티머스 리타이어[36]
제40화 悔恨
후회
Remorse
오케야 아키라 코가와 요리야스 오카자키 유키오 이정만 美: 2003.10.17.
日: 2003.10.03.
韓:
핫샷과 스캐빈저가 의견 차이로 대립한다
제41화 出立
출립
Depart
시즈야 이사오 사노 타카시 카미조 오사무 김진관 美: 2003.10.24.
日: 2003.10.10.
韓:
오토봇 우주선 '액셀론'이 출항한다.
제42화 奇跡
기적
Miracle
토노이케 쇼지 아오키 신이치로 테라사와 신스케 美: 2003.10.31.
日: 2003.10.17.
韓:
옵티머스 복귀
제43화 怪物
괴물
Puppet
모토히라 료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9.19.
日: 2003.10.24.
韓:
네메시스 프라임 등장 및 퇴장
핫샷 & 레드 얼럿/메가트론 & 스타스크림 & 데몰리셔 파워업
제44화 帰還
귀환
Uprising
오케야 아키라 후지모리 카즈키 이시쿠라 켄이치 美: 2003.11.14.
日: 2003.10.31.
韓:
오토봇 & 디셉티콘이 사이버트론으로 귀환한다.
제45화 確信
확신
Dash
시즈야 이사오 우에다 히데히토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美: 2003.11.21.
日: 2003.11.07.
韓:
스러스트 배신
유니크론 등장 암시
제46화 運命
운명
Drift
모토히라 료 사노 타카시 우에다 히데히토 나가타 마사미 美: 2003.10.10.
日: 2003.11.14.
韓:
유니크론의 정체가 드러난다.
제47화 信頼
신뢰
Portent
토노이케 쇼지 코가와 요리야스 아와이 시게노리 이정만 美: 2003.09.28.
日: 2003.11.21.
韓:
지구의 아이들을 만나지 못한 미니콘의 미래를 암시한다.
제48화 決死
결사
Cramp
오케야 아키라 우에다 히데히토 카미조 오사무 김진관 美: 2003.09.29.
日: 2003.11.28.
韓:
스타스크림 사망
제49화 覚醒
각성
Alliance
시즈야 이사오 후지모리 카즈키 마츠모토 마사유키 이정만 美: 2003.09.30.
日: 2003.12.05.
韓:
최종결전
제50화 連合
연합
Union
토노이케 쇼지 우에다 히데히토 이시쿠라 켄이치 美: 2003.10.01.
日: 2003.12.12.
韓:
제51화 終結
종결
Origin
모토히라 료 사노 타카시 아와이 시게노리 나가타 마사미 美: 2003.10.02.
日: 2003.12.19.
韓:
제52화 死闘
사투
Mortal Combat
우에다 히데히토 아베 무네타카
(阿部宗孝)
美: 2003.10.03.
日: 2003.12.26.
韓:

7. 미디어믹스

7.1. 만화

7.2. 게임

파일:Transformers - Box.jpg
북미판 이미지

파일:트포 플스2 정발판.jpg
국내 정발판 이미지[37]

2004년에 아타리(인포그램즈)에서 유통하고 호주의 멜버른 하우스(빔 소프트웨어)[38]에서 제작한 플레이스테이션 2 바이오하자드 4 스타일의 TPS 장르의 액션게임. 국내에서는 당시 해즈브로와 타카라의 완구수입을 하던 손오공 그리고 아타리 코리아 에서 정발하였다.

스토리는 원작과는 무관한 오리지널 스토리이며[39][40] 조작의 경우 듀얼 쇼크의 아날로그 스틱 조작으로 조준하는것에 익숙하지 않다면 클리어 하는데 애를 먹을수 있으나 진행이 다소 짧은편.

그러나 그래픽은 플스 2 치고는 당시에 나온 동시대의 게임들에 밀리지 않을정도의 기존의 플스2 게임들을 뛰어넘은 그래픽을 보여 주며[41] 물리 엔진도 있어 파편들이 언덕에있을 경우 밑으로 굴러떨어지거나 레그돌 효과까지 있다.

미니콘은 기본 무기까지 포함 해서 4 가지 정도를 소지할 수 있으며 스테이지 시작전에 무기와 미니콘을 로드아웃에서 세팅을 해놓아야 한다. 또한 조준시 1인칭과 3인칭을 변경할수도 있으며 원작처럼 트랜스폼을 할 수 있다.[42] 또한 몇몇 무기를 제외하면 차지샷을 쏠수있다.

8. 완구

국내 방영시 완구는 스매쉬, 램페이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발매된 편. 다만 미니콘 팀은 기존 트랜스포머와의 합본을 제외하면 대부분 발매되지 못했다.

9. 기타



[1] 현.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V-STORAGE + 선라이즈)의 자회사. [2] G1 옵티머스 프라임의 성우이며 투나미의 프로그램 예고 나레이터를 맡은 적도 있다. [3] 가령 작중에 옵티머스 프라임이 제트 옵티머스로 합체했는데도 불구하고 슈퍼모드로 나온다거나... [4] 그렇다고 완전히 3D로 갈아엎은 건 아니고 일부 장면이나 얼굴 클로즈업 샷에선 2D작화로 나온다. 즉 2D와 3D를 혼합해서 쓰는 것. 이러한 방식은 나중에 같은 제작사가 만든 강철신 지그에서도 활용됐는데, 지그는 2D작화를 주로 하되 일부 장면에서 3D로 하는 식이었다. [5] 앞서 언급한 옵티머스 프라임이 제트 옵티머스로 합체했는데도 슈퍼모드로 나오는 등 작화붕괴를 넘어선 작화 오류와 채색 오류를 수정했다. [6] 다만 이건 전체적으로 일본판을 가져온 더빙판의 영향이 크다. 국내판 제목인 카봇도 카로봇의 줄임말이니 말 다했다. [7] kbc, PSB(현 KNN), JTV, ubc, TJB, TBC, GTB(현 G1방송), CJB, JIBS [8] 미니콘 웨폰 시리즈가 특히 두드러지는데 레퀴엠 블래스터(아스트로 블래스터)를 아스트로 빔이라고 하질 않나. 스카이붐 쉴드(코스모 텍터)는 코스모 방패가 되어버렸고 그마저도 어느 편에선 코스모 방패라 부르다가 또 어느 편에선 코스모 쉴드라 부르는 등 번역에 일관성이 없다. 이는 슈퍼모드 옵티머스의 필살기인 '맥스 파이어'도 마찬가지인데 어느 편에선 맥시멈 파이어라고 하다가 어느 편에선 맥스 파이어, 또 어느 편에선 맥스 파이어 '발사'라고 뒤에 구호도 붙였다 뗐다 하는 등 대사도 일관적이지 못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압권인 건 스타 세이버인데 놀랍게도 세이버 검이라는 이후 작품슈퍼 옵티머스 프라임 슈퍼모드가 생각나게 만드는 번안명을 보여줘 당시 한국 트랜스포머 팬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다. [9] 완구 품질은 일본판을 들여온 탓에 플라스틱 질이나 도색 퀄리티 자체는 매우 좋았다. 단지 아마다 완구 라인업 자체가 그간 트랜스포머 시리즈가 중시해온 프로포션과 가동률 등을 포기하고 내구도와 완구로서의 갖고 놀기 위한 기믹 등에 충실한 탓에 당시 트랜스포머 카로봇에 익숙하던 세대에겐 아마다의 완구 판매 방향성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뿐. [10] 원작에서는 옵티머스가 사망하지만 후반에 다시 부활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옵티머스가 사망하는 장면에서 끝내버렸다. 참고로 KBS에서 방영한 트랜스포머 카로봇 한 화도 빠짐없이 온전히 방영되었고, SBS에선 비스트 워즈 네오도 무사히 완결까지 방영되었다. 반면 비스트 워즈 세컨드는 절반까지만 하고 조기종영되었다. 아마다 후속작인 트랜스포머 슈퍼 링크은 국내에 수입되지 않았고 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는 지상파에서 수입되지 못했고 한참 시간이 지나서 실사영화로 트랜스포머의 인지도가 높아진 뒤에 대원방송에서 전 화들을 끝까지 방영했다. [11] 비스트 워즈 국내 더빙판의 경우 맥시멀들을 기준으로 미국판과 동일한 이름이었고(프레데콘의 경우는 메가트론을 제외하고 미묘하게 변경 되었다.) 카로봇은 일본판과 동일한 이름이며 비스트 워즈 네오는 변신하는 동물에 맞게 이름이 변경되었다. [12] 초반 일부 회차는 BGM 등이 일본판과 동일했으나 중반부터 완전히 미국판으로 굳어진다. [13] 카로봇과 아마다의 국내 방영판 엔딩 영상 스탭롤에서 이유를 확인할 수 있는데 카로봇은 배급사가 일본으로 되어 있는 반면 아마다는 미국 해즈브로가 국내 배급사로 되어 있다. [14] 이름은 미국판, 일본판, 한국판 순. [15] 래드의 산악 자전거를 스캔했다. [16] 카를로스의 스케이트를 스캔했다. [17] 원래는 알렉시스의 킥보드를 스캔했으나 변형기구가 복잡해서인지 질량 문제인지, 어째선지 스쿠터가 되어버렸다.(알렉사 : 왜 스쿠터가 되어버린 거야~!! / 카를로스 : 얘는 아직 잠이 덜 깼나 봐! / 래드 : 400만년이나 잠들어있었으니까 말야!) [18] 스타스크림의 파트너 미니콘 스윈들(그리드)에서 가슴 부품만 바꾼 변종이다. [19]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에서는 핫 샷을 맡았다. [20] 뱅크도 맡았다. [21] 더블페이스도 맡았다. [22] 트랜스포머 에너존에서는 아이언하이드를 맡았다. [23] 알시도 맡았다. 트랜스포머 슈퍼 링크에서는 알파 Q를 맡았다. [24]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에서는 루시 사즈키를 맡았다. [25] 휠리도 맡았다. [26] 본래 알렉시스가 타고 온 것은 킥보드여서 뜬금없이 스쿠터가 나오자 당황한다. 알렉시스: 왜 스쿠터가 되는 건데~!! / 카를로스: (신나게 웃으면서)아직 잠이 덜 깼네! [27] 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에서는 백팩을 맡았다. [28] 스모키도 맡았다. [29] 초반엔 아는 사람에 가까웠다. [30] 정식적으로 대면은 이때가 처음이지만 그 전에 밖으로 몰래 나간 미니콘론 중 하나를 가지려 하다 하필 그 미니콘인 졸트(핫 샷의 파트너 미니콘)여서 핫 샷이 직접 겁을 줘 쫒아냈다. [31] 스테퍼도 맡았다. [32] 쇼크, 스나이퍼, 하이에나도 맡았다. [33] 메가트론의 미니콘. [34] 카툰네트워크가 빠른 북미 방영을 요구한 탓에, 3~4 개월 뒤에 공개될 예정인 애니메이션 일정을 무시하고 수입했다. 그렇기에 북미 방영분은 급하게 만들어진 흔적이나 대사 처리 등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다. 일본 방영판에선 미흡한 부분이 대부분 수정되었다. [35] 일본판은 각 회차를 '에볼루션'으로 칭한다. [36] 한국 더빙판은 해당 에피소드를 마지막으로 종영. [37] NTCS U/C에서 NTSC J로 바뀌고 밑에 손오공 로고와 영등위 등급표시, 영어이름 밑에 한글이 적혀 있고 메뉴얼이 한글화된것 외에는 원판과 같다. [38] 국내에서는 KKND, KKND2라는 RTS로 알려진 회사이다. [39] 다만 몇몇 성우진들은 원작 애니메이션 쪽을 그대로 유지시킨 편. [40] 주요 스토리는 원작과 똑같이 사이버트론에서 전쟁이 일어나고 미니콘이 함선을이끌고 사이버트론으로부터 탈출하던중 달에 불시착하여 지구로 뿔뿔이 흩어지는건 원작과 동일하나 여기선 1만년전으로 설정 되어있으며 1만년후 여전히 오토봇과 디셉티콘의 전쟁이 한창이며 이때 메가트론이 옵티머스 프라임을 죽이려는 와중에 구조 신호기가 떨어지고 신호기가 떨어져있는 그곳에서 미니콘이 지구에 흩어져있다는 걸 홀로그램으로 보여주고 디셉티콘이 병력들을 대규모로 꾸려 지구에 가고 옵티머스 프라임, 핫샷, 레드얼럿을 비롯한 오토봇 3인방들이 미니콘을 되찾고 미니콘을 무기 및 노예로 이용하려는 디셉티콘을 막으러 가는 전개. 따라서 원작에서 나오는 인간 주인공 아이들, 데몰리셔, 이후 원작에서 추가로 등장하는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타이달 웨이브 빼고 안 나온다. [41] 이게 어느정도냐고 하냐면 이보다 1년 뒤에 나온 바이오하자드 4 플스2 이식판보다 비교적으로 괜찮으며 3년 뒤에나온 갓 오브 워 2에 밀리지 않을 정도의 광원과 모델링을 보여주며 1스테이지 격인 아마존의 경우에는 플스2의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올린듯한 배경을 보여준다. [42] 이쪽은 공격으로도 이용되나 주로 빠른이동을 하기위해 쓰는편. [43] 대표적으로 블러(실버볼트)가 있다. G1의 블러는 시끄럽고 말이 많은 캐릭터지만 아마다의 블러는 정반대로 말수가 적고 쿨한 캐릭터이다. [44] 당장 본작에서 몇몇 캐릭터들을 보면 오히려 일본판의 이름이 G1의 그것을 더욱 제대로 오마주한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샌드스톰(사이클로너스)이 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