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2:15:33

진월인

육불치에서 넘어옴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秦越人
생몰년도 미상

1. 소개2. 생애3. 기록의 모순

1. 소개

중국 춘추시대의 명의. 편작[1]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고우영 십팔사략에서는 아예 이 사람을 춘추시대 편에서 편작으로 소개하고 있다.

2. 생애

발해군 막읍 사람으로 젊어서 남의 집에서 숙소의 책임자를 맡다가 장상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이 빈객으로 오자 그를 특출한 사람이라 여겨 정중하게 대했으며, 그 사람이 드나든 지 10여 년이 되자 진월인은 비전의 인술을 배웠다. 그 사람이 품 속에서 꺼낸 약을 땅에 떨어지지 않은 깨끗한 이슬이나 빗물에 타서 마신 후에 30일이 지나면 사물을 꿰뚫어볼 수 있을 것이라 했으며, 그 사람은 비전의 의서를 전부 꺼내어 진월인에게 주고 모습을 감췄다.

그의 말대로 약을 복용한 지 30일이 지나자 담 너머를 투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것으로 병자를 진찰해 오장 속에 병의 근원이 있는 부위를 훤히 알 수 있었지만 겉으로는 맥을 짚어서 아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제나라, 진(晉)나라의 조(趙)씨 세력이 있는 지역 등을 머무르다가 조씨 세력이 있는 지역에 머무를 때 편작이라 불렸으며, 조씨의 군주 조앙이 5일 동안 인사불성이 되었을 때 진목공이 꿈을 꿨을 때와 같은 증상이라면서 혈맥이 정상이니 걱정할 것이 없다고 했다.

이틀 후에 조앙이 괜찮아지게 되자 전답 4만 무 정도를 하사받았으며, 이후에는 괵나라에 갔다가 그 나라에서는 태자가 죽었다고 하면서 슬픔에 잠겼다. 진월인은 제자들에게 침술, 약술 등을 병행해 괵나라의 태자가 깨어나게 하면서 세상 사람들은 편작은 죽을 사람을 살려낼 수 있다고 여겼지만 진월인은 죽은 사람은 살려내지 못하고 스스로 살 수 있는 사람을 일어나게 해준 것 뿐이라 했다.

제나라로 가서 제환공[2]으로부터 빈객으로 대접받았는데, 제환공에게 피부에 병이 있어 치료하지 않으면 점점 깊이 들어가 중해질 것이라 했지만 제환공은 듣지 않았다. 5일이 지나고 제환공에게 와서 병이 혈맥까지 이르렀다고 했지만 제환공은 병이 없다면서 무시했는데, 또다시 5일 후에 제환공이 병이 장, 위 사에 있어 지금 치료하지 않으면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갈 것이라 했지만 또 무시되자 진월인은 물러난다.

5일 후에 제환공을 바라보기만 하다가 물러났고 제환공이 그 사람을 보내 이유를 물으니 병이 골수에 있어 더 이상 고칠 수 없다고 했으며, 또다시 5일 후에 진월인을 불러들이려고 했지만 이미 자취를 감추었고 제환공은 병으로 사망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진월인은 아무리 명의라도 고칠 수 없는 병 여섯개(육불치)를 들었다.
  1. 교만하고 방자하여 내 병은 내가 안다고 주장하는 것.
  2. 자신의 몸보다 돈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것.
  3. 옷과 음식을 제대로 가리지 못하는 것.
  4. 음양의 평형이 깨져서 혈기가 안정되지 않는 것.
  5.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서 약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
  6. 무속에 빠져 신비적으로 병을 고치려고 하는 것.
일부 예외도 있으나, 현대사회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 일로 진월인은 명성이 천하에 퍼지게 되었고, 한단에 갔다가 그 곳에서 부인을 소중히 여긴다는 말을 듣고 부인과 의원이 되었으며, 주나라의 낙양에 가서는 노인을 공경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노인병의 의사가 되었다. 진(秦)나라에서는 어린아이를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소아과 의원이 되었으며, 각지마다 인정 풍속에 맞춰 진료 과목을 바꾸었다.

그러나 진(秦)의 태의령인 이혜가 그를 시기해서 자객을 보내자 암살당했다.

사마천 사기(역사책)에 진월인의 일화를 한문제시대 순우의와 함께 엮어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으로 수록했다. 위 이야기도 편작창공열전에 실려 있는 내용. 사마천은 진월인을 두고 재주가 뛰어났으나 그 뛰어난 재주가 화를 불러왔다고 평가했다.

3. 기록의 모순



[1] 삼황오제 때 전설 속의 명의. [2] 채(蔡)나라 군주 채환후라고도 한다. [3] 제(齊)는 공작(公爵)의 나라인데 작위를 환공(桓公)이 아니라 환후(桓侯)로 쭉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