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철도 불모지
2024년 기준 영양군 내를 지나는 철도 노선은 단 하나도 없다. 역은 커녕 영양군을 단 1mm라도 지나가는 철도 노선이 없으며 장래 계획에도 영양군은 없다.군청소재지인 영양읍에서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은 중앙선 안동역이다. 그마저도 안동역까지 가는데는 2시간 정도 걸린다. 영양버스정류장에서 안동터미널까지 간 다음 옆의 안동역에서 KTX를 타고 청량리역에서 내리면 최적의 경우 대략 4시간 30분에서 5시간 정도 걸리며 추가로 청량리역 하차 후 서울 지하철 1호선으로 서울역까지 가려면 30분 정도가 더 걸린다. 즉 서울역에서 영양읍내까지 가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최소 7시간을 넘는다.[1]
수비면 북부 지역(수하리, 신암리)에 한해 영동선 분천역을 이용하는 주민이 많다고 한다. 왜냐하면 이 곳에서는 읍내에 있는 영양버스정류장보다 분천역이 가깝기 때문이다. 카카오택시, UT, 타다 등의 스마트 호출 서비스가 전혀 안 되는 희귀한 지역이다. 택시를 탈 일이 있으면 오직 전화로만 호출해야 한다. 대신 경북의 다른 지역에 비해 택시비가 저렴하다. 단, 수비면의 경우 택시 회사가 몰려 있는 영양읍으로 바로 통하는 도로가 없어 일월면을 거쳐가야 해서 소요시간이 길기 때문에 콜비가 할증이 되니 참고.
2. 도로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오지인 만큼, 도로 및 버스 교통편 역시 매우 열악하기로 악명이 높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영양으로 가려면 대부분 이웃 도시인 안동을 경유해야만 한다. 그런데 그 안동조차도 최소 50 km 이상, 그니까 1시간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인접했다고 보기 어렵다. 단, 포항, 삼척 등 동해안은 창수령 혹은 구주령[2]을 넘어서 영덕 혹은 울진으로 가는 것이 낫다. 아니면 진보로 이동해서 고속도로에 진입해 영덕IC에서 진출해서 7번 국도를 따라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남북 축선의 도로는 그나마 31번 국도가 있지만, 동서 축선의 도로는 국도 같지도 않은 88번 국도와 지방도가 전부이다. 그래서 동서로 이동하려면 예나 지금이나 무조건 31번 국도를 타고 남쪽에 있는 진보면을 거쳐[3] 34번 국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강원도나 영주로 간다면 북쪽으로 올라가 36번 국도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쪽은 일월산을 관통하는 영양터널과 봉화터널을 넘어야 한다.[4]관내에 있지는 않지만, 2016년 12월에 서산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신설된 동청송.영양 나들목과 청송 나들목 덕분에 그나마 상황이 나아졌다.[5] 물론 이 조차 그나마이고, 실질적으로 영양군 주민들이 서울 등 수도권 지방 및 안동으로 향하기 위해 이용하는 나들목은 청송 나들목이 전부이다. 동청송.영양 나들목이 사실상 영덕군 경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영양군청에서 청송 나들목까지도 거리가 24 km에 달한다![6]
2004년 1월 17일 방영된 스펀지 11회 방영분에는 영양에 신호등이 단 1개밖에 없다는 내용이 소개되었다. 당시 영양의 유일 신호등이 중앙로와 영양로( 31번 국도)가 교차하는 양평교차로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차량 통행 수요가 극도로 적어 점멸 상태로 바뀐 지 오래이며, 노란색 불만 번쩍거리는 점멸등은 꽤 있다. 차를 타고 가다 보면 너무 어두워서 7~8m 앞(헤드라이트 켠 상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점멸 신호등은 대체로 '여기 교차로가 있으니 조심해라'라는 의미가 되겠다. 다만 2014년에 입암면 우회도로 개통으로 신호등이 2개 더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흥구교 개통으로 1개가 더 늘었다. 따라서 2024년 현재 군 전체에 총 3개의 신호등이 있는 것이다.[7] 이마저도 전부 입암면에만 몰려 있다.
2.1. 고속도로
1개도 없다. 한술 더 떠서, 모든 도로는 1차선 또는 (왕복) 2차선 도로. 그 흔한 왕복 4차로 도로조차 없다( #).[8]2.2. 국도
31번 국도, 88번 국도가 있다.- 31번 국도: 청송군에서 넘어와 영양군을 남북으로 관통해 봉화군으로 넘어간다. 영양군의 주간선도로이고 영양에서 그나마 상태 좋은 도로이지만 어디까지나 그나마이고, 왕복 2차선에 도로 선형이 좋지 않아 지자체에서 수없이 개량 및 확장을 요구하고 있다.
- 88번 국도: 일월면에서 출발하여 수비면을 거쳐 울진군으로 넘어간다. 일월면 - 수비면 사이의 한티재는 그나마 선형개량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지만, 수비면소재지 구간은 왕복 1차선이고, 영양과 울진의 경계인 구주령은 전국의 국도 고개들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험준해 수비면 사람이 아니고서야 이용할 일이 거의 없다.
2.3. 지방도
3. 버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1b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산시 | 경주시 | 구미시 | 김천시 | 문경시 | ||||
경산 · 대구대 · 진량 · 갈지리 · 남산 · 용성 · 곡란 · 중앙병원 · 남천 · 영남대 · 자인 · 하양 | 경주고속 · 경주시외 · 불국사· 안강동부 · 안강 ·풍산금속 · 안강휴게소 · 입실 | 구미 · 공단 · 낙동강구미휴게소 · 선산 · 선산휴게소 · 장천 · 주공 | 김천 · 김천구미역(하차) · 부곡 | 문경 · 가은아자개 · 농암 · 점촌북부 · 점촌 · 마성 · 산양 | |||||
상주시 | 안동시 | 영주시 | 영천시 | 포항시 | |||||
상주 · 경북대상주 · 낙서 · 낙동 · 함창 · 화령 · 내서 · 평온 · 양정 · 청리 · 옥산 · 은척 · 성주봉 | 안동 · 임동 · 일직 · 안기 · 안동대 · 경북도청 · 옹천 · 용상 · 태화오거리 · 안동병원 · 안동초교 · 과학대 | 영주 · 풍기IC · 꽃동산(하차) · 장수(하차) | 영천 · 삼창 · 자천 · 창하 · 고경 · 임고 · 자양 | 포항고속 · 포항시청 · 포항 · 나루끝 · 송라 · 청하 · 효자(하차) · 흥해 · 죽장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고령군 | 봉화군 | 성주군 | 영덕군 |
고령 · 축협 · 귀원 | 봉화 ·법전 · 대현 · 현동 · 황평 · 춘양 | 성주 | 영덕 · 강구 · 장사 · 병원 · 도곡 · 영해 · 병곡 | ||||||
영양군 | 예천군 | 울진군 | 의성군 | ||||||
영양 · 입암 | 예천 · 풍양 · 지보 · 예천삼거리 · 가동 · 16부대(후문/정문) · 개포 · 용궁(터미널/ 역) | 울진· 구산 · 매화 · 사동 · 기성 · 평해 · 후포 · 죽변 · 부구 · 온정 · 금강송(쌍전교차로) | 의성 · 낙동강의성휴게소 · 도리원 · 단촌 · 다인 · 비안 · 안계 · 춘산 · 탑리 · 가음 · 양지 · 사미 · 빙계2리 · 춘산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bgcolor=#e12><width=33.3%>
청도군 ||<width=33.3%><bgcolor=#009a5c>
청송군 ||<width=33.3%><bgcolor=#cbbe53>
칠곡군 ||
청도 · 대천 · 동곡 · 동창 · 운문사 · 풍각 · 갈고개 · 김전 · 사전 · 방음 · 신원 · 통점 · 삼계 · 휴양림 · 도계 · 칠성리 · 화양 · 각남 | 청송 · 안덕 · 월정(불로) · 주왕산 · 진보 · 화목 · 도평 | 왜관남부 · 왜관북부 |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하차)는 하차만 가능한 경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하차)는 하차만 가능한 경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3.1. 시외버스
모두 입암, 방전, 진보와 임동, 안동대, 용상, 안동초교, 태화오거리, 안동을 경유하여 동서울이나 대구북부정류장으로 간다. 이 중 대구북부정류장 행은 1회 수비면에서 출발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영양-수비 구간이 폐선되어 현재는 수비에서 군내버스를 타고 영양으로 가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대구북부행은 일부 시간대에는 일직, 단촌, 의성을 경유한다. 영양버스정류장, 시외버스 동서울-영해,영양,주왕산, 시외버스 대구북부-안동 참조.[9]3.2. 농어촌버스
영양동행버스에서 운행하며, 영덕군 농어촌버스( 201번)와 청송군 농어촌버스( 290번, 881번)가 들어오기도 한다. 농어촌버스를 이용하여 봉화군 재산면, 청송군 진보면, 영덕군 영해면으로 나갈 수 있다. 울진과도 붙어있지만 의외로 울진으로 가는 버스는 없다.[10] 단, 오무행 버스는 두 차례 정도 잠깐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 땅을 밟으나 통과만 한다.옆동네인 청송군보다 더 이른 시간에 다른 지역으로 나갈 수 있는 막차가 끊긴다. 18시 20분에 안동을 경유하여 대구북부로 가는 막차가 출발한 이후에는 택시나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물론. 택시를 이용하여 창수2리까지 가면 영해행 203번 막차가 출발하는 19시 05분까지는 영덕쪽으로 갈 수 있지만 시계외 할증요금이 포함된 비싼 요금으로 이동해야 한다. 만일. 대중교통으로 여행하는 중 영양에서 오랜 시간 머물다가 18시 20분을 넘겨 터미널에 도착하였다면 비싼 택시비를 부담하는 대신 여관에서 그날 밤을 보낸 후 다음 날에 귀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교통카드
전국에서 유일하게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지 않는다. 단, 영양버스정류장 매표기에서 영양군내버스에서 통용되는 1,300원 승차권을 판매하는데, 이 승차권을 신용/체크카드로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으로 왕복을 탈 수도 있고 티켓 발매일이 아니더라도 사용 가능하다. 때문에 몇몇 주민들은 이 승차권을 대량 구매한 뒤 모아놓고 사용한다. 현금이 없는데 군내버스를 탈 일이 있으면 참고하자.
[1]
이 정도의 시간이면 교통량이 거의 없는 야간이나 새벽 시간대라고 가정을 했을 때,
경부고속도로를 기준으로 서울 - 부산 까지 최단 거리인
양재 나들목 -
구서 나들목(약 401 km)을 왕복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2]
단,
구주령은
미시령이나
한계령 등의 험준한 고개들마저 한 수 접어줘야 할 정도로 정말 토할 정도의 난이도를 자랑하기 때문에 이용 시 극도로 주의해야 한다.
[3]
영양에서 고개를 넘지 않고 타 시군으로 넘어갈 수 있는 길은 이게 유일하다.
[4]
영양터널과 봉화터널 양측 모두 연결도로가 생각보다 험하다.
[5]
서산영덕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이전인 2015년 까지는
서안동 나들목까지 지방도로 60 ~ 70 km, 즉 1시간 30분 이상을 가야만 했을 정도로 교통편이 더욱 열악했다.
[6]
이것도 거리가 24 km이라는 것이지, 왕복 4차로 도로조차 없는 영양의 열악한 도로 사정을 감안하면, 영양읍내에서 최소 30 ~ 40분 이상이 소요된다.
[7]
청암교차로
산해교차로
흥구교사거리
[8]
전국에서
경상북도
울릉군과 더불어 왕복 4차로 도로가 없는 단 둘뿐인 기초자치단체이다. 이마저도
울릉군은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므로 다른 지역과 도로로 연결되는 내륙에서는 왕복 4차로 도로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
2000년대 중반까지는
강원도
화천군도 4차로 도로가 없었으나, 이곳은 2010년대 쯤에 왕복 4차로 도로(춘화로 일부 구간)가 생겼다.
[9]
과거엔 진보와 안동을 안 들리고 재산과 명호, 봉화등을 들려서
영주로 가는 차도 있었으나 폐선되고
영주여객의 재산 ↔ 영주,
영양동행버스의
영양 ↔ 재산으로 분리되었다.
[10]
1980년대 ~ 1990년대에는
구주령을 넘어 수비발 - 평해행 버스가 존재했으나 온정으로 단축되더니 1990년대 후반 폐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