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3:07:19

연예인 억만장자


1. 개요2. 포브스 인덱스

1. 개요

연예인 억만장자 리스트를 분류한 문서.

2. 포브스 인덱스

<colbgcolor=#f0db56> 순위 이름 재산
(USD)
비고
<colcolor=#000> 1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루카스 55억 [1]
2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필버그 48억 [2]
3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조던 32억 [3]
4 파일:미국 국기.svg 오프라 윈프리 28억 [4]
5 파일:미국 국기.svg JAY-Z 25억 [5]
6 파일:미국 국기.svg 킴 카다시안 17억 [6]
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피터 잭슨 15억 [7]
8 파일:미국 국기.svg 타일러 페리 14억 [8]
9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리아나 14억 [9]
10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거 우즈 13억 [10]
11 파일:미국 국기.svg 르브론 제임스 12억 [11]
12 파일:미국 국기.svg 매직 존슨 12억 [12]
13 파일:미국 국기.svg 딕 울프 12억 [13]
14 파일:미국 국기.svg 테일러 스위프트 11억 [14]
2024년 4월 기준 #
리스트에 선정된 인물 전원이 미국 국적이거나 미국 자본을 통해 억만장자에 등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12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 루카스필름을 40억 5,000만 달러로 매각했다. [2] 2016년 드림웍스 컴캐스트에 38억 달러로 매각했다. 또한 사상 최초로 박스오피스 100억 달러 수입을 돌파한 연출자가 되었으며, 유니버설 픽처스와의 러닝 게런티 계약으로 인해 막대한 재산을 축적했다. 이 외에 제작자로서도 영화 투자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3] 현역 시절 누적 연봉은 9,0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지만, 2023년 샬럿 호네츠릉 30억 달러에 매각했으며 에어 조던 매출 로열티의 5% 내외를 매년 수령받고 있다. 2023년 로열티 추정 수령액만 3억 달러 이상이다. [4] 오프라 윈프리 쇼를 성공시킨 이후 하포를 설립하여, 각종 미디어 사업으로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다. [5] 2023년 꼬냑 브랜드인 D'Usse를 Bacardi에 7억 5,000만 달러로, 2021년 샴페인 브랜드인 아르망 디 브리냑 지분 50%를 LVMH에 3억 달러로 매각했다. 그 외에도 2021년 TIDAL을 3억 달러로 블록에, 라커웨어를 2억 달러에 매각하는 등 끊임 없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포츠 에이전시인 락네이션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6] 기업가치 32억 달러를 평가받은 보정속옷 브랜드 SKIMS 지분의 50%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 2억 달러를 받으며 현재는 폐업한 화장품 브랜드인 KKW 뷰티의 지분 20%를 코티에 매각하기도 했다. [7]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로만 박스오피스 58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2021년 웨타 디지털 유니티에 16억 2,500만 달러로 매각했다. [8] 영화 제작자로서의 투자 성공으로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했다. [9] 기업가치 28억 달러를 평가받은 화장품 브랜드 펜티 뷰티 지분의 50%를 보유하고 있다. 란제리 브랜드인 새비지 X 펜티도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을 평가받았으며,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다. [10] 나이키와의 27년 간의 파트너십으로 누적 5억 달러 이상을 받았으며, 대회 누적 상금은 2억 달러에 육박한다. 이 외에도 각종 사업을 벌이고 있다. [11] NBA 누적 연봉 5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나이키와 맺은 종신계약의 규모는 1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 에어 조던에 이은 2위 시그니처 시리즈인 나이키 르브론의 로열티로 매년 수 천만 달러를 수령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2] 은퇴 이후 생명보험사인 에퀴트러스트를 비롯한 각종 지분 투자가 대박나며, 억만장자 대열에 합류했다. [13] Law&Order, FBI 등이 성공하면서, 2024년 억만장자 리스트에 추가되었다. [14] 2020년대에 투어와 음반 판매 신기록을 갈아치우며, 사상 최초로 사업 없이 음악 관련 활동만으로 억만장자에 등극한 인물이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