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23:33:08

아크 더 래드 시리즈

아크 더 래드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18732e26.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HHJ7NH5FL.jpg 파일:external/img.gamefaqs.net/38395_front.jpg
1. 개요2. 시리즈 일람3. 등장인물
3.1. 아크 더 래드3.2. 아크 더 래드 23.3. 아크 더 래드 33.4. 아크 더 래드: 기신부활3.5. 아크 더 래드: 정령의 황혼3.6. 아크 더 래드: 제너레이션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4.1.1. 주제가
4.1.1.1. OP4.1.1.2. ED14.1.1.3. ED2
4.1.2. 회차 목록

1. 개요

アークザラッドシリーズ / Arc the Lad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RPG 시리즈로 신생 콘솔로서 RPG의 불모지였던 플레이스테이션 유저들의 숨통을 트이게 해준 시리즈이다.[1] 대개 아크 더 래드 2를 명작으로 꼽는다.

모든 아군들을 풀 보이스로 녹음하고 오케스트라를 사용한 웅장한 BGM 등 사운드면에서 돈 꽤나 썼던 RPG로[2] 시뮬레이션 방식이지만 그 당시 희귀했던 컨버트 시스템(요즘 흔히 있는 전작의 세이브 데이터 링크)으로 눈길을 끈 아크 더 래드 2가 발매되었던 1996년도까지만 해도 3D 캐릭터와 ARPG적인 요소가 강했던 와일드 암즈 시리즈와 함께 PS1 RPG 게임의 양대산맥 이었다. 물론 파이널 판타지 7 발매와 동시에 두 작품 다 버로우를 타야 했지만...[3] 과장이 아니라 정말 그 당시에는 대표적인 PS1의 서드파티로 명성이 높았다.

아크 더 래드 1은 자잘한 서브 이벤트 등으로 나름대로의 파고들기 요소는 있었으나 실질적으로는 서장에 불과했고 본격적인 이야기로 돌입하는 작품은 아크 더 래드 2이다. 아크 더 래드 3는 2의 후일담을 다루었다.

2편에는 특이하게도 국내 온라인 게임의 장비 강화와 아주 비슷한 장비 강화 시스템까지 도입이 돼있는데다 장비 조합이 가능했고 몬스터들이 꽤나 다양한 아이템을 드랍하기 때문에 노가다 하는 맛도 있었던데다 자잘한 퀘스트와 서브 이벤트 또한 많아서 즐길 거리가 상당히 많았다. 컨버트를 할 경우에만 진행 가능한 특수 이벤트 같은 것도 존재.

플레이스테이션 2로도 4편인 정령의 황혼이 발매되면서 시리즈가 이어지나 했지만, 4의 작품성이 매우 떨어지고 인기도 없었던 관계로 듣보잡 취급을 받으며 폭망. 결국 초반의 영광도 무색하게 현재는 대가 끊긴 상태.

실제로 1·2편과 3편을 비교해보면 차이가 (안 좋은 쪽으로) 꽤 크게 느껴진다. 4편에서는 아예 시간적 배경도 그렇고 캐릭터도 죄다 물갈이가 되었는데 이전 캐릭터들보다 한참 못 한 캐릭터들만 잔뜩 나와서 크게 실망한 유저가 많다. 차라리 기신부활을 다듬어서 4편으로 했어도 이 정도까지 말아먹진 않았을 텐데... 사실은 모종의 이유로 3편부터 제작사가 바뀐 탓에 이렇게 되고 말았다.

적을 공격할 때의 타격감과 박진감이 상당하고, 플레이스테이션이 당시 차세대 콘솔임을 자랑하듯 아군 캐릭터마다 성우가 기용되어 있어 전투시 대사나 기합성을 듣는 것도 쏠쏠한 재미가 있다.

제목에는 별 의미가 없다. 그냥 '소년 아크'라는 뜻. 이 제목은 아크가 주인공 자리에서 물러난 이후로도 계속 사용되었다.

창세기전 시리즈와 유사한 점이 상당히 많다. 양측 다 1·2편이 하나의 작품으로 기획되어 있었지만 발매 스케쥴상 두 편으로 나누어 발매됐다는 것,[4] 2편 이후로도 시리즈가 계속되었다는 것과 아크 더 래드 시리즈의 역대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아크 더 래드 제너레이션과 현재 개발되었던 창세기전 4도 나름 유사점이 있다. 평행이론이 연상될 정도.

2019년 아크 더 래드 R이라는 이름으로 스마트폰으로 발매한다고 한다.

2. 시리즈 일람

3. 등장인물

3.1. 아크 더 래드

필요 경험치 량은 쿠쿠루>케락>포코&모프리&오돈&헤모지&쵸코>아크&톳슈&이가&풍신&뇌신>고겐 순

3.2. 아크 더 래드 2

필요 경험치 량은 엘크&리자[15]>슈우&샹테&그루거&사니아 순[16]

3.3. 아크 더 래드 3

3.4. 아크 더 래드: 기신부활

3.5. 아크 더 래드: 정령의 황혼

3.6. 아크 더 래드: 제너레이션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아크 더 래드 (1999)
アークザラッド
파일:아크더래드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감독 카와사키 이츠로
시리즈 구성 오모데 아케미(面出明美)
카와사키 이츠로
스토리 감수 아카가와 료지(赤川良二)
캐릭터 디자인 키쿠치 요코
메카닉 디자인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미술 감독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색채 설정 카타야마 유미코(片山由美子)
촬영 감독 모리시타 세이이치(森下成一)
특수 효과 무라카미 마사히로(村上正博)
편집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음악 오오시마 미치루
애프터레코드 연출 마츠카와 리쿠(松川 陸)
프로듀서 카츠마타 히데오(勝俣英夫)
애니메이션 제작 BEE TRAIN
제작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SPE 비주얼 웍스
방영 기간 1999. 04. 05. ~ 1999. 10. 1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WOWOW / (월) 19: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999년 4월에 애니메이션화되어 방영되었다. 감독은 카와사키 이츠로. 13화까지는 원작 2편을 베이스로 했으나, 14화부터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흘러가 완결되었다. 당연히 원작 팬들에게는 흑역사화 되어 묻혔다.

4.1.1. 주제가

4.1.1.1. OP
OP
Arc The Lad -Main Them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곡 안도 마사히로(安藤まさひろ)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와사키 이츠로
연출
작화감독 키쿠치 요코
메카 작화감독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작화 코모리 타카히로, 이토 노부타케
}}}}}}}}} ||
4.1.1.2. ED1
ED1
Happy Tomorrow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NiNa
작사 YUKI
Kate
작곡 Ma-Chang
YUKI
편곡 사쿠마 마사히데(佐久間正英)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와사키 이츠로
연출
작화감독 키쿠치 요코
메카 작화감독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1.1.3. ED2
ED2
Rest In Peac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NiNa
작사 YUKI
작곡 Ma-Chang
YUKI
편곡 사쿠마 마사히데(佐久間正英)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와사키 이츠로
연출
작화감독 키쿠치 요코
메카 작화감독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작화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세키구치 카나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炎の少年
불꽃의 소년
오모데 아케미
(面出明美)
카와사키 이츠로 타다 슌스케 키쿠치 요코 1999.04.05.
제2화 運命のはじまり
운명의 시작
스도 타카시
(須藤 隆)
츠바타 요시아키
(津幡佳明)
1999.04.12.
제3화 時雨の心地
단비의 심지
이시카와 마나부
(石川 学)
테라히가시 카츠미
(寺東克己)
타카기 시게키
(高木茂樹)
테라사와 신스케
(寺沢伸介)
1999.04.19.
제4화 蒼き女神
푸른 여신
야마베 야스오[24]
(山部康男)
쿠사카 고로
(日下吾郎)
카와사키 이츠로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이구치 츄이치 1999.04.26.
제5화 犯罪者たち
범죄자들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마츠조노 히로시
(松園 公)
타다 슌스케 키쿠치 요코 1999.05.03.
제6화 波音の彼方
파도소리의 저 너머
오모데 아케미 히시카와 나오키
(菱川直樹)
카와사키 이츠로 츠바타 요시아키 1999.05.10.
제7화 古の守護者
태고의 수호자
이시카와 마나부 테라히가시 카츠미 카와구치 진
(川口 仁)
테라사와 신스케 1999.05.17.
제8화 逃亡
도망
야마베 야스오 쿠사카 고로 키미야 시게루
(木宮 茂)
무라카미 츠토무
(村上 勉)
1999.05.24.
제9화 残された友
남겨진 친구
이시카와 마나부 이타니 키요타카
(井硲清高)
타다 슌스케 박형인
(朴炯仁)
1999.05.31.
제10화 名も無き十字軍
이름 없는 십자군
야마베 야스오 히시카와 나오키 와타나베 스미오
(渡辺純央)
무라타 토시하루 1999.06.07.
제11화 孤独な勇者
고독한 용사
오모데 아케미 테라히가시 카츠미 타다 슌스케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1999.06.14.
제12화 白い家
새하얀 집
아미야 마사하루
오모데 아케미
쿠사카 고로 카와사키 이츠로 키쿠치 요코
테라오카 켄지
(寺岡賢司)
1999.06.21.
제13화 微笑みの聖母
미소의 성모
이시카와 마나부
오모데 아케미
히시카와 나오키 카와구치 진 츠바타 요시아키
키쿠치 요코
1999.06.28.
제14화 精霊の巫女
정령의 무녀
오모데 아케미 테라히가시 카츠미 와타나베 스미오 테라사와 신스케 1999.07.05.
제15화 焔立つ
불타다
야마베 야스오 와타나베 스미오 타다 슌스케 박형인 1999.07.12.
제16화 奪還
탈환
이시카와 마나부 테라히가시 카츠미 카와구치 진 키쿠치 요코
테라오카 켄지
1999.07.19.
제17화 緋色の王城
비색의 왕성
오모데 아케미 쿠사카 고로 蹴見川球 후지이 마키
(藤井まき)
1999.07.26.
제18화 キメラ使い
키메라 사용자
아미야 마사하루 카와사키 이츠로 와타나베 스미오 츠바타 요시아키 1999.08.02.
제19화 両雄対決
두 영웅 대결
야마베 야스오 쿠사카 고로 카와구치 진 박형인 1999.08.23.
제20화 再会
재회
이시카와 마나부 테라히가시 카츠미 니시무라 사토시
(西村智史)
키쿠치 요코
진노 타카시
(神野高史)
테라사와 신스케
1999.08.30.
제21화 真実の在処
진실이 있는 곳
오모데 아케미 쿠사카 고로 카와구치 진 키쿠치 요코
츠바타 요시아키
1999.09.06.
제22화 影に潜む
그림자에 숨어들다
야마베 야스오 카와사키 이츠로 와타나베 스미오 키쿠치 요코
테라오카 켄지
1999.09.13.
제23화 凍れる瞳
얼어붙는 눈동자
아미야 마사하루 야마모토 유스케
(山本裕介)
타다 슌스케 박형인
키쿠치 요코
1999.09.20.
제24화 闇の胎動
어둠의 태동
오모데 아케미 타다 슌스케 타카기 시게키 테라사와 신스케 1999.09.27.
제25화 聖柩
성구
히시카와 나오키 와타나베 스미오 츠바타 요시아키
에모리 마리코
(江森真理子)
1999.10.04.
제26화 輝の少年
광휘의 소년
카와사키 이츠로 타다 슌스케 키쿠치 요코
테라오카 켄지
1999.10.11.

[1] PS 초기는 RPG 계열 라인업이 정말 부족했었다. 실제로 FF7이 나올 때까지, PS 진영의 RPG라면 본문의 2작품을 제외하면 SRPG까지 포함해도 코나미의 반달 하츠1 환상수호전 1 정도가 고작이었다. [2] 음악은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의 오프닝 Moon over the castle로 유명한(사실 이게 아니어도 원래 유명했다) 티스퀘어의 리더인 안도 마사히로가 맡았다. 타이밍도 혼다 마사토가 있던 밴드 최전성기 타이밍. [3] 비단 이 두 작품 뿐만이 아니라 파판7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 많은 작품들이 묻혀버린 건 어쩔수 없었던 때였다. [4] 좀 더 살펴보면 1·2편을 통합해 볼 때 1편부터의 주인공인 아크가 전체적인 주인공인 것도 흑태자가 1·2편에 걸쳐 실질적인 주인공을 한 창세기전과의 공통점일지도 모른다. 또한 차이점으로는 이야기가 조금이지만 정리되는 아크 더 래드 1과 결말에서 스토리의 전환은 일어나지만 특별히 정리는 되지않는 창세기전 1을 들 수도 있다. [5] 원더스완 컬러 전용으로만 발매되었다. [6] 2편에서는 어지간한 애들은 회복이랑 버프가 가능해서 정식으로 아군에 들어왔으면 더 초라했을지도 모른다. [7] 복장이나 전투시 포즈가 꽤나 활동적. 물리 공격 대미지도 상당히 높다. [8] 안델이 성궤를 깨버린 거랑 마지막에 가이델이란 똥멍청이가 암흑의 지배자에 봉인을 푸는 병크.. 둘 중에서 하나만 일어난 정도로 끝났다면 둘다 살고 세계가 안 망했을 것이다. [9] 3편에서는 다시 부활한 암흑의 지배자를 다시 만든 성궤로 봉인해버린다. [10] 한명만 공격 가능하지만 위력도 쓸만한데다 맞은 적은 매턴마다 계속 적지 않은 데미지를 입는다. [11] 쵸코의 경우는 2편에서 처음 등장시 능력치는 동일한 수준이지만 다른 소환수와는 다르게 컨버트시엔 레벨이 1이고 안하면 레벨이 50으로 능력치는 같은데 레벨이 다른 케이스라서 웬만하면 컨버트 하는 게 이롭다. 특정 장소에서 얻어야 하는 라이진과 후우진의 경우 컨버트시 마법 공격이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강해진다. 마법공격력만 놓고보면 2편 최강이며 평타가 아주 찰지다. [12] 챠지 단계에 따라 기본 공격의 데미지가 뻥튀기 되는 요소로 평타로 한대 치면 효과가 사라진다. 원기침 같은 아이템을 먹거나 챠지 스킬을 사용하면 최대 7단계 까지 가능하고 장비시 챠지 효과가 있는 아이템을 장착시 2~4 단계까지 자동 챠지가 된다. [13] 상대 HP보다 보다 훨씬 높은 수치의 데미지를 아무렇지도 않게 뽑아내는 무식한 평타 공격력과 찰진 타격감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이 꽤 많았다. [14] 설정상으론 여러모로 대단한 캐릭인데 어째 본편의 스토리와는 딱히 관련이 없는 인물이다.. [15] 필요 경험치량은 포코&모프리&오돈&헤모지&쵸코와 동일 [16] 필요 경험치량은 아크&톳슈&이가&풍신&뇌신과 동일 [17] 안델의 부하들의 소행이었는데, 이때 이들이 쓴 비행선이 훗날 아크의 기함이 되는 실버노아라서 아크를 원수로 착각하고 있었다. [18] 유년기에도 익스플로전 한방으로 적 병사들을 쓸어버리고, 열차포에 잠입할 때에는 근접거리에서 쏜 포탄을 단칼에 쪼개버린다. 3편의 몇몇 이벤트에서도 엄청나게 강해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 [19] 러비슈라는 특수능력으로 몬스터를 잡아 아군으로 삼는 게 가능한데 클레스가 높은 몬스터 일수록 잘 안 잡히고 일정 클레스 이상인 몬스터는 아예 잡히지 않는다. 그래서 사니아의 트랜스 에너미로 클레스를 바꿔서 잡는 편법도 가끔 필요하다. 특이한 건 공개수배된 몬스터를 이걸로 잡는 게 가능하다는 것. [20] 트랜스 에너미는 적의 위치를 강제로 바꾸는 사니아의 특수기술이며, 적 몬스터의 클래스를 강제로 바꾸는것은 P레티센트 유닛을 장착한 지크벡의 체인지 에너미. 참고로, 체인지 에너미로 클래스를 강제로 변경한 몬스터는 러비슈로 잡을 확률이 0%로 고정된다. 아크더래드 몬스터게임에서 2P 대전을 통해 자신의 몬스터를 마개조하는 것은 가능. [21] 총과 킥 둘다 기본으로 설정된 공격력이 낮은편이라 대장간을 많이 이용해서 장비능력강화 메뉴를 개방시키고 최소 +4까지는 강화시켜둬야 공격력이 좀 강해진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총과 킥을 풀강화(10강)하지 않는 이상은 검,도,도끼의 공격력을 따라가지 못해서 결국은 공격력이 처진다. 그런데 이게임은 대체적으로 초기 공격력이 낮은 무기가 강화시의 능력 상승폭이 큰 편이라 초반에 나오는 장비 아이템도 끝까지 강화하면 준 최강급 수준으로 쓸만해진다. 그래서 그런지 초반 합류 캐릭의 초기장비 무기의 경우 풀강화시 공격력이 무식하게 강해진다. [22] 2에서 언데드는 막타를 치면 HP가 1 남은 상태로 전투불능이 되는데 이 상태에서 그대로 놔두면 HP를 회복하여 부활한다. 빛 속성의 캐릭터의 공격 또는 빛 속성의 특수능력, 무기로 마무리할 경우에만 즉시 소멸. [23] 여담이지만 이 이벤트 때문에 몬지베기의 위력이 셀것 같기도 한 느낌을 받지만 실제로는 공격력이 아주아주 약한 필살기이다... 대신 맞춘 상대의 모든 능력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24] 야마노베 카즈키(山野辺一記)의 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