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05:49:43

아모스(성경)


파일:bible-1297745_960_720.png 성경의 구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구약성경 ]
{{{#!wiki style="margin:-5px 0 -5px"
히브리 성경
모세오경 창세기 · 출애굽기 · 레위기 · 민수기 · 신명기
역사서 여호수아 · 판관기 · 룻기 · 사무엘기 · 열왕기· 역대기 · 에즈라 · 느헤미야 · 에스델
시가서 욥기 · 시편 · 잠언 · 전도서 · 아가


대​예언서 이사야 · 예레미야 · 애가 · 에제키엘 · 다니엘
소​예언서 호세아 · 요엘 · 아모스 · 오바디야 · 요나 · 미가 · 나훔 · 하바꾹 · 스바니야 · 하깨· 즈가리야 · 말라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구약의 제2경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f7f7f><colcolor=#fff> 제2경전
가톨릭 · 정교회 토비트 · 유딧 · 마카베오기 · 지혜서 · 집회서 · 바룩 · 다니엘 일부 · 에스델 일부
정교회 에스드라스 1서 · 송시 · 마카베오기 3서 · 므나쎄의 기도 · 시편 151편
테와히도 에녹 1서 · 희년서 · 메카비안 1서·2서·3서 · 바룩의 나머지 말 · 요시폰
그 외 에스드라스 2서 (Ge) (aM) (SY) (eT) · 마카베오기 4서 (조지아) · 바룩의 편지 (시리아)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신약성경 ]
{{{#!wiki style="margin:-5px 0 -10px"
신약성경
복음​서 공관​복음서 마태오의 복음서 · 마르코의 복음서 · 루가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
역사서 사도행전
바울​로
서간
교리​서간 로마서 · 고린토전서 · 고린토후서 · 갈라디아서
옥중​서간 에페소서 · 필립비서 · 골로사이서 · 필레몬서
일반​서간 데살로니카전서 · 데살로니카후서
목회​서간 디모테오전서 · 디모테오후서 · 디도서
저자​미상 히브리서
공동서신 야고보서 · 베드로전서 · 베드로후서 · 요한 서간 · 유다서
예언서 요한의 묵시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테와히도 정교회의 확장된 정경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7f7f7f><colcolor=#fff>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Sinodos (Sirate Tsion · Tizaz · Gitsew · Abtilis) · I Dominos · II Dominos · Clement · Didesqelya }}}}}}}}}
}}}}}}}}}}}} ||
성경의 목차 | 위경 및 제안된 문서

<rowcolor=#ffffff> ◀ 이전 아모스
아모
/
다음 ▶
요엘 오바디야
파일:Amos.png
언어별 명칭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히브리어 עמוס ('amos)
그리스어 Ἀμώς (Hamṓs, 고대)·Αμώς (Amós, 현대)
라틴어 Prophetia Amos
영어 Book of Amos
중국어 亞毛斯
일본어 アモス書 (アモスしょ)
기본 정보
저자 아모스
기록 연대 B.C. 753년경(전통적 견해)
분량 9장
주요인물 아모스
너희가 바치는 번제물과 곡식제물이 나는 조금도 달갑지 않다. 친교제물로 바치는 살진 제물은 보기도 싫다. 거들떠보기도 싫다. 그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집어치워라. 거문고 가락도 귀찮다. 다만 정의를 강물처럼 흐르게 하여라. 서로 위하는 마음이 개울같이 넘쳐 흐르게 하여라.
아모스 5장 22~24절 ( 공동번역 성서)
1. 개요2. 상세3. 내용 요약 및 기독교적 해석

[clearfix]

1. 개요

구약 성경의 37번째/30번째 권이자 해당 책의 저자.

2. 상세

예언자 아모스의 언행을 수록한 책이다. 이름의 의미는 '짐 진 자'. 이사야의 아버지인 아모쓰(אמוץ, 가톨릭 성경에서는 아모츠)와는 다른 인물이다.

아모스는 유다 왕국 출신으로 축산업(양 키우기)과 농업(무화과 재배)에 종사하다가 하느님의 명령을 받고 이스라엘 왕국으로 올라가서 북왕국의 권력자와 부자들, 귀족과 성직자들의 부패와 타락을 신랄하게 비판했다고 전해지는데 그 신랄한 비판의 언행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전승에 따르면 아모스는 아마샤[1]에게 고문을 당했는데 그후 아마샤의 아들[2]에 의해 관자놀이 당해 죽고만다

최근 학자들은 아모스의 예언자로서의 경력과 아모스서가 만들어진 연대를 의심하며, 정확한 연대제시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특히 아모스의 환시 부분이나 다윗 왕정에 대해 언급한 부분은 최소한 신명기계 사서가 확립된 이후의 가장 늦은 창작물이라는 설이 많다. 다만 아모스를 진짜 당대의 예언자로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크게 갈린다

가장 잘 알려진 대목은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연설 " I have a dream"에서 인용한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라"이다. 이 구절의 전체 맥락은 '호화로운 잿밥 따윈 때려쳐라. 다만 공정(의로움)과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라'는 아주 좋은 말이다. 또한 이 대목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결정문의 결론 부분에도 인용되었다.

온갖 사치와 향락을 일삼으며 형식적으로 종교생활을 하고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을 압제하는 상황을 보고 개탄하면서 상당히 과격한 욕설도 서슴지 않고 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우리나라에선 암울했던 군사 독재 시절에 진보적 계통의 개신교 목사들이 주로 아모스서를 가지고 설교를 했다고 한다.

한편 아모스는 글 막판인 9장 끝부분에서 이러한 정의롭지 못한 체제가 박살나고, 정의의 기초 위에 평화가 구현된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비전과 희망을 간단하게 제시했다.[3] 9장 13절에서 김회권의 단골 레퍼토리인 새 포도주가 흘러내린다는 말이 나오는데, 김회권에 따르면 '새 포도주'는 '낡은 가죽부대'로 표현된 정의롭지 못한 사회를 뒤집어 엎고 새로운 세상, 곧 '대안적 세계질서'를 구현하는 하나님의 능력을 뜻한다(<김회권 목사의 청년 설교 1>에서 발췌).

이것이 더 후대에 활동한 이사야, 미가의 글이나 이스라엘이 멸망하기 직전에 살았던 예레미야, 에스겔의 글에 가서는 아주 구체적으로, 정의의 기초 위에 평화가 구현된 새 세상이 어떠한 곳일지에 대한 비전이 나오게 된다. 아모스는 자기 이름으로 글을 쓴 예언자들 가운데 가장 연대가 빠른 예언자로써, 이후 예언자들의 글은 대부분 아모스가 사용한 '탐욕과 이기심 → 핍박과 착취로 인해 정의롭지 못한 현실 → 하느님의 심판 → 회복과 하느님의 따뜻한 사랑 → 미래에 열릴 정의롭고 평화로운 새 세상에 대한 희망' 구도를 따라 서술되어 있다.

3. 내용 요약 및 기독교적 해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신교 용어로 적힌 요약에 대한 내용은 히브리 성경/요약 문서
번 문단을
아모스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모스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은데, 구약의 예언서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은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해석과 영적인 해석을 적절히 혼합하여 해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1] 남유다의 9대 왕 아마샤가 아니라 아모스를 비난한 제사장이다 [2]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3] 사도행전 15장 16-18절에서 이 부분이 인용되었다. 이스라엘의 회복 문서 참조. [4] 하늘로 올라가도 하늘에서 끌어내려질 것이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3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