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F08A,#FFB6D9><tablebgcolor=#3B3A36><tablecolor=#FCF08A,#FFB6D9>
녹정기 鹿鼎記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
저자 | ||||
김용(金庸) | |||||
등장인물 | |||||
주인공과 7명의 부인 | |||||
위소보 쌍아 · 아가 · 건녕공주 목검병 · 증유 · 방이 · 소전 |
|||||
<rowcolor=black,#f1f1f1> 대청국 | 천지회 | ||||
강희제 · 황태후 · 해대부 · 오배 · 걸서 · 색액도 · 다륭 · 시랑 · 장용 · 왕진보 · 손사극 · 조양동 · 장강년 · 조제현 · 서동 · 오지영 | 진근남 · 오륙기 · 서천천 · 현정도인 · 풍제중 · 전노본 | ||||
철검문 | 신룡교 | ||||
구난사태 · 아기 · 도홍영[A] | 홍안통 · 모동주 · 유연 · 육고헌 · 반두타 · 수두타 · 등병춘 · 종지령 · 장담월 · 무근 · 허설정 · 은금 | ||||
목왕부 | 화산파 | ||||
목검성 · 유대홍 · 오립신 · 유일주 · 오표 · 백한풍 · 백한송 | 귀신수 · 귀이랑 · 귀종 · 하척수 | ||||
소림사 | 청량사 | ||||
회총 · 징관 · 징심 · 징통 | 징광 · 옥림 · 행치 · 행전 | ||||
평서왕부 | 동녕국 | ||||
오삼계 · 오응웅 · 하국상 · 양익지 · 마보 · 노일봉 | 정극상 · 풍석범 | ||||
한족 유학자 | 기타 인물 | ||||
고염무 · 황종희 · 여유량 · 사계좌 · 명사안 | 위춘방 · 모십팔 · 장씨 부인 · 진원원 · 이자성 · 소피아 · 갈이단 | ||||
2차 창작 | |||||
영화 녹정기 (1983) ·
녹정기 시리즈 (1992) · 마등출영 (1993)드라마 녹정기 (1977)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녹정기 (1998) · 소보와 강희 (2000) · 녹정기 (2008) · 녹정기 (2014) ·
녹정기 (2020)
|
|||||
[A]: 도홍영은 철검문 제자는 아니나, 구난사태의 공주 시절 궁녀로서 그의 지시를 충실히 따르므로 같은 칸에 표기함. | }}}}}}}}} |
녹정기의 등장인물 쌍아 雙兒 / Shuāng'ér |
||
|
||
▲ 드라마 〈
녹정기 2020〉의 쌍아( 양치루(杨祺如) 분) |
||
<colbgcolor=#3B3A36><colcolor=#FCF08A,#FFB6D9> 성별 | 여성 | |
민족 | 한족 | |
자택 |
귀곡산장(鬼哭山莊) ( 청나라 직례성 북경순천부 근방) |
|
통식도(通食島) ( 청나라 봉천성 근방 해역의 섬) |
||
위부(韋府) ( 청나라 직례성 북경순천부) |
||
가족 |
위소보 (배우자) 오륙기 (의형) 소전 (위소보의 1처) 방이 (위소보의 2처) 건녕공주 (위소보의 3처) 증유 (위소보의 4처) 아가 (위소보의 5처) 목검병 (위소보의 7처) 위쌍쌍 (위소보의 장녀)[1] 위호두 (위소보의 장남)[2] 위동추 (위소보의 차남)[3] 위춘방 (시어머니) |
|
등장작품 |
- 소설 《
녹정기》 (원작) - 각종 2차 창작 작품 |
[clearfix]
1. 개요
雙兒소설 《 녹정기》의 등장인물이자 메인 히로인.
위소보의 6처이자 호위무사. 성(姓)은 확실치 않다. 절강성(浙江省) 호주(湖州) 남심진(南潯鎭) 출신[4]으로, 어린 시절 부모가 매국노 오지영(吳之榮)의 밀고 때문에 죽임을 당했다.[5] 위소보가 귀곡산장에서 갔을 때 처음 만난 여인으로, 지능이 높고 무공도 뛰어나며 제 몸을 내던져 위소보를 지킬 정도로 일편단심이다. 《 의천도룡기》의 소소와 마찬가지로 메이드 성향의 인물이다. 앞선 이유들로 인해 위소보도 7명의 부인 중 쌍아를 가장 아낀다.
그 뿐만 아니라 일곱 부인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다.[6] 소설 초반에 언급된 명사집략(明史輯略) 사건의 직접적인 피해자일 뿐만 아니라 위소보가 승려가 되어 오대산에 갈 때, 신룡교에 납치를 당했을 때,[7] 건녕공주의 혼인 건으로 운남 평서왕부로 갈 때, 해전 도중 신룡교의 함정에 빠졌다가 벗어나서[8] 한겨울에 만주의 녹정산(鹿鼎山)을 거쳐 러시아로 향할 때, 그리고 러시아 측과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할 때에도, 쌍아는 언제나 위소보 곁에 있었다. 게다가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에서 얻은 지도 조각들을 밤새 맞춰준 것도 쌍아였다. 위소보가 안 좋아할래야 안 좋아할 수가 없는 인물인 셈. 여춘원(麗春院) 사건 직후 증유, 목검병과 마찬가지로 가장 일찍 위소보의 부인이 된다.
스승은 화산파의 하척수. 의형(義兄)은 천지회의 홍기향주(紅旗香主)인 오륙기이다.
2. 특징
|
<rowcolor=#FCF08A,#FFB6D9>
영화 〈녹정기 시리즈(1992)〉에서의 모습[9] ◀ (소쌍: 진덕용(陳德容) 분) (대쌍: 원결영(袁潔瑩) 분) ▶ |
원래 절강성 호주 장(莊)씨 집안의 어린 하녀였지만, 위소보가 오배를 죽여 장씨 집안의 원한을 풀어준 뒤, 장씨 집안의 선물로 위소보의 하녀가 된다. 어리지만 무공의 제법 뛰어나서 위소보의 호위무사 역할을 한다. 일곱 부인 중에 위소보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부인이다. 맡고 있는 포지션은 메이드와 여전사. 위소보에게 매우 헌신적이어서 위소보가 위험에 빠졌을 때 목숨을 아끼지 않고 그를 보호한다. 위소보도 쌍아에게 가장 친근감을 느끼고 매우 아끼며 자신의 보배이자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3. 작중 행적
|
드라마 〈녹정기 2020〉에서의 모습 ( 양치루(杨祺如) 분) |
명사집략(明史輯略) 사건으로 주인 장윤성이 사망하고 장씨 가문이 멸문하면서 남자들이 전부 죽고 여자들만 살아남아 만주의 오지로 노예로 끌려갈 때 벽혈검에도 나오는 하척수가 우연히 이들을 구해주고 제자로 삼은 뒤 화산파 무공을 전수 해 주었다. 때문에 쌍아가 배운 무공도 화산파의 무공이지만 하척수가 이들을 정식으로 화산파 제자로 삼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화산파 무공을 익혔다는 사실도 모른다. 쌍아는 당시 아주 어렸지만 역시 집안의 하녀로 같이 끌려갔고 집안이 망하는 과정을 어린 눈으로 지켜보았다. 위소보가 오배를 죽여서 장씨 집안의 원수를 갚아준 사실이 밝혀지자 장씨 가문에서 이에 대한 보답으로 위소보에게 쌍아를 선물로 준다. 그리고 위소보는 쌍아라는 훌륭한 선물에 대한 보답으로 나중에 장씨 가문의 또 하나의 원수인 오지영을 잡아다 준다.
《 의천도룡기》의 소소의 뒤를 이른 메이드형 히로인. 나이에 비해 무공실력이 뛰어나고 글도 읽을 줄 알고 눈치가 빠르고 영리하여 위소보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여인이다. 무협소설이라 메이드라고 대놓고 나오지는 않지만 하녀로서 성심성의껏 주인 위소보를 섬기는 모습은 그야말로 메이드의 귀감. 등장초기부터 매우 모에하며 위소보가 강희제의 명령으로 거짓으로 소림사에 출가하자 상공이 중이 된 줄 알고 훌쩍훌쩍 울어대며 위소보도 그를 매우 아끼게 되어, 나중에 강희제의 체포를 피해 달아나면서 헤어지게 되자 하루에 열번은 몰라도 여덟은 생각하게 되는 정도. 아가와 쌍아가 동시에 나타나자 위소보가 자기가 외모에 반해서 쫓아다니던 아가를 잠시 잊을 정도. 게다가 다른 여인들은 위소보의 농간으로 기존 연인과의 사이가 틀어지거나 약물에 취해 몸을 빼앗기는 등 사정상 그에게 몸을 의탁할 수 밖에 없어 체념하듯이 위소보를 받아들이는 편인데 비해, 쌍아는 위소보를 처음 만날 때부터 형편이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초지일관 위소보를 위하는 일편단심 캐릭터라 더욱 돋보인다. 특히 위소보의 수하 병사로 위장하고 있다가 아가의 일격을 자신의 몸으로 대신해서 받아내는 장면에서는 위소보를 얕보던 사람들도 쌍아의 충성심에는 감탄할 정도다.
천지회 당주인 오륙기와 의남매를 맺었는데 그가 쌍아와 의남매를 맺은 이유는 첫째로 그녀가 마음에 들어 위소보와 맺어주고 싶은데 그녀가 하녀였으므로 그녀의 신분을 높여주기 위함이고 둘째로 외국에서 입수한 총을 의남매를 맺은 기념선물로 주어 그 총으로 주인인 위소보를 지켜달라는 배려였다. 후에 오륙기의 사망을 알게되자 크게 슬퍼했지만 원수가 귀신수의 아들인 귀종이고 오삼계의 속임수에 당해 한 짓이라 복수하지 못했다. 그리고 선물받은 총으로 위소보를 위기에서 구한다.
위소보도 드러내놓고 내색은 안하지만 자신을 오랫동안 섬기며 동고동락한 쌍아를 다른 아내들 중에서도 더욱 아낀 듯하다. 여자 쪽에서만 적극적인 건녕공주와 달리 쌍아와 위소보가 대화를 나누는 장면들은 상당히 낯간지러운 장면들이 많다.
4. 2차 창작
4.1. 영화
주성치가 위소보로 분한 영화 〈 녹정기(1992)〉에선 진짜 쌍둥이로 나왔다. 대쌍은 원결영(袁潔瑩)[10], 소쌍은 진덕용(陳德容)이 분했는데, 원래 샴쌍둥이였으나 천지회의 신묘한 의술로 분리수술을 받았다. 진근남이 고관대작이 되어 슬슬 천지회에서 발을 빼려는 위소보를 감시할 겸 사기를 돋구어주기 위해서 붙여준다. 감각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위소보가 이를 시험해보기 위해서 발 간지럽히기, 어깨맛사지 등을 하는 것을 에로틱하게 보여주면서 관객들을 낚다가 슴만튀를 시도하는데 덕분에 처맞고 만다. 하지만 쌍아가 이미 자신들은 위소보의 여자라고 하는 말에 사기충천해서 다시 딴짓을 시도하려다가 건녕공주가 들어오면서 급히 침상에 숨게 된다. 그리고 바람 피우는 거 아니냐고 추궁하는 건녕에게 위소보가 지나치게 오바를 하는 바람에 분노하여 위소보를 두들겨팬다. 소란을 듣고 건녕이 쌍아의 존재를 확인하고 죽이겠다고 난리를 피우자 건녕을 사로잡아서 감시하게 되는데, 용아가 가둬놓은 진짜 태후를 발견하는 공을 세우게 된다.2편에도 등장하지만 비중은 다소 줄었고, 임청하의 모습으로 돌아온 용아에게 패하고 만다. 그래도 나중에 건녕공주보다도 서열이 높은 본부인으로 대접받게 된다.
4.2. 드라마
|
드라마 〈녹정기 2020〉에서의 모습 ( 양치루(杨祺如) 분) |
2020년에 방영한 드라마 〈 녹정기 2020〉에서는 당시 신인 배우였던 1999년생 양치루가 위소보의 여섯째 부인인 쌍아 역을 맡았다. 막내 부인 목검병 역을 맡은 배우 관신(关芯)은 1994년생으로 5살 더 많은데, 양치루가 정숙한 이미지인 반면 관신은 나이에 비해서 어려보이는 외모다 보니, 둘 다 원작 소설 속 등장인물의 이미지와 잘 들어맞는 캐스팅이라고 볼 수 있다.
배우 탕이신이 맡은 건녕공주가 메인 히로인[11]이 되었기 때문에, 본래 메인 히로인이었던 쌍아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어 보인다. 그렇다고 쌍아 캐릭터를 소홀하게 묘사한 것도 아니라서, 원작 팬들 입장에서 원작 소설과 내용이 살짝 달라서 거슬려하는 불편함 정도를 제외하곤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니다.[12]
쌍아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머리가 좋고 무술 실력도 뛰어난 인물이다. 위소보가 귀곡산장에서 신룡교 일파의 습격을 당했을 때인 12회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장발의 푼 머리에 흰색 계열의 옷을 입고 나타난다. 위소보가 촛불에 비친 쌍아의 아름다운 얼굴을 보고 한눈에 반한 듯한 표정을 짓는 것도 특징적이다. 이후 장씨 부인에게 작별 인사를 건네고 쌍아와 함께 오대산 청량사로 향한 위소보는, 방장(方丈) 징광대사에게 첫 인사를 하면서 황제의 명을 받든 '어전시위 부총관'이라고 소개하는데 쌍아가 경멸하는 눈빛으로 위소보에게 황당하다는 듯이 노려보는 게 인상적이다. 이후 위소보가 신룡교의 반두타에게 납치당했을 때, 정극상과 그의 사부 풍석범에게 습격을 당했을 때, 갑자기 신룡도에까지 끌려갔을 때, 건녕공주의 혼인 건으로 운남 평서왕부로 향할 때, 신룡교의 계략에 인질로 잡혔을 때를 비롯하여 거의 대부분의 위기 상황에서 쌍아는 해결사로 등장하여 위소보를 구출해내고 함께 위기 상황에서 탈출한다. 또한 원작에서처럼 《사십이장경(四十二掌經)》에서 찾은 지도 조각들을 끼워맞춰서 위소보의 총애를 받는다.
아쉽다고 볼 수 있는 건, 이 드라마에서는 원작 소설에서 위소보와 쌍아의 하트가 뿅뿅하는 부분인 '신룡교의 마수에서 벗어난 후 한겨울 눈밭을 지나서 러시아로 향하는 에피소드'를 통째로 지워버렸는데, 그러면서 위소보가 쌍아와 함께 추위에 벌벌 떨며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내용도 함께 사라지게 됐다. 그나마 남은 건 42회에서 북방 이민족[13]을 정벌하기 위해서 쌍아가 동행하는 장면만 남았다. 그럼에도 7명의 부인이 모두 모이기 전까지, 쌍아 입장에선 건녕공주의 다소간 거슬리는 행각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에피소드에서 쌍아는 위소보와 단둘이 지내면서 무척이나 사랑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그리고 천지회(天地會)의 홍기향주(紅旗香主)인 오륙기(吳六奇)와 의남매 관계를 맺는 묘사도 사라졌다.
한편 42회에서 강희제는 위소보의 저택인 '위부(韋府)'에 돌연 들러서 친조카들을 만나고 7명의 부인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모임이 끝나고 위소보에게 뜬금없이 유독 쌍아만 콕 찝어서 '내가 작게 말해도 잘 알아듣더라'라는 식으로 칭찬하는 장면이 나온다. 44회 막바지에서는 강희제가 위소보가 천지회 잔당들과 만남을 가졌던 사실을 위소보에게 드러내며 하나만 택하라고 강하게 압박한다.[14] 그리고 마지막회인 45회에서 위소보 일가가 갑자기 실종됐을 때 어전시위 총관 다륭으로부터 해당 사실을 보고받은 후 "우리에게는 감시자가 있잖아."라는 발언을 했고 다륭으로부터 다시 "감시자도 사라졌습니다."라는 말을 듣자 당황한 눈빛을 보인 후 곧 앙천대소(仰天大笑)를 터뜨린다.
사실 이건 원작 소설에서는 없던 묘사인데, 이 드라마의 전개로만 미루어봤을 때 '쌍아'가 감시자였을 가능성이 높다. 건녕공주는 공주 신분이고 워낙 성미도 제멋대로라서 감시자 역할로는 부적합하다. 위소보의 첫째 부인 소전은 위소보 집안의 브레인이고 사람들을 상대한 경험도 많은 터라 황제 자신이 오히려 휘둘릴 가능성이 높아서 역시 부적합하다. 다른 인물들은 황제가 감시자 후보로써 특별히 눈 여겨서 볼 만한 요소가 없다. 감시자는 감시대상으로부터 의심받지 않고 24시간 내내 붙어있을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하기 때문에, 가령 위소보 일가가 탈출할 때 함께했던 마부 같은 인물도 부적합하다.
앞서 언급한 조건들을 검토해보면 쌍아만이 유일하게 결격사유가 없다. 그나마 쌍아는 매국노 오지영의 밀고로 일가 전체가 피를 봤다지만, 오지영이 제거되면서 청나라와 성군(聖君)인 황제에게 원한을 가질 만한 게 없다.[15] 황제 입장에서는 그동안 첩자 노릇을 하던 천지회의 풍제중이 사라진 이후로 위소보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첩자가 필요했을 것이고, 가령 오지영의 목숨을 거두는 걸 대가로 쌍아와 거래를 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래봤자 다중첩자라는 존재는 필연적으로 어느 한쪽을 배신하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황제가 결국 제 꾀에 당한 건 어쩔 수 없는 결말이라고 할 만하다. 쌍아는 단순히 위소보의 배우자를 넘어서 그와 깊은 신뢰를 공유한 사람이었고 그를 지키기 위해서 오랜 세월동안 별짓을 다해봤기 때문에, '만인지상(萬人之上)'인 천자의 거래 시도에 순간 당황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위소보를 지키기 위한 궁여지책으로써 어쩔 수 없이 첩자 노릇을 했었을 가능성이 높다.
[1]
위소보와 건녕공주의 자녀. 위소보의 첫번째 자녀.
[2]
위소보와 아가의 자녀. 위소보의 두번째 자녀.
[3]
위소보와 소전의 자녀. 위소보의 세번째 자녀.
[4]
제1권 초반부에 고염무,
황종희, 여유량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쌍아의 내력을 유추할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5]
이 사건에
오배의 책임도 커서 오배에 대해서도 적대감을 갖고 있다.
[6]
2020년에 방영한 드라마 〈
녹정기 2020〉에서는
건녕공주 역을 맡은
탕이신이 핵심 주연(领衔主演, '영함주연')을 맡아서, 원작과 다르게 메인 히로인 포지션이 건녕공주로 넘어간다. 이 때문에 건녕공주의 등장 시점을 앞당기고 원작에는 없었던 내용을 대거 추가해서 건녕공주에게 몰아줬다. 하지만 각색을 상당히 잘해서 거슬리는 부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역으로 쌍아를 소홀하게 다루지도 않아서, 원작을 중시하는 사람들에게 있을 불만을 제외한다면 문제는 거의 없는 수준이다.
[7]
위소보가 갑자기 사라지자 여기저기 수소문해서 신룡도(神龍島)까지 찾아온다.
[8]
위소보를 함정에서 벗어나게 해준 것도 쌍아이다.
[9]
영화판에서는 쌍아를
쌍둥이로 바꿔서 소쌍, 대쌍이라는 오리지널 캐릭터로 등장시켰다. 원래는
샴쌍둥이로 한 몸이었는데 분리했다는 설정이 나온다.
[10]
'
소오강호 영화 시리즈'에서 일월신교의
남봉황 역을 맡은 배우이다.
[11]
탕이신은 드라마 오프닝에서 '영함주연(领衔主演)'으로 표기된다. 여기서 '영함주연'은 주연 중에서도 핵심 주연이라는 의미이다.
위소보 역의 장이샨과 탕이신을 제외하고, 나머지 6명의 부인 역을 맡은 배우들과
강희제를 맡은 장톈양은 그냥 '주연'이다.
[12]
김용의 다른 소설 《
신조협려》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신조협려 2014〉는 원작 소설과는 다른 내용의 전개를 보여준 작품이다. 물론 드라마나 영화는 소설과는 처음부터 별개의 작품이기 때문에, 마치 다큐멘터리를 찍듯이 반드시 재현물처럼 만들어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지만 원작에서 설정한 기본값마저 크게 훼손된다면 원작 팬들의 격렬한 반발이나 줄거리 전개상 모순의 발생을 비롯한 몇 가지 문제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으므로, 2차 창작물 제작진은 이것을 감안해서 조심스럽게 묘사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 드라마는 〈신조협려 2014〉처럼 완전히 새로운 내용을 창조해낸 건 아니고, 건녕공주의 비중을 올려주기 위해서 등장 시기를 살짝 앞당긴다든지 기존 줄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새로운 묘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묘사했다.
[13]
소설과 다르게
러시아로 나오지 않고 그냥 '북방 민족'이라고만 표현했다.
[14]
풍제중은 이미 사망한 상태였던데다가, 천지회 잔당과 모임을 가진 걸 알고 있었던 건 '위소보'와 '천지회 잔당', 그리고 '7명의 부인들'밖에 없다.
[15]
쌍아는 15회에서
건녕공주와 처음 만났을 때 '자신의 원수'라며 "죽여버리겠다."라고 발언했지만, 이후에는 건녕공주와 정이라도 들은 건지 사이가 나쁜 관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