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6-18 21:39:49

실혜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신라 진평왕대의 인물. 대사 순덕의 아들.

2. 생애

성품이 강직하여 불의로써는 그를 굴복시킬 수 없었다고 한다. 진평왕 때 그가 상사인(上舍人)이 되었는데, 당시 하사인(下舍人)[1]이었던 진제는 아첨을 잘하여 왕의 총애를 받았다. 그가 비록 실혜와 동료로 있었지만 일을 처리할 때는 서로 시비를 다툴 때가 있었는데 실혜는 정도를 지키고 구차하게 행동하지 않았다. 진제가 이를 시기하고 원망하여 누차 왕에게 참소하기를,
“실혜는 지혜가 없고 담기가 많아서 곧잘 기뻐하거나 화를 내어, 비록 대왕의 말이라도 자기의 뜻에 맞지 않으면 분을 참지 못합니다. 만약 이를 징계하지 않는다면 장차 난을 일으킬 것인데 왜 그를 내쫓지 않습니까? 그가 굴복하기를 기다렸다가 그 때 등용하여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하니, 왕이 이 말을 옳게 여겨 그를 영림으로 귀양보냈다. 어떤 사람이 실혜에게 말했다.
"그대는 조부 때부터 충성과 나라의 재목감으로 세상에 이름이 났었는데, 이제 아첨 잘하는 신하의 참소와 훼방을 입어 멀리 죽령 밖의 황폐하고 궁벽한 곳에서 벼슬살이를 하게 되니 통탄스럽지 않은가? 왜 바른 대로 말하여 사실을 밝히지 않는가?”

실혜가 대답하였다.
“옛날 굴원은 고고하고 충직하여 초왕에게서 쫓겨났고, 이 사는 충성을 다하다가 진의 극형을 받았다. 그러므로 아첨 잘하는 신하가 임금을 미혹케 하여 충신이 배척 당하는 것은 옛날에도 있었던 일이니 무엇을 슬퍼하겠는가?”

그는 마침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가서 긴 시를 지어 자신의 뜻을 노래하였다.

[1] 관직명을 통해 진제는 실혜의 하급자였던 것으로 추론 할 수 있다. 즉, 하급자가 자신의 상급자를 모함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