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12:16:12

실증주의

실증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근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16-18세기
에라스뮈스 · 모어 · 마키아벨리 · 몽테뉴 · 브루노
합리주의 · 스피노자 · 말브랑슈 · 라이프니츠
경험주의 베이컨 · 홉스 · 로크 · 버클리 ·
계몽주의 몽테스키외 · 볼테르 · 루소 · 디드로 · 엘베시우스
칸트 / 신칸트주의
19세기
피히테 ·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 슐라이어마허 / 초월주의(미국): 에머슨 · 소로
헤겔 / 청년 헤겔학파: 포이어바흐 · 슈티르너
공리주의 벤담 ·
실증주의 콩트 · 마흐 / 사회학: 뒤르켐 · 베버
사회주의 아나키즘: 프루동 · 바쿠닌 · 크로포트킨
마르크스주의: · 엥겔스
키르케고르 · 쇼펜하우어 · 딜타이 · 베르그송
니체
}}}}}}}}} ||

1. 개요2. 상세
2.1. 과학철학의 실증주의2.2. 역사학에서의 실증주의2.3. 법학에서의 실증주의
3.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

1. 개요

/ Positivism

19세기 서유럽에서 나타난 오귀스트 콩트의 철학적 사상에 기반한 논리. 경험적인 사실에 근거한 이론이나 가설, 명제를 검증하고 초월적인 것들의 존재를 부정하려고하는 입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실증주의는 10세기 아랍의 과학자 이븐 알 하이삼의 광학서에도 나타나며 오귀스트 콩트의 연구 방법론을 거쳐 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에른스트 마흐 등이 더욱 체계화 하였다.

반증 가능하고 검증 가능하며 실제 증거가 있는것을 중시했기 때문에 후대의 철학, 과학, 인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 상세

2.1. 과학철학의 실증주의

실증주의는 어떤 사실이나 현상의 배후에 초월적인 존재나 형이상학적인 원인을 상정하는 것에 반대하고, 경험적으로 주어진 사실에 인식의 대상을 제한한다. 콩트 사상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과학에 대한 신뢰이다. 그는 자연과학에서 사용되는 실증적 연구 방법이 인간과 사회 현상에 대한 탐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여겼다. 실험과 관찰, 논리적 귀납법에 의거하여 명제를 검증하려고 하였다.

"실증주의"라는 이름을 물려받은 대표적인 후대의 조류로는 20세기 독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전개된 논리 실증주의가 있다.

2.2. 역사학에서의 실증주의

역사학에서는 19세기의 역사가 헨리 토마스 버클, 이폴리트 텐, 프랑수아 기조 등이 대표적이다. 실증주의 역사 서술의 특징은 콩트식 실증주의를 역사 서술에 반영하여 역사에서 일관된 보편 법칙을 발견하려 한 것으로, 역사학을 자연 과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한 경향이다.

대중적으로 레오폴트 폰 랑케가 실증주의 역사학의 대표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사실 랑케의 역사주의는 보편적 법칙이 아닌 역사적 개체가 가진 개별성을 중시하였기에 실증주의와는 정반대에 위치한 입장이었다. 이는 일본 역사학이 근대 역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근대 역사학의 핵심을 사료의 '실증'에 두었는 것이 그 원인으로, 이는 실증주의(positivism)라는 단어와 의미의 혼선을 불러와 특히 한국에서 랑케를 실증주의 역사가로 알려지는 원인이 된다.

2.3. 법학에서의 실증주의

입법자가 세 마디만 고치면 [법률]서적은 모두 휴지조각이 되어버린다.[1]
율리우스 폰 키르히만 (Julius von Kirchmann). "Die Werthlosigkeit der Jurisprudenz als Wissenschaft"

법학 분야에서는 도덕과 자연법 같은 다른 가치 기준에 의하지 않고 실정법의 법체계를 근거로 객관적 법 해석을 하는 것을 법실증주의 라고 부른다.

이를 주장했던 학자들은 실증주의의 중심이었던 오스트리아 학계에 있었는데, 독일 법률가들이 사실상 나치의 집권을 방조하게 만들었다는 역사의 심판을 받고 종전과 동시에 폭망했다.

현재의 법학계 주류는 자연법을 부활시켜서 재 도입한다는 의견이다.

3.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

오귀스트 콩트(Auguste Comte, 1798-1857)는 19세기에 근현대적 의미의 실증주의를 처음으로 정교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렇기에 그의 실증주의를 알아두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는 1844년 그의 저작 A General View of Positivism에서 당시에 이미 유행하고있던 자연과학( 수학, 천문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을 고찰하면서, 이론과 실험의 순환적인 관계를 포착해냈으며 그것을 과학이라고 분류했다. 이 맥락에서 그는 근현대적 의미로서의 최초의 과학 철학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는 인류는 인류사회의 과학( 사회과학)을 다루기에 앞서 자연과학에 먼저 도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선 여러 과학들간의 서열을 매기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때 서열은 '실증성(positivity)'에 기반해서 세워져야 했다. 여기서 실증성은 현상이 얼마나 정확한 정도로 결정될 수 있는지를 의미하는데, 이는 곧 과학들간에 복잡도(complexity)를 기준으로 서열을 매기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정확도는 곧 복잡도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욱이 실증성 및 정확도는 곧 수학적 표현으로 서술될 수 있는지와 관련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수학은 모든 과학들간에 서열을 정하는 보편적 측도로서 자리잡게된다. 결과적으로 콩트는 실증성을 기반으로 과학들 간에 서열을 '천문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사회학'으로 정리했다.

[1] drei berichtigende Worte des Gesetzgebers, und ganze Bibliotheken werden zu Makulat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