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7:57:25

P-15 테르밋

스틱스 미사일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styx-ssn-2c-dnsc9305860_jpg.jpg

1967년 10월 21일, 이집트군 코마급 미사일 고속정에서 발사한 스틱스 미사일로 이스라엘 해군 구축함 에일라트 호격침시키면서 해상병기 체계의 새로운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이후 해군 전술과 병기운용 시스템을 개발할 때면 에일라트 쇼크를 교훈삼아 대함미사일의 대응책 및 수단을 염두에 두게 된다.

1. 개요2. 상세3. 실전 사례
3.1. 에일라트 쇼크와 트라이던트 작전3.2. 이스라엘의 복수전
4. C-601 실크웜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1950년대 말 소련의 라두가 설계국에서 개발한 아음속 대함 미사일로 개발국 소련에서 붙인 정식 명칭은 П-15 «Термит»(P-15 테르밋, 본토발음은 찌르미뜨)으로 러시아어 흰개미, 또는 테르밋 반응의 그 테르밋을 의미한다. 흔히 알려진 스틱스라는 이름은 나토에서 코드명으로 붙인 "SS-N-2 Styx"에서 유래했다.

GRAU 코드명 4К40(4K40)

2. 상세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styx-ssn-2-dnst8700345_jpg.jpg

중량 2,580kg 중 탄두중량 454kg,[1] 길이 5.8m, 직경 0.76m, 날개폭 2.4m. 고체로켓 부스터와 액체 추진 로켓 엔진을 사용하며 최고속도는 마하 0.95에 달한다.

1951년에 제작된 Yak-1000 실험 전투기를 기반으로 하여, 길이 6미터에 직경은 1미터도 안 되고, 날개도 작아 마치 공원에서 애들 태우고 빙글빙글 돌리는 놀이기구용 비행기처럼도 보인다. 하지만 거의 500kg에 육박하는 탄두 중량은 장난이 아니다. 명중률은 60년대 미사일이라 낮지만 함선 근처에만 떨어져도 무시하지 못할 위력을 가졌다. 구조적으로 탄두가 연료탱크 뒤에 있고, 최대사거리에서도 고휘발성의 연료가 꽤 남아있어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개발한지 반세기가 되었지만 묵직한 탄두에 저렴한 비용 덕분에 유효하게 생각하는 국가들이 많다. 중국의 개량형인 실크웜과 함께 제3세계 국가들에 널리 보급되었고, 한미연합군에 비해 해군력이 열세인 북한 또한 해안방어 및 북방한계선 위협수단으로써 최전선에 배치하고 있다.

한국군이 서해 5도 해역에서 늘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무기인데, 지난 2002년 제2연평해전에서 참수리급 357호정이 피격당하면서도 적극적인 대응이 쉽지 않았던 건 월드컵 대회를 치르고 있던 시점이기도 했거니와, 연평도 맞은편 북측 해안에 배치된 스틱스와 실크웜이 주변의 한국군 구축함급 함정들을 겨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구형 스틱스야 ECM으로 간단하게 무력화되지만 실크웜은 대공능력이 떨어지는 초계함이나 소형 고속정으로서는 긴장해야 한다. 그래서 대한민국 해군은 FFX 사업을 통해 개함방공능력을 갖춘 인천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 충남급 호위함을 건조 및 실전배치해 북한군 지대함미사일에 대응하고 있다.

단점도 존재하는데.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두 국가는 상대 국가의 석유 수출을 막기 위해 유조선들을 대함미사일로 공격했는데 그중엔 이 스틱스도 있었다. 1984년 9월 16일에는 한국의 유조선 로열 콜롬보 호[3]가 이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선원 2명이 부상을 입었으나 다행히 미사일이 불발해서 큰 피해를 입진 않았다. 이 선박은 두바이로 피항했는데 그때까지 미사일이 배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3. 실전 사례

3.1. 에일라트 쇼크와 트라이던트 작전

파일:external/cdn06.usni.org/RabinovichF5MJ14.jpg

격침되는 이스라엘 해군의 에일라트 함.

1967년 10월 21일 당시 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 해군의 영국제 Z급 구축함 에일라트 함은 오후 5시 30분 전투배치로 함교가 평소보다 2배나 많은 인원으로 인해 정신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포트 사이드 항에서 13.5 해리 떨어진 곳에서 이집트에 대해 무력시위중이었던 에일라트 함은 이스라엘의 정보당국에게 코마급 함선을 추적하는 로켓에 대해 경고받는다. 그러나 함장이던 소샨 중령은 이 경고를 별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해가 떨어지고 있는 와중에 견시중이던 당직사관은 이상한 초록 불빛이 에일라트 함으로 접근 중인 것을 발견한다. 소샨 중령이 급하게 확인하자 스틱스는 이미 종말궤도에 돌입해 추진체가 초록 불빛에서 주황색 불빛으로 변한 상태였다. 급하게 회피기동을 하는 동시에 해군 사령부에 미사일 공격을 보고하고 기관포로 대공사격을 가했으나 이미 늦은 상태였다.

스틱스가 보일러실에 명중한 에일라트 함은 모든 동력을 잃고 15도로 기울며 격침된다. 소샨 중령은 퇴함 명령을 내렸으나 침몰하는 에일라트 함을 향해 2차로 스틱스가 날아와 함선이 완전히 박살나고 만다.

이 공격으로 승조원 202명 중 47명이 사망하고 28명이 실종되었으며, 91명이 부상당했다. 소샨 함장은 3개월 후 문책성 퇴역을 하게 된다.

에일라트 쇼크로 알려진 이 해전에서 이집트 해군은 고작 60톤짜리 고속정[4]으로 1730톤짜리 구축함을 잡아버리며 해전 역사에 한 획을 긋는다.

이전에도 어뢰정이 자신보다 훨씬 큰 배를 잡는 사례가 있었으나(일례로 강구트급 전함 마라(당시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적백내전 당시 영국 어뢰정에게 격침, 얕은 곳에 착저한 전력이 있다) 당시의 무유도 어뢰는 근접하여 다수를 발사해야 명중 가능성을 조금이나마 높일 수 있었고, 그럴려고 접근하는 어뢰정을 어뢰정보다 크고 따라잡을 수 있는 기동력과 화력을 갖춘 구축함이 달려들어 함포와 기관포로 긁어버린다. 애초에 구축함 자체가 어뢰정 때려잡으려고 만든 거다. 구축함의 역사 참고. 하지만 보다 멀리에서 발사하면 알아서 표적을 쫓아가는 스틱스의 등장은 어뢰정의 가치를 높였으며, 어뢰정은 미사일 고속정으로 발전하였다가... 곧 한계를 드러내고 좌절하게 된다.

그 밖에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도 인도군이 13발의 스틱스를 발사해 12발을 명중시키며 파키스탄군의 구축함과 소해함 등을 격침시킨다.

3.2. 이스라엘의 복수전

위 해전의 쓰라린 경험으로 복수의 칼을 갈던 이스라엘은 1973년 10월 6일 제4차 중동전쟁에서 복수전을 시작한다.

ECCM 능력을 위해 일부러 Fire & Forget 방식이 아닌 지령유도 방식을 고집한 가브리엘 미사일을 장착한 이스라엘 고속정 함대 오사급 12척과 코마급 2척으로 구성된 이집트 해군, 오사급 3척과 코마급 6척으로 구성된 시리아 해군을 상대하게 된다.

이들을 끌어내 각개격파하기로 한 이스라엘 해군은 우선 5척의 사르3급 고속정[5]으로 시리아 연안 10해리 이내에서 혼자 돌아다니던 시리아군 K-123급 어뢰정을 76mm 함포로 격침시켰고, 이 어뢰정은 이스라엘군의 계획대로 해군 사령부에 공격받고 있음을 알리며 도움을 요청한다.

근처에 있던 시리아군 T43급 소해정이 접근하자 이스라엘 해군은 가브리엘 미사일 2발로 소해정을 격침시키고 이제야 뭐가 있는지 깨달은 시리아군은 코마급 3척을 급파해 이스라엘 해군과 본격적인 교전에 들어간다.

코마급은 사르3급 고속정에 3발의 스틱스를 발사하나 이스라엘 고속정 1척이 ECM을 걸고 2대는 채프를 뿌리며 지그재그로 회피기동하자 3발 모두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 폭발한다. 이스라엘 해군은 역으로 가브리엘 대함미사일을 발사해 시리아군 코마급 3척을 모조리 격침시켜버린다.

같은 시각 이집트 포트 사이드 항으로 향하던 이스라엘군 사르3급 고속정 2척은 이집트군 코마급 2척에게 기습적인 스틱스 공격을 받는다. 그러나 스틱스 3발 중 한발은 고속정 후방에 떨어지고, 한 발은 측면에 떨어졌으며, 마지막 한발은 마스트 위로 아슬아슬하게 지나갔다. 쉽게 말해 기습했는데 3발 다 빗나갔다. 이집트 해군은 마지막 남은 한발을 더 쏴봤지만 빗나가자 부랴부랴 도망갔다.

이틀 뒤 이집트 해군은 발팀에서 오사급 4척을 투입하여 함대결전을 위해 이스라엘 고속정 함대로 접근한다. 이스라엘 해군도 레이더로 이들을 감지해 접근하면서 곧 제4차 중동전쟁 해전 중 가장 큰 교전이 일어나는데, 선빵은 역시 이집트 해군이 사거리가 더 길었던 스틱스 3발을 이스라엘 함대에 발사한다. 그러나 이 스틱스들을 이스라엘 해군이 모조리 요격해 버렸다. 당황한 이집트 함대는 또 도망갔고, 이스라엘 해군은 전속력으로 이들을 추적해 오사급 3척을 가브리엘 미사일로 격침시키고 나머지 1척은 함포로 격침시킨다.

이 해전으로 10분만에 포트 사이드 항의 제해권을 잃어버린 이집트 해군은 이스라엘 해군을 바라만 보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다가 이스라엘 해군이 고속정에 특수부대를 싣고 항구로 들어와 일전에 이스라엘군 고속정을 기습했다가 운좋게 도망간 코마급 2척을 격침시켰고, 살아남은 나머지 고속정들도 전쟁기간 동안 도망다니다 격침되고 만다.

결국 4차 중동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집트-시리아 연합함대는 무려 55발의 스틱스를 발사해 한 발도 명중시키지 못했다.

이 사건으로 스틱스의 시대는 저물었으며, ECM에 교란되기 쉽고, 작은 표적은 잘 못 맞히며, 격추되기도 쉬운 점 등의 단점들이 모두 드러나 평가가 대단히 낮아진다.

4. C-601 실크웜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YJ-6-Kraken-ASCM-1S.jpg

스틱스의 파생형. 제식명은 SY-1/SY-2 상유(Shangyou, 上游)와 그 업그레이드 버전인 HY-1/HY-2/HY-3/HY-4 하이잉(Haiying, 海鷹)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외에 파생형이나 몇가지 마이너한 버전이 더 있기는 한데 이쯤까지 가면 '스틱스에 기반한 실크웜'이라기보다는 형상도 그렇고 성능도 그렇고 거의 완전히 다른 물건이 된다. 형상 자체는 HY-3부터 스틱스라는걸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변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HY-4까지는 실크웜 직계 족보로 쳐주고 있다.

일단 기본적으론 중국이 스틱스를 모방, 개량한 것으로, 스틱스와는 달리 공대함 버전이 개발되어 폭격기 전폭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사정거리는 버전마다 다르지만 대략적으로 80~500km(!)까지 연장되었다. 참고로 원판인 스틱스는 20~80km 수준이다. 현존 실크웜 중 최대 사정거리인 300~500km짜리는 가장 최신 버전인 HY-4로, 순항 미사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다만 대형화 때문에 HY-2, HY-3, HY-4는 함선에서 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때문에 함대함 미사일로서의 실크웜은 HY-1이 마지막이다.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hy-2_5.jpg

지대함 실크웜(HY-2) 미사일 발사장면. 기수 부근에 중국군 마크가 희미하게 보인다. 실크웜은 지상발사시 유독가스로 인해 운용요원들이 방독면과 보호복을 착용하고 발사한다. 초기 스틱스 계열은 o-톨루이딘염과 트리에틸아민을 믹스한 AK-20F 연료와 TG-02 적연질산 산화제를 사용한다. 이 중 트리에틸아민과 적연질산이 강한 독성을 띈다.

다만 함선에 실을 수 있는 것은 SY-1, SY-2, HY-1뿐이기 때문에 함대함 미사일로서의 사정거리는 150km(SY-1)가 최대이다. 전자전 대항능력은 사정거리 85km의 HY-1에 와서야 생겼기 때문에 전자전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사정거리는 85km까지 떨어진다. 하지만 SY-1이나 SY-2라 하더라도 수십발 날리는 상황에까지 가면 전자전이 통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에 무시할 물건은 결코 아니다. 속도는 원판에서 약간 떨어진 마하 0.8과 원판 수준인 마하 0.9 사이를 웃돌며, 사정거리가 긴 버전은 마하 0.8수준이고 상대적으로 짧은 버전은 원판 그대로의 속도인 마하 0.9를 낸다.

중국제 실크웜 후기형(HY-1부터)은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군의 전파간섭에 이집트군, 시리아군의 스틱스가 ECM에 무용지물이 된 것을 교훈삼아 레이더 유도 대신 레이저-적외선 유도로 바꾸었다. 이 개발을 주도한 사람이 바로 MIT 교수를 하다가 중국 간첩으로 몰려 중국으로 추방된 첸쉐썬 박사.

연평도에서 북한의 도발 때 일부 언론이 스틱스는 명중율이 낮은데 왜 대형함이 출동하지 않았냐고 해군을 나무랐지만, 북한이 보유한 개량형 실크웜은 그보다 훨씬 명중률이 높으니 만만히 볼 수 없는 셈. 중동권에 수출된 물건은 이란-이라크 전쟁에 사용되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다. 북한이 가끔 발사실험을 하면서 한국 정부의 신경을 곤두서게 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사정거리상 인천항까지 날아올 수 있고, 복잡한 항구나 혹은 지상의 특정 표적을 정밀타격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아무데나 때리는 테러 무기로는 활용될 수 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폴란드 공화국군 (1990~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colbgcolor=#FFF> <colbgcolor=#FFF> FGM-148F 재블린 | PPK 스파이크-LR
탑재형
기갑차량
{ 브림스톤} | 스파이크-LR | 9M11P 말륫카
공대지
회전익기
{ AGM-114 헬파이어} | 9M114W 슈투름-WR
고정익기
AGM-65G2 매버릭 | Kh-29(L/T)R | Kh-25(ML/MR)R
유도로켓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배회폭탄
지대지
WB 워메이트
공대지 (ALCM)
AGM-158(B/{B-2}) JASSM-ER
{ CTM-290} | MGM-164 ATACMS 2000
OTR-21 토치카R
함대함
RGM-84G 하푼 블록 1G | RBS 15 Mk.3 | P-21 · P-22 테르밋R
지대함
NSM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A244-SR
중어뢰
TEST-71ME | SAET-60M | Tp 617R | 53-65KER
보병
PPZR 피오룬 | PPZR 그롬
차량
피오룬 (SPZR 포프라트) | 그롬 ( ZSU-23-4MP 비아와)
단거리
나레프 | 9K33BM3-P1 종드워 | 9K33M2 "롬프" | 9K35 스트샤와-10MR | 9K31 스트샤와-1R
중거리
S-125 네바-SC | 2K12M1 쿠프-M1 | 2K11M1 크루그-M1R
장거리
MIM-104F 패트리어트 PAC-3 MSE | S-200C 베가
개함방공 { CAMM-M} | RIM-66E-6 SM-1MR 블록 VIB | 4K91 볼나-MR
단거리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ER | R-60MR
중장거리 AIM-120(C-5/C-7/{C-8}) AMRAAM | R-27(R1/T1)R | R-23RR
{ AGM-88E AARGM-ER} | Kh-28R | Kh-25MPUR
유도폭탄 AGM-154 JSOW | GBU-31 JDAM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12 페이브웨이 II | MAM-(C/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현대 루마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colbgcolor=#002B7F><colcolor=#FFF>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스파이크-LR | FGM-148F 재블린 (특수부대용)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LR2) | 9K113 콘쿠르스 | 9K11 말륫카R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ER
고정익기
AGM-65K 매버릭 | Kh-23R
유도로켓 '''
지대지
'''
M30A1 · M31A1 GMLRS (227mm, HIMARS)
MGM-164 ATACMS 2000
함대함
{ NSM} | P-22 · P-21 · P-15(M) 테르밋
지대함
{ NSM} | P-22 · P-21 (4K51 루베즈)
어뢰
경어뢰
스팅레이 Mod 0
중어뢰
TEST-71 | 53-65K
신궁 | CA-94(M)
단거리
TABC-79 CA-95 | 9K33M3 오사-AKMR
중거리
MIM-23P I-호크 XXI | 2K12 쿠프R | S-125M 페초라R
장거리
MIM-104E PAC-2 GEM-T | MIM-104F PAC-3 MSE
'''
CIWS
'''
CA-94 ( 즈보룰급)
단거리
AIM-9(X/M)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3R | R.550 매직 IIR | R-73ER | R-60MR | R-13M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 R-27RR | R-23RR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IAI 그리핀 | 엘빗 오퍼(Opher) | MAM-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현대 불가리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불가리아군 (1952~현재)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colbgcolor=#009B75> <colbgcolor=#009B75> 9K115 메티스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R
탑재형
기갑차량
{ FGM-148 재블린 ( M1296)} | 3M6 쉬멜R
포발사
9K117 바스티온
공대지
고정익기
Kh-29R | Kh-23R
OTR-21 토치카 | OTR-23 오카R | R-17 엘브루스R
함대함
{ RBS 15 Mk.3} | MM38 블록 1 엑조세 | P-15(MC/M/U) 테르밋
지대함
P-15M (4K51 루즈베)
어뢰
경어뢰
{ Mk.46 Mod 5}
중어뢰
L5 Mod 4 | SET-40U | 53-65KR | 53-56VAR
9K38 이글라 | 9K310 이글라-1 | 9K34 스트렐라-3R | 9K32 스트렐라-2R
단거리
9K35 스트렐라-10M | 9K33M2 오사-AK | 9K31 스트렐라-1MR
중거리
{ IRIS-T SLM} | S-125 네바 | 2K12M1 쿠프-M1 | 2K11 크루그R
장거리
S-300PMU | S-200VE 베가-E | S-75 드비나R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4K33M 오사-MA | 9K32 스트렐라-2
개함방공 { VL-MICA EM} | RIM-7P 시스패로우
단거리
R-73 | R-60R | R-3SR
중장거리 { AIM-120C-7 AMRAAM} | R-27R | R-23RR
유도폭탄 { GBU-38 JDAM} | { GBU-54 LJDAM} |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 GBU-39 SDB}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 <colbgcolor=#FFF><colcolor=#002F6C> 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베트남 국기.svg 현대 베트남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베트남 인민군 (1945~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포발사
9K120 스비리
공대지
고정익기
Kh-29(T/TE)
공대지 (ALCM)
Kh-59
스커드-(C/D)
함대함
Kh-35 우란 | P-21 테르밋
잠대함
3M-54E1 클럽-S
공대함
Kh-31A
지대함
P-800 오닉스 (바스티온-P) | P-35 퍄툐르카 (4K22 레두트) | P-21 테르밋 (4K51 루베즈)
어뢰
경어뢰
APR-2 오를란-M
중어뢰
TEST-96 | TEST-71ME
9K338 이글라-S | 9K38 이글라 | 9K32 스트렐라-2
단거리
9K35M 스트렐라-10M
중거리
SPYDER-SR | S-125 네바/페초라
장거리
S-300PMU | S-75R
'''
CIWS
'''
9M337 (팔마)
단거리
R-73(M1) | R-60 | R-13M · R-3S
'''
중장거리
'''
R-77 | R-27(ER1/R1)
유도폭탄 KAB-500Kr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현대 방글라데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방글라데시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সশস্ত্র বাহিনী | Bangladesh Armed Forces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휴대형
9K115-2 메티스-M | 박타르 시칸
탑재형
기갑차량
박타르 시칸
'''
유도로켓
'''
지대지
TRG-230 | TRG-300
공대지
지리트 (70mm, 바이락타르 TB2)
함대함
오토마트 Mk.2 블록 IV | C-802 | C-704 | SY-1R | HY-1JR
공대함
Kh-31A
어뢰
경어뢰
A244-S
중어뢰
Yu-4 | ET-40 | 45-36NR
QW-2 | QW-18A | FN-16
단거리
FM-90
'''
CIWS
'''
FL-3000N | FM-90N
단거리
R-73E | PL-7 | R-3S
'''
중장거리
'''
R-27R
유도폭탄 LS-6 | MAM-(C/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


[1]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HEAT 탄두다. 전함 장갑도 뚫을 듯. [2] 미 공군과 해군항공대가 미사일 만능주의에 빠져서 전투기에서 기관포를 모조리 빼버렸다가 베트남 전쟁에서 개털린 이후에 서둘러 기관포를 다시 장착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3] 이 유조선 자체는 이란이나 이라크가 아닌 쿠웨이트에서 석유를 운송했다. [4] 150톤짜리 참수리급 고속정의 절반도 안 된다! [5] 참수리 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