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총에 대한 내용은 Mk.46 LWMG 문서 참고하십시오.
1. 제원 (Mod 5 기준)
길이 (m) |
2.59 | |
지름 (mm) |
324 | |
무게 (kg) |
230 | |
탄두중량 (kg) |
44 | |
사정거리 (m) |
11,000 | |
속도 (kt) |
40 | |
최대심도 (m) |
360 | |
방식 | 유도 | 능동/수동 |
추진 | Otto Fuel II 엔진 | |
발사플랫폼 | 함정/항공기 | |
개량형/기타 |
Mod 0 (1963) Mod 1 (1967) Mod 2 (1972) Mod 3 (개발취소) Mod 4 (1976) Mod 5 (1979~1989) Mod 6 (1989) Mod 7 (개발취소) |
2. 개요
Mark 46 torpedo
미국에서 개발한 지름 324 mm (12.75 인치)의 경어뢰이다. 미 해군을 포함한 무려 30여개의 서방국가 해군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과 해상자위대
미 해군은 1950년대 초반에 개발된 Mk.44 어뢰를 통해 함정과 항공기를 플랫폼으로 한 대잠수함 작전을 펼치고 있었으나, 날이 갈수록 소련 잠수함의 머릿수는 계속 늘어나기 시작했고 바닷속에서 올라오지 않고 줄창 머무를 수 있는 원자력 잠수함의 등장은 더 뛰어난 성능의 어뢰를 필요로 했다.[2] 사실 Mk.46은 "이런거 필요하니 당장 만들도록 하세"해서 개발했다기 보다는 1956년 무렵 알레이 버크 제독에 의해 시작된 이른바 "노브스카 계획" (Project Nobska)이라는 해군의 총체적인 전력 강화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되기 시작했다. 기존 Mk.44의 느린 속도와 사정거리는 해수반응 배터리[3]의 한계에서 기인한 것이라 판단한 후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나 사정거리가 6 km에 머무른데다가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많아 "Otto Fuel"이라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폐회로 5기통 추진체계의 첫번째 개량품 Mod 1 (Modification)이 나오게 된다. 이것도 역시 열기관의 일종으로 연료는 안정적인 상태에 산화제도 필요없어 신뢰성이 높았고 약 40 노트의 속도에 9 km 가량의 사정거리를 달성하는데 성공한다.
Mod 2는 위에 언급한 지그재그 선회운동과 재공격 능력이 부여됐고 헬기에서 투하하는 디핑소나와의 연계가 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는데, 1978년 미 해군이 남중국해에서 훈련도중 분실한 Mod 2 훈련탄을 중국의 한 어부가 건져올리는 사건이 발생한다(...) 중국은 이걸 획득해다가 연구소까지 차려서 대놓고 역설계를 시작했고 이러는 바람에 1994년 Mod 2의 짝퉁 복제품이나 다름없는 Yu-7 (鱼-7) 어뢰가 개발되어 현재 중국 해군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개발하는데 애로사항이 있어서 미국에 요청을 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나 미국은 대중국 제재조치 이전인 1985년에
1976년에 개발된 Mod 4는 함정과 항공기에서 투하되는 Mk.60 CAPTOR (enCAPsulated TORpedo)라는 기뢰의 탄두로 써먹기 위해 제작됐는데, 잠수함의 어뢰발사관에서도 운용이 가능하게끔 533 mm (21 인치) 지름의 껍데기에 포장되어 있다. 수동형 소나를 켜놓고 해저에 가라앉아 있다가 적 잠수함이 지나가면 껍데기가 열리고 알맹이가 돌진하는 방식으로서 Mk.46의 최대심도보다 깊은 곳에서 운용해야 하기에 높은 수압에 견디게끔 개량되어 있다. 음향신호를 진단해 피아식별이 가능하며 대략 1톤 가량의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대잠헬기에 탑재하는 것은 어림도 없고 주로 P-3나 B-52와 같은 큰 기체가 살포임무를 맡는다. 심해에서 써먹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무기체계나 다름없다.
1979년부터 약 10년 가량은 Mk.46의 최종적인 개량형이나 다름없는 Mod 5의 개발이 이루어진다. 신형 소나의 적용과 아울러 유도/제어장치를 모조리 개선한 후 얕은 수심에서의 작전이 가능하게끔 업그레이드했고 Mk.48처럼 저속으로 항주가 가능하게끔 추진부를 개량하여 사정거리와 작전시간을 늘렸다. Mod 5는 RUR-5 ASROC과 RUM-139 VL-ASROC 대잠미사일의 탄두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Mod 6은 CAPTOR 기뢰의 개량형 탄두로서 Mod 5를 살짝 개량한 물건이다. 1990년대 후반에는 USET-80과 같은 러시아의 항적추적 어뢰에 대한 항공모함 보호수단으로서 Mod 7 개량의 주 골자인 SSTD (Surface Ship Torpedo Defence)라는 계획이 세워지는데, 마치 SM-3 미사일처럼 어뢰를 직접 요격하는 하드킬 방식으로 개발하려 했으나 기술적인 어려움과 부족한 예산때문에 취소된다.
한편 알파급과 같은 엄청난 속도를 지닌 잠수함이 등장하자 이 위협에 대비하여 Mk.46을 기반으로 차세대 경어뢰 Mk.50을 개발하긴 했으나 가격이 험악한 관계로 많은 수를 채용하지는 못했고, 이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Mk.46 Mod 8을 기획하는데 이건 Mk.54라는 새로운
3. 관련 링크
(영문 위키백과) Mark 46 Torpedo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현대 노르웨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colbgcolor=#BA0C2F><colcolor=#00205B> | FGM-148 재블린 | ERYXR | |
탑재형
|
기갑차량
BGM-71D TOW-2 |
SS.11R |
ENTAC
|
||
공대지
|
고정익기
AGM-12B 불펍R
|
||
'''[[지능탄| 유도포탄 ]]'''
|
지대지
|
BONUS 155 (155mm, K-9 VIDAR) | |
공대지 (ALCM)
|
JSM | ||
함대함
|
{ 3SM 티르빙} | NSM | 펭귄 Mk.1R | ||
공대함
|
AGM-119 펭귄 Mk.3R | ||
어뢰 |
경어뢰
|
스팅레이 Mod 0 | Mk.46 Mod 2R | |
중어뢰
|
DM2A3 제헥트 | Mk.37R | Tp 612R | T1 Mod 1R | ||
PPZR 피오룬 | FIM-92A 스팅어R | RBS 70R | |||
단거리
|
NOMADS | ||
중거리
|
NASAMS 3 | MIM-23C I-호크 · NOAHR | ||
장거리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R | ||
''' CIWS '''
|
미스트랄 1 | ||
''' 개함방공 '''
|
RIM-162C ESSM | RIM-7M 시스패로우R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IRIS-T | AIM-9(L/J)R | ||
''' 중장거리 '''
|
AIM-120(B/C-7) AMRAAM | ||
유도폭탄 | GBU-(31/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물론 이렇게 똘똘하다면야 이론적으로 100%의 명중률이 나와야 맞겠지만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 해군은 엄청난 양의
폭뢰와 약 50발의 Mk.46을 발사했으나 단 하나의 명중탄도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실상은
아르헨티나 해군
209급 잠수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소나를 미리 탐지하기 위해서 마치 모종을 뿌리듯 미친듯이 투하했기 때문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의 잠수함은 영국
항공모함에 접근할 수 있었고 어뢰를 발사하는데도 성공한다. 그러나 아르헨티나의 승조원들도 어뢰의 운용에 미숙했던 탓에 불발탄만 양산했고 아무런 전과도 올리지 못한 상태로 종전을 맞는다. 참고로 미국은
AIM-9L 전방위 사이드와인더와 함께 약 200발 가량의 Mk.46을 영국에게 제공했었다.
[2]
Mk.44는 능동모드만 지닌데다가 17 노트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잠수함은 타격할 수가 없었다. 참고로 소련 최초의 원잠으로 등장한 노벰버급의 수중 최고속도는 거의 30 노트에 육박했다.
[3]
산화
은과
마그네슘 전극에
바닷물을 전해액으로 사용해서 추진하는 방식인데, 당시의 기술력으로는 더 이상의 진전이 어렵다고 판단했는지 이후 미국의 어뢰에서 전기식 어뢰는 아예 대가 끊겨버린다. 그러나 현재 영국의 Stingray나 이탈리아의 A244는 이 해수반응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경어뢰에 있어서 최고수준의 가격 성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
겉으로는 군사교류라고 표현했다. 지금의 시각으로 보자면 보통 정신나간 짓이 아니었지만 소련을 엿먹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던 시기였기에 그랬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중국과 소련의 관계 정상화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