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12:24:55

경구개음

센입천장소리에서 넘어옴

자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
파일:경구개음_기호0.png
1. 개요2. 조음 방법
2.1. 경구개 비음2.2. 경구개 파열음2.3. 경구개 파찰음2.4. 경구개 마찰음2.5. 경구개 접근음2.6. 설측 경구개 마찰음2.7. 설측 경구개 접근음2.8. 설측 경구개 탄음2.9. 경구개 내파음2.10. 경구개 흡착음2.11. 경구개 탄음2.12. 경구개 전동음
3. 관련 문서

1. 개요

/ Palatal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센입천장소리라고도 부르며,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내는 소리이다. 후치경음과 다른 점은 혀끝이냐 혓바닥이냐의 차이.[1] 또한 치경구개음과는 혀끝이 잇몸에 닿느냐 안닿느냐[2]의 차이가 있다.

조음 위치상 전설 고모음(/i/,/y/)과 매우 가까우며, 여기서 파생된 음가가 /j/와 /ɥ/.[3] 한국어에선 , , , , , 가 친숙하다. 그런데 한국어 사용자들 입장에선 이게 자음이라고 하니 뭔가 좀 안 와닿을 수도 있다. 이게 완전히 틀린 지적은 아닌 것이 접근음 반모음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모음과 유사하다. 영어 사용자들 입장에선 보통 y를 사용해 자음으로 표기했으니 헷갈리지 않아 한다. 애초에 IPA 차트에 사용된 문자들이 대부분 유럽에서 쓰던거다.

또한, 경구개음과 연구개음의 사이인 후경구개음(post-palatal consonant)이 있다. 개별 기호는 없고 경구개음에 ◌̠를 붙이거나 연구개음에 ◌̟를 붙인다. 연구개음에 ʲ를 붙인 경우도 많이 쓰인다. 중설 고모음의 반모음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ʉ]의 반모음 = [w̟], [ɨ]의 반모음 = [j̠])

이외에, 치경구개음에 속하는 비음과 설측 접근음(/ȵ/, /ȴ/)은 공식 기호가 없어서 경구개음 기호(/ɲ/, /ʎ/)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위키백과의 비음과 설측 접근음 예시 음성도 치경구개음에 더 가깝다. 물론 경구개음은 오히려 연구개음의 변이음으로 나온다.

2. 조음 방법

2.1. 경구개 비음

[ruby(경구개 비음, ruby=Palatal Nasal)]

ɲ̊

ɲ

조음 위치 <colbgcolor=#ddd,#2d2f34>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코로 기식을 흘려보낸다.
들어보기

유성 경구개 비음은 '냐, 녀, 뇨' 따위의 소리에서 혀끝을 윗잇몸에 붙이지 않고 내는 소리로, 흔히 후치경음 또는 치경구개음([ȵ])으로 소리나는 발음들의 대체자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어의 gn의 실제음가는 표기와 다르게 후치경음이다. 또다른 예로, 스페인어/포르투갈어[4]를 제외한 다른 로망스어 베트남어에서 /ɲ/로 표기되는 발음들은 실제로는 [ȵ]로 발음되고 프랑스어의 gn도 치경구개음이다.

이 발음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 언어들은 스페인어, 유럽 포르투갈어[5], 티베트어, 미얀마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으로 실제로는 굉장히 희귀한 음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성음은 더욱 더 희귀해서 미얀마어 또는 평범한 사람들은 듣도보도 못할 소수 언어에 존재한다.

발음 예: #

기호는 j와 n의 합자로 합자라고 하나 g와 n의 합자라고도 한다. 로망스어군의 합자 gn에서 유래한 것.

2.2. 경구개 파열음

[ruby(경구개 파열음, ruby=Palatal Stop)]

c

ɟ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열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빵 터트리면 된다. 유성음은 이때 성대를 울려준다.
들어보기(c)
들어보기(ɟ)
한국어에서는 ㄱ, ㄲ, ㅋ(연구개 파열음) 뒤에 /i/, /j/, /y/, /ɥ/가 올 때 가끔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베트남어의 ch(사이공 등 남부 방언 한정)[6], 그리스어의 κ, γ 뒤에 ε, η, υ이 오는 경우 이 음가를 가진다지만 정확히는 한국어의 '기'처럼 살짝 전설화되는 정도다. 그 외에는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의 g/k, 헝가리어의 gy/ty, 알바니아어의 gj/q, 라트비아어의 ģ/ķ, 코르시카어의 ghj/chj, 피찬차차라어의 tj도 이 발음이 난다. 아일랜드어에서는 g와 c(/k/)가 경구개음일 때 각각 ɟ, c 발음이다.

체코어 슬로바키아어의 ď/ť는 치경구개음이다.

2.3. 경구개 파찰음

[ruby(경구개 파찰음, ruby=Palatal Affricate)]

c͡ç

ɟ͡ʝ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위의 경구개 파열음과 경구개 마찰음을 동시에 발음한다.
들어보기(c͡ç)
들어보기(ɟ͡ʝ)
무성음은 헝가리어의 ty, 노르웨이어의 kkj, 알바니아어의 q에서 나타나고, 유성음은 스페인어의 어두 y 및 n 뒤의 ll/y, 헝가리어의 gy, 노르웨이어의 ggj, 알바니아어의 gj 등에서 나타난다. 한국어에는 원칙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발음이나, 가끔 경구개 파열음을 발음하려다가 소리가 새서 이 발음이 되기도 한다. /i/, /j/, /y/ 앞의 ㅋ도 간혹 이 소리로 실현될 수 있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빵 터뜨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냈다가 살살 흘리면 된다.

2.4. 경구개 마찰음

[ruby(경구개 마찰음, ruby=Palatal Fricative)]

ç

ʝ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h/ɦ를 발음한다.
들어보기(ç)
들어보기(ʝ)
한국어에서는 /i/, /j/, /y/, /ɥ/ 앞의 이 이것의 무성음 음가를 가지며, '고향'의 ㅎ처럼 모음 다음에 오는 구개음화된 ㅎ이 이것의 유성음 음가를 갖는 경우가 있다. 물론 표준은 아니고 [j]로 발음되는 경우가 훨씬 일반적이다.

영어에서는 주로 영국식 영어의 일부 h[7]가 이 음가를 지니며[8], 독일어에서는 i 뒤의 ch, g가 이 음가를 띤다.[9] 그 외에도 일본어 ひ(ヒ), 네덜란드어의 ch, 그리스어 χ, γ의 일부 경우, 스페인어의 y나 일부 ll 발음 등이 있다. 칠레 스페인어에서는 j가 무성음에 해당하는 음이 난다.

이외에 여러 언어에서 /j/의 변이음으로 유성음이 많이 나타난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 된다.

여담으로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알바니아어에 쓰이는 ç와는 다른 발음이다.[10]

해당 기호는 1989년에 도입된 것이다. 1988년 이전까지는 경구개 접근음과 구분하지 않았다.

2.5. 경구개 접근음

[ruby(경구개 접근음, ruby=Palatal Approximant)]

j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이'를 발음한다.

가장 흔한 반모음.[11] 한국어에서는 글자 하나로는 존재하지 않고 , , , , , 등에 합쳐서 표현되어 있다.('재출'의 원리) 영어 및 로망스어군을 제외한 유럽 언어의 J, 헝가리어의 Ly, 베트남어 남부 방언의 v·d·i(모음 앞), 영어· 튀르키예어의 Y가 이 음가를 가진다. 로망스어군에서는 i 혹은 y(프랑스어, 스페인어)가 다른 모음 앞에 올 때 /j/로 발음되기도 한다. 러시아어는 е, ё, й, ю, я 등이, 일본어에서는 요음이 아닌 , , [12]가 이 음가이다. 무성음은 와쇼어에서 확인되었다.

2.6. 설측 경구개 마찰음

[ruby(설측 경구개 마찰음, ruby=Palatal Lateral Fricative)]

𝼆 / ʎ̝̊

𝼆̬ / ʎ̝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마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혀 옆에 공간을 확보한 뒤 s를 발음하듯이 하면 된다.
들어보기(𝼆)
이 기호는 유니코드 14.0 발표 이후 라틴 확장 G에 추가되었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치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에 붙인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 된다.

파일:jerk.png 깜짝야

사족으로, 아래아 한글를 복사 + 붙여 넣기하면 'ㅉ헤ㄹㄹㅋ'이 합쳐진 괴상한 옛한글 음절로 변한다.

한글과컴퓨터 측에서 한양 PUA 코드[13]를 써서 충돌이 일어난 것이다! 지못미. 참고로 백괴사전에는 놀랍게도 저 옛한글에 대한 문서가 2009년부터 존재했다(…). 저 ꥸᅦퟗ이 뭔지는 ꥸᅦퟗ 문서 참고.

2.7. 설측 경구개 접근음

[ruby(설측 경구개 접근음, ruby=Palatal Lateral Approximant)]

ʎ̊

ʎ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일'을 발음한다.
들어보기

한국어에서 [i], [y], [j], [ɥ] 앞의 ㄹㄹ, 어두 ㄹ의 음가인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ȴ/)의 대체자로 사용중이라고 하지만, 다른 발음이다. 옛한글 자음 (쌍이응)이 뒤에 이중모음이 붙었을 경우에 나는 소리로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스페인어의 ll은 소리가 바뀌었고[14], 이탈리아어에서 i앞의 gl[15], 포르투갈어의 Lh는 정확히는 치경구개음이다.

2.8. 설측 경구개 탄음

[ruby(설측 경구개 탄음, ruby=Palatal Lateral Flap)]

ʎ̮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설측음
조음 방법 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쪽에 갖다 댄 뒤 빠르게 떼면 된다.

아직 기호가 없어서 설측 경구개 접근음 기호에 반달표[16]를 붙인다. ilgar라는 언어에서 변이음으로 확인이 됐다고 한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발견되지 않았다.

2.9. 경구개 내파음

[ruby(경구개 내파음, ruby=Palatal Implosive)]

ʄ̊/ƈ

ʄ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내파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후두부를 아래로 당겨 압력을 낮춘 뒤 혀를 떼면 된다. '껵' 하는 뚫어뻥 비슷한 소리가 나면 성공.
유성음이며, 대립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 [ƈ]는 현재 폐지되었다.
들어보기

신디어, 훌라어 등에서 보이는 꽤 마이너한 음가다.

2.10. 경구개 흡착음

[ruby(경구개 흡착음, ruby=Palatal Click)]

ǂ

ǂ̬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흡착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댄 뒤 혀 뒤쪽 공기를 빨아들이며 혀를 아래로 끌어당긴다.
들어보기
크리스마스 씰을 사고 나면 이 발음을 해줘야 할 것 같다

연구개음 흡착음을 후방 조음으로밖에 낼 수 없고 그 뒤로는 흡착음을 낼 수 없으므로 경구개 흡착음이 전방 조음 흡착음 중 조음 위치가 가장 깊다.

그냥 [ǂ] 말고도 마찰음화 경구개 흡착음[17]이 있다. 한국어 의성어 '쯧'으로 표기하는, 혀를 찰 때 나오는 발음은 마찰음화한 발음으로 치 흡착음과 비슷하다.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t͡ʃ] 또는 [c]이다.

2.11. 경구개 탄음

[ruby(경구개 탄음, ruby=Palatal Tap)]

ɟ̆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튕겨 발음한다.

2.12. 경구개 전동음

[ruby(경구개 전동음, ruby=Palatal Trill)]

ʀ̟˖


ʀ̟˖̥

조음 위치 <colbgcolor=#ddd,#212121> 경구개음
조음 방향 중설음
조음 방법 전동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댄 뒤 숨을 강하게 내쉬다 보면 혀가 우르르 떨릴 때가 있는데, 그 때 성대를 울리면 된다.

침으로 전동하기 때문에 조음이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침이 없으면 경구개 전동음을 조음할 수 없고, 양순 전동음처럼 침이 잘 튄다.

3. 관련 문서


[1] 후치경음은 혀끝으로 발음한다. [2] 닿으면 치경구개음, 안 닿으면 경구개음이다. '치'라는 글자의 유무로 알면 쉽다. [3] 다만 /ɥ/는 양순음의 특성도 가지므로 이중조음 자음으로 분류하였다. [4] 이 두언어는 경구개음인 /ɲ/와 치경구개음인 /nj/가 엄격하게 구분된다. [5] 브라질 포어에선 [j̃\](Nasal palatal approximant)로 발음되는데, 한국어에도 몇몇 화자들(특히 경상도 화자들)이 받침 'ㅇ' 뒤의 야, 여, 요, 유를 이런 식으로 발음한다. [6] 표준 발음은 하노이식인 치경구개 파찰음(t͡ɕ)이다. 남부 방언도 실제로 들어보면 '끼'보다는 혀 짧은 'ㅉ'에 가깝다. [7] 예 human, hue, huge 등 [8] 미국식 영어에선 치경음 앞의 j가 탈락하는 등 구개음화를 극단적일 정도로 피하기 때문인지 이런 현상이 안 나타난다. 단, He의 h는 미국식 영어에서도 [ç\]로 발음된다. [9] 현대 들어서 독일의 경제적 중심지인 남서부 지역 억양의 영향을 받아 /ç/를 남서부 발음 [ʃ\]와 표준 발음 [ç\]의 중간 발음인 [ɕ\]로 대체하는 화자들이 증가해 '시'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런지 후치경음인 [ʃ\]도 치경구개음 [ɕ\]와의 구분을 위해 권설음 [ʂ\]로 발음하는 화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설화된 [ç̟\]로 발음되는 경우도 흔한데 '시'처럼 들리는 '히'도 '시'도 아닌 기묘한 소리가 난다. 독일어를 많이 들어봤던 사람이라면 무슨 소리인 지 알 것이다. [10]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에서의 ç는 /s/,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알바니아어에서의 ç는 /t͡ʃ/라는 음가를 갖는다. [11] 하다못해 양순 연구개 접근음[w]도 없는 언어가 많은데 이 경구개 접근음은 극히 마이너한 언어가 아니고서야 대부분 있고, 우리 주변 언어에는 전부 있다. [12] 요음인 경우 앞쪽의 글자(ex> ゅうゅう)가 경구개음화(ʲ 첨가)된다. 경구개화란 자음에서 이 음가가 이차조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시로 경구개화 치경 파열음은 [tʲ\] or [dʲ\]로 표기 가능하며 한국어에서 ㅑ, ㅕ, ㅛ, ㅠ, ㅒ, ㅖ 등에 이 음가가 같이 조음되는 결과 [tʲa\]와 [dʲa\]는 '탸'와 '댜'로 표기할 수 있다. [13] 사용자 영역에 옛한글 완성자를 넣어서 옛한글을 표현하는 방식. 자세한 것은 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14] 카시야스(Casillas), 비야(Villa), 카스티야(Castilla), 세비야(Sevilla) 등의 ll 음가였다. 오늘날에는 스페인어의 탄생지인 카스티야 레온 지방을 제외한 스페인 대부분 지방에서는 위에 나온 경구개 마찰음으로, 대부분 중남미(멕시코 제외)에서는 /ʒ/로,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에서는 /ɟ͡ʝ/로, 아르헨티나에서는 /ʃ/로 대체되어 더이상 발음상으로 y와 구분되지 않고 있다. 앞의 단어들의 한글 표기도 현대 스페인어 발음을 따른 표기다. [15] 굴리엘모(Guglielmo), 코닐리오(Coniglio), 알리오(Aglio) 등의 gl 음가. [16] 해당 음가를 짧게 발음하라는 의미. [17] Fricated palatal click이라고 하며 ⟨ǂᶴ⟩, ⟨ǃ͡s⟩ 등으로 나타내는 듯 하지만, 확실히 정해진 표기는 없다. 완전한 경구개음보다는 구개후치경음 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