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cal archaeology
1. 성서 고고학이란?
성경의 내용을 기초로 팔레스타인 및 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종교 고고학의 한 분야. 팔레스타인이 중심이 되기에 팔레스타인 고고학이라고도 불린다. 기독교 유물의 진위여부와 유구와 유물에서 역사적, 문화적 배경 등을 밝혀내는 것. 또한 이러한 것을 토대로 성경에 나온 사건이나 지리의 시기와 위치를 획정하는 것이 주요 활동 내역이며 과학적 접근방식을 택한 근대적 학문이다.이 분야의 최대 업적은 사해문서를 발견한 것이다. 사해문서로 인해 고대 팔레스타인에 대한 자료가 많이 발굴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사해문서를 참조.
2. 성서 고고학자
성서 고고학의 발생은 기독교의 성경이 매우 자세한 역사를 다루고 있는 데 바탕을 두고 실증사학의 길을 따르려고 하는 관점에서부터 유래하였다. 여기서 성서의 내용은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인 가나안 중심의 구약성서에 언급되는 지역이다. 성서에 기록되어있는 모든 역사적 사실이 실제라는 생각에 탄생한 고고학의 한 분야이며, 이 분야를 전공하는 분들을 성서 고고학자라고 한다.초창기에는 홍해의 기적을 입증하려고 하거나, 예수가 못박힌 골고타 언덕 등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며 그 중 진짜로 밝혀진 사실도 있고(베데스다 연못) 밝혀지지 않은 사실도 있다. 사실상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기 전에 걸었던 고통의 길은 로마 시대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자신의 왕권강화를 위해 종교를 통합하면서 지정했던 길 중 하나였고 예수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과 같은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이렇게 연구하면 할수록 성서와 고고학적 사실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어서 현재 많은 성서 고고학자들은 성경에 기록되어있는 고고학적 유물들을 발견하면 그것을 그대로 믿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진위여부를 밝히거나 새롭게 발견된 성서의 판본들을 해석하여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등의 일(교차검증)을 하며, 그에 따른 고대 팔레스타인의 문화나 역사등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중. 물론 성서에도 고고학적 사실과 일치하는 경우도 많아서 성서의 역사적 가치를 증명하려는 경우도 있다. 더 나아가서 성서가 역사서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많지만 주류는 아니다.
언어능력의 경우 라틴어와 히브리어, 콥트어 등에 통달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나 접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따라서, 성서의 진본 여부를 확인할 때에 자주 활동한다. 들어가기 힘들다는 바티칸 자료 보관고도 앞방 드나들듯이 들락날락 잘하는 프로페셔널들. 이런 일이 필요한 이유는 무수한 외경이 아직도 발굴되고 있으며, 일부 혹은 대부분의 발굴자료는 영지주의 등의 이단이 기록한 경우도 많으므로 이 발굴된 사료가 확실히 역사적 종교적 가치가 있는지 분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현재 분쟁지역인 이스라엘과 그 주변 지역의 사료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요셉 이야기의 신빙성을 위해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하고, 성서와 대조하기 위해 블레셋이라고 추정되는 지역의 고문자를 해석하며, 메소포타미아의 법과 성서의 율법의 차이성을 조사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국내에서 성서고고학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학자들로는 원용국(안양대 명예교수), 고세진(前 아세아연합신학대 총장), 한상인(한세대 명예교수), 김성(협성대 명예교수), 강후구(서울장신대 교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