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4:18:40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1e3329,#2e4e3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정보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자연과학캠퍼스
대학 정보
성균관 역사 학부 대학원
학사 제도 기숙사 입시 임원
||<-3><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학생 정보
||
총학생회 학내 언론
운동부
미식축구부 야구부
기타 정보
출신 인물 셔틀버스 사건 사고 커뮤니티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부속 병원
||<-2><bgcolor=#2e4e3f>
교육협력병원
||
삼성창원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SUNGKYUNKWAN UNIVERSITY
창단 1946년
지역 경기권[1]
감독 이연수
코치 박지규 · 윤성길[2]
우승 기록[3] 16회
역대 전적
<rowcolor=#373a3c> 대회 우승 준우승
대통령기 4회(1965[4], 2002, 2011, 2015) 5회(1974, 1978, 2001, 2005, 2017)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13회(1948, 1954, 1955, 1958, 1959, 1962, 1963, 2007, 2018, 2019, 2021, 2022, 2024) 4회(1961, 1980, 2005, 2010)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 2회(2008, 2009)[5] 1회(2010)[6]
대학야구 춘계
/하계/추계리그
7회(1961[7], 1962, 1964, 1967, 2001) - 춘계 8회(1966, 1975[8], 1976[9], 1985, 2004, 2009, 2010, 2011) - 춘계
3회(1964[10], 1970, 2006) - 하계(추계) 7회(1962[11], 1968, 1973[12], 1974[13], 2005, 2009, 2010) - 하계(추계)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1회 (2003) 1회 (1999)

1. 개요2. 연혁
2.1. 2018년
3. 학번별 출신 선수4. 여담

[clearfix]

1. 개요

1946년에 창단한 성균관대학교 소속의 야구부이다. 대학야구계에서 한때 1년에 3승밖에 못 거두는 팀[14]이라는 소리를 들었으나 2001년 이연수 감독 부임 이후 팀을 강하게 조련하여 전국대회 결승전 무대를 여러 차례 밟았으며 우승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한 해 준우승만 4회 차지하던 비운의 해도 있었다.

홈구장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었지만, 현재는 수원시 자연과학캠퍼스에 있기 때문에 경기권에 속한다. 도봉구 야구장 부지는 학교측에서 재개발 계획을 세웠다. 한희민, 장채근, 김병현, 정재훈(1980), 유동훈 등 굵직굵직한 선수들을 많이 배출했다.

성균관대는 정기전이 없어서 학생들의 야구에 대한 관심이 적은 편이긴 한데, 학교가 kt wiz 홈구장인 수원 kt 위즈 파크와 가깝고 잠실야구장도 지하철 타면 금방이라서 학생들도 야구 보러 많이들 간다.

학과는 자연과학 캠퍼스에 있는 스포츠과학부로 진학한다. 야구부 학생들은 체육특기자 전형으로 진학하는데 법적으로 체육특기자 학생들은 체육 계열 학과(체육학과, 체육교육과, 스포츠과학부, 레저스포츠학과 등)로 진학해야 하고 성균관대에 체육 계열 학과는 스포츠과학과만 있기 때문이다.

삼성 라이온즈[15], KIA 타이거즈에 선수를 많이 보내는데, 롯데 자이언츠와는 심각하게 상성이 안 좋다. 현재 이 대학 출신 중에서 KBO 리그에서 활동 중인 선수로는 임정호( NC 다이노스), 노진혁( 롯데 자이언츠), 장지승( 한화 이글스), 주승우, 고영우, 원성준( 키움 히어로즈) 등이 있다.

최근에는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 출신들이 많이 입학한다.

2. 연혁

2.1. 2018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2019년 KBO 신인드래프트에 프로 지명자를 배출하지 못하였다.

3. 학번별 출신 선수

출신 선수
<rowcolor=#373a3c> 학번 성명
1972 계형철, 김인식
1973 김일환, 심재원
1974 정성만
1976 정인교
1979 홍승규
1980 윤석환, 윤여국
1982 김태원, 이연수[16], 장채근, 한희민
1983 윤희정
1984 서창기
1985 김인호, 이상대, 이진
1986 서준룡, 손길호, 유충돌
1987 고승훈
1988 김병조, 조규철
1990 최인선
1991 김진철, 최상진
1992 김민수, 김종대, 박정진, 박준원, 석수철, 이진철, 임수민, 조효상, 천용호
1993 박종호, 신창수, 오상민, 이경태
1994 남인환[17], 박준영, 안효준, 윤석권, 최홍석
1995 박정범, 유동훈, 최진섭
1996 김우신, 박상언, 서경상, 최병철, 홍세완
1997 권오현, 김민중, 김상만, 김승국, 김진원, 노원만, 심재범
1998 강흥구, 김창훈, 유광일, 이상원, 정찬민, 조재호, 추승우, 현재윤
1999 김형철, 원정택, 전경일, 정재훈, 주재필
2000 강관식, 고동진, 김석환, 김수환, 박강우, 배원남, 황윤규
2001 강성주, 김동혁[A], 백정훈, 엄대기, 정재철
2002 강대헌, 김태완, 나성욱, 박용호, 안영진, 장병탁, 추경식, 황성용
2003 김연훈, 남원호, 봉대균, 서정, 윤성길, 이우선, 채재창, 최상인[A]
2004 김다원, 김희준[20], 두영진, 모창민, 이제국[21], 이희근, 정종국, 하지호
2005 김정남, 박대원[22], 박정환, 이창암, 한현섭, 허유강, 황재규
2006 김영수, 신현석, 이상훈, 최병윤, 최원재
2007 김용호, 이경우, 이태균, 이희성, 장기훈, 정연태, 정태승
2008 노진혁, 박정음, 윤여운, 이진욱
2009 고영우, 구본욱, 김건우, 김민찬, 김희석, 박태균, 박현수, 유재상[23], 윤건, 임정호
2010 김정수, 손준혁, 신승철, 임재현, 장현진, 최원준, 홍유상
2011 고재황, 김민수, 박수서, 박지규, 정건창, 조무근
2012 김융, 김인환, 노유성, 박지용, 석찬영, 이성하, 이승용, 정경운, 최재혁
2013 공상현, 김경형, 김용인, 원동길, 윤강혁, 이경훈, 이지훈
2014 김경민, 김기운, 서승현, 서한솔, 윤중현, 이호연, 정우영, 조평안, 최재필
2015 김원준, 김정호, 김찬중, 마백준, 박준영, 이동훈, 이윤후
2016 김경민(내), 김경민(외), 류효승, 서동한[B], 이준, 한진녕[B], 홍신서
2017 김정호, 김준성, 신재필, 신준영, 이정우, 장지승, 최경호, 한차현
2018 김태현, 윤민석, 장지환, 주승우, 천현재, 홍진혁
2019 김남운, 서상호, 원성준, 유수현, 이준, 이준호, 이한별, 이형빈
2020 고영우, 류현우, 박정우, 서영준, 손주원, 심규빈, 윤현구, 이용헌
2021 김동현, 김준수, 김태현, 안동주, 이승현, 최예한, 최진혁
2022 조영준
중퇴 황두성(95), 김병현(97)

4. 여담



[1] 야구부 학생들의 소속인 스포츠과학과는 자연과학캠퍼스(수원)에 있다. [2] 우완투수로 순천효천고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03학번으로 입학했으며 대학 졸업 후 LG(2007~08)와 SK에서 몸담았다.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다. [3]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 [4] 초대 우승이며, 한양대학교와 공동 우승 [5] KBO 총재기 [6] KBO 총재기 [7] 연세대학교와 공동 우승 [8]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한양대학교와 공동 준우승 [9] 한양대학교와 공동 준우승 [10] 경희대학교와 공동 우승 [11] 한양대학교와 공동 준우승 [12] 연세대학교와 공동 준우승 [13] 건국대학교와 공동 준우승 [14] 서울대학교 야구부를 만나면 1년에 4승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관련기사 [15] 현 학교 재단 이사진 중 한 명이 삼성 라이온즈 구단 사장인 임대기다. [16] 현 본교 야구부 감독 [17] 중앙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A] 제주한라대에서 편입 [A] [20] 제주산업정보대에서 편입 [21] 동강대에서 편입 [22] 前 한화 이글스. 세계사이버대에서 편입. [23] 강릉영동대에서 편입 [B] 한중대 폐교 후 특별 편입 [B] [26] 신재영이 최강야구에서 밝히길 단국대 시절에 하도 훈련이 빡세다보니 당시 성대 선수들이 많이 도망나오는 걸 봤다고 한다... 거기다 본인도 대학 국대 시절 이연수 감독과 같이 뛰어봤기에 빡센걸 안다고... [27] 성균관대 축구부는 감독 선임 문제로, 성균관대 배구부는 금품상납 및 감독-선수간 술자리 폭행으로 물의를 빚었다. 성균관대 농구부는 한때 대학농구 최하위권까지 전락했으나 김상준 감독 부임 후 예전의 명성을 회복하고 있다. [28] 장채근, 한희민 등이 뛰던 1982년 당시 감독이다. [29] 김응용의 부산상고 1년 후배이자 유백만의 동기다. 건국대 감독을 역임하면서 이종범을 키워냈다. [30] 장충고 감독을 역임 후 1990년대 중반~후반 성균관대 감독을 역임했다. 1996학년도 수능 당시 대학에 가등록한 후 프로팀으로 진로를 튼 고3 선수들이 고의적으로 수능을 망치자(체육특기생 입학가능 성적 200점 만점 - 40점 미달) 프로팀들 때문에 대학야구가 고사위기에 처했다고 울분을 토한 적이 있다. [31] 타 대학도 마찬가지였으며 법학과(연세대 우지원, 고려대 최희섭), 경영학과(고려대 현주엽, 고려대 김선우, 한양대 박찬호, 이종범 건국대), 관광학과(한양대 구대성), 국어국문학과(연세대 조용준), 행정학과(고려대 김호근), 교육학과(성균관대 김태원), 영어영문학과(고려대 김광우) 등 다양했다. 2002학번부터 체육특기자는 무조건 체육 관련 학과만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