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20:55:29

비트(서브컬처)




[clearfix]

1. 개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의 서브컬처에만 나오는 무기 중 하나이다.

2. 특징

염력이나 뇌파, AI, 특수한 힘 등으로 조작되는 원격 조작 무기이며 비트에 장비되어 있는 빔이나 총기류 등으로 원거리전을 하거나 비트에 달려있는 칼날이나 비트 자체의 단단함 및 중량을 이용해서 근접전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비트라는 이름의 유래는 근대(Beet)이며 건담 시리즈에서 비트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 그와 동시에 비트와 같은 원격 조작 무기가 서브컬처에서 본격적으로 묘사되기 시작한 것도 건담 시리즈부터이다. 건담 시리즈에서 비트라는 무기가 나온 후부터 비트 및 비트 계열의 무장들은 다른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 묘사되기 시작하였다.

문서명은 비트로 되어있지만 이는 적절한 명칭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것이며 후술되어있지만 비트 계열 원격 조작 무기가 전부 비트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3. 목록

3.1. 건담 시리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건담 시리즈의 모든 비트에 대한 내용은 비트(건담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건담 시리즈 중 우주세기와 기동전사 건담 AGE의 비트의 일종인 판넬에 대한 내용은 판넬(건담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건담 시리즈 중 기동전사 건담 시드 시리즈의 비트의 일종인 건배럴에 대한 내용은 건배럴(기동전사 건담 SEED)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건담 시리즈 중 기동전사 건담 시드 시리즈의 비트의 일종인 드라군에 대한 내용은 드라군 시스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명칭은 무인병기.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의 최후반부에 등장한 은하호에 장비된 무기. 사실상 덩치가 매우 큰 은하호의 방어용 병기. 하지만 그 화력이나 방어력은 최고일 듯하다. 이유인즉슨, 뉴 건담의 핀판넬과는 달리 빔병기를 1기 단독(또는 2기. 어찌되었든 간에 판넬 전체를 배리어로 쓰는 뉴 건담보다는 강한 듯?)으로 막아내는가 하면 발사되는 빔의 숫자는 기겁할 수준이다. 더 기겁할 만한 사실은 은하호를 공격하는 월광 스테이트의 기함인 월광호는 이걸 모두 피한. 결국 데빌피쉬의 빔포 공격에 모두 격추당한다.

3.3. 브레이브 사가

명칭은 캐롯 비트.

우사린 Mk2의 바구니에 장비된 당근 모양의 비트. 대기권내 운용이 가능하다. 건담 시리즈는 아니고, 용자 시리즈, 그 중에서도 황금용자 골드란에 등장한다.

3.4. 마장기신

명칭은 타오스테일.

듀락실에 장착된 판넬 형태의 무기.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에서는 맵병기이다.
이외에도 마장기신에 장착된 패밀리어(하이 패밀리어)도 비슷한 맥락의 무기라 할수있다. 저스티니아에 탑재된 오비트 미사일은 판넬 미사일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3.5.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세실리아 올코트의 IS 블루 티어즈에 탑재된 비트. 기체명 블루 티어즈는 비트병기의 명칭이기도 하다. 블루 티어즈의 2호기에 해당하는 사일런트 제피루스도 비트병기를 장착하고 있다.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의 드라군이랑 색깔까지 판박이다. 물론 세부적으로는 약간 차이가 있어서 공격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IS에 부착하여 스러스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탑승자의 BT 동조율이 100%가 된다면 비트가 궤도를 바꾸는게 아닌 빔이 휘는 편광 제어가 가능하다고 한다.

물론 5권에서 언급되었듯이 세실리아의 BT 동조율이 37%에 불과한고로 블루 티어즈와 다른 무장의 동시 사용이 불가능하고, 빔 굴절은 6권에서야 성공한다.

또한, 시노노노 호우키의 아카츠바키 역시 비트와 유사한 지원 병기가 달려 있다. 다만, 이것은 블루 티어즈와는 달리 본인이 직접 조종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는 라우라 보데비히의 슈바르체어 레겐에 유선식 유도 병기로 와이어 블레이드가 6개 달려있다.

3.6. 골판지 전기 시리즈

골판지 전기 시리즈에서는 골판지 전기 W부터 등장. 소드비트, 비트레이저, 비트봄의 3종류로 구분되며, 파이널 브레이크 불가의 필살펑션으로 게임에 구현되어 있다. 작품 후반부터 소드비트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아킬레스D9 등이 주역 기체로 등장한다.

골판지 전기 WARS에서는 최종보스의 LBX인 디 에제르디가 사용한다.

3.7. 그 외

4. 현실화 가능성

비트가 현실화 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한번 궁리해보자면, 2023년 당시에는 견마로봇, 전투로봇, 멀티콥터 비롯한 무인기 개발이 활발하기 때문에 비트처럼 공격하는 무기가 충분히 나올 수도 있다. 이미 비트와 비슷한 무기인 MQ-28, MUM-T 같은 현실의 무인기가 있다. 이 무인기는 사람이 원격조종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해 하나의 팀으로 묶여서 운용하는 방식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진짜 비트가 나온다면 사람이 다룰 수 있는 크기의 비트가 아닌 거대한 기계에 탑재된 크기가 큰 비트가 나올 수 있다. 사람이 다룰만한 판넬은 기술력이 크게 발전된 시대가 아니면 나오기가 힘든데, 이유야 엔진, 연료만 있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원격 조종하려면 조종 장비를 넣어야 하고 근접전을 하는 비트라면 그에 따른 추진력을 내는 장비가 필요하다. 레이져를 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장비를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입자를 쓰는거라면 더더욱 어려워지지며 입자공격을 하기에 입자탱크를 싣는데 애니에 나오는 장면처럼 나올려면 큰 입자 탱크와 큰 연료탱크를 실어야 한다.

따라서 기술력이 지금보다 훨씬 발전된 상황이 아니면 비트가 나오기 힘들 것이다.

드론 기술이 발전하면서 실제로 뇌파로 드론 여러 개를 조종 가능한 마인드 드론(Mind Drone) 모자가 발명되었고, 이로 인해 비트 병기의 실현이 실제로 가능한 게 아니냐는 기대가 커졌다.


[1] 참고로 2개다. [2] 본인은 '푸스메라 윗치'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싶었지만 발칸의 신념이라 쓰고 옹고집이라 읽는 어거지 주장 때문에 물려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2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2 ( 이전 역사)
문서의 r71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