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8:54

벨라루스어

벨로루시어에서 넘어옴
슬라브어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서슬라브어군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7c30> 상징 국가 · 국호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폴로츠크 공국 · 투로프 공국 · 백루테니아 · 흑루테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 러시아 제국 ·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 소련( 벨라루스 SSR) · 색깔혁명( 벨라루스 민주화 운동)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벨라루스/외교 · 벨라루스 여권
경제 벨라루스 루블
국방 벨라루스군
교통 민스크 지하철
문화 정교회 ·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 요리( 보르시) ·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인물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안드레이 그로미코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지리 벨로베즈스카야 숲
민족 벨라루스인( 러시아계 · 독일계) · 벨라루스계 미국인 · 벨라루스계 아르헨티나인 · 벨라루스계 러시아인 · 벨라루스계 라트비아인 · 벨라루스계 영국인 · 벨라루스계 프랑스인 · 벨라루스계 독일인 · 벨라루스계 리투아니아인 · 벨라루스계 캐나다인 ·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 · 벨라루스계 폴란드인 · 벨라루스계 스페인인
}}}}}}}}} ||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1]
Belarusian language
파일:Idioma_bielorruso.png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키릴 문자
점자 벨라루스어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벨라루스|]][[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510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벨라루스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BE
ISO 639-2 BEL
ISO 639-3 BEL
글로톨로그 bela1254
Намувікі, дрэва ведаў, якое вы вырошчваеце.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지위3. 한국에서의 학습4. 음운론
4.1. 강세에 따른 음운 변동4.2. 구개음화
5. 문자
5.1. 키릴 문자5.2. 라틴 문자(라친카)
6. 들어보기7. 참고문헌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루신어와 함께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개별언어이다. 러시아어와 함께 벨라루스의 공용어이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북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동부에 거주하는 벨라루스인들도 종종 사용한다. 러시아어와는 상당히 비슷해서 서로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한다.[2] 우크라이나어와도 매우 가까워 85% 이상은 통역 없이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3]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리투아니아어, 독일어, 라틴어, 튀르크어, 교회 슬라브어 등 여러 주변국들의 언어들에서 차용어들을 받아들였다.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와 함께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분화되어서 매우 가까운 편이다.

2. 지위

벨라루스 밴드 몰찻 도마의 벨사트 뮤직(Belsat Music)[4] 공연 및 인터뷰 장면.
해당 밴드는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결성되었으나 멤버들은 러시아어로 노래부르며, 인터뷰 또한 러시아어로만 하고 있다.
동시에 인터뷰어는 벨라루스어를 구사하고 있으나 멤버들과 인터뷰어는 서로의 말을 완벽히 알아듣고 있다.[5]
자세히 들어보면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 간 약간씩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의 차이에 비해서는 크게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벨라루스 헌법에 명시된 벨라루스의 공용어인 만큼 당연히 유치원과 학교에서 교육기간 내내 벨라루스어를 가르치기는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잘 쓰이는 편은 아니며 쓰인다해도 주로 시골에서 쓰인다.[6] 벨라루스인의 대다수는 사실상 러시아어 사용자이다. 1999년의 통계에 의하면 벨라루스 국민의 36%만이 가정에서 벨라루스어를 사용한다고 했으며, 2009년의 통계에 의하면 29%의 벨라루스인만이 벨라루스어를 읽고 쓸 수 있다고 했다. 심지어 비공식적인 통계에 의하면, 10% 내외의 벨라루스인은 벨라루스어를 모른다고 한다. 오히려 벨라루스에 거주하는 폴란드인 가운데에서 벨라루스어를 쓰는 비중[7]이 더 높았다. 더 극단적인 사례로 벨라루스 도메인을 쓰는 사이트들의 89.5%는 러시아어로 돼 있고 벨라루스어로 된 사이트는 1.8%에 불과하다고 한다. 관련 자료. 반푸틴·반루카셴코 인사인 벨라루스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도 작품은 러시아어로 썼다.

제정 러시아 치하에서 벨라루스 지역은 벨라루스라는 독립정체가 아닌 변방으로 취급받았기에 그 위상 자체가 낮았다. 도시민들은 러시아어를 배우는 걸 당연시하였고 벨라루스어는 기껏해야 시골에서나 쓰이는 언어에 불과했었다. 이 때문에 러시아-벨라루스어의 혼합언어인 트라샨카(Трасянка)[8]가 생겨날 정도였다. 하지만 뒤늦게 발흥한 민족주의에 편승하여 언어학자이자 사회주의 계열 정치인인 브라니슬라우 타라시케비치(Браніслаў Адамавіч Тарашкевіч, 1892–1938)가 《벨라루스어 학교문법(Беларуская граматыка для школ)》을 집필하였고 '타라시케비차(Тарашкевіца)'라 표현되는 전통 벨라루스어의 표준화를 최초로 이루어냈다. 그러나 소련 치하인 1933년에 언어 개정을 통해 문법과 철자를 러시아어와 가깝게 하는 러시아화(русіфікацыя)를 지향하게 됐다. 스탈린이 격하된 1950년대 말에는 문법이 개정되어 러시아적 요소가 일부 약화되기는 했지만 아주 바뀐 것은 아니었고, '나르카마우카(Наркамаўка, 인민위원회를 의미하는 народны камісар에서 따옴)라 표현되는 현대 벨라루스어는 바로 이 무렵에 급속도로 정립된 것이다. 이를 반영하여 벨라루스어 위키백과 Вікіпедыя와 함께 타라시케비차 언어판인 Вікіпэдыя로 양분돼 있다. 벨라루스어 일반판과 타라시케비차 판의 차이점이 없을 수 없는데, 예로 들면 '유대인의'라는 형용사를 보면 Яўрэйская와 Габрэйская(타라시케비차)로 나뉘어져 있다.

소련 해체 이후 초대 대통령으로 집권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1998년에 벨라루스 언어법을 개정하여 러시아어에 국어의 지위를 부여하였고 타라시케비차를 탄압하는 동시에 벨라루스어를 진흥하는 정책을 소극적으로 펼쳤다. 물론 루카셴코 그 자신도 거의 러시아어만 사용한다. 벨라루스어도 유창하게 구사하지만 제1언어로는 러시아어를 사용한다.[9][10] 이 때문에 벨라루스 도시민들은 러시아어로 적힌 시는 잘 외워도 벨라루스어로 적힌 시는 잘 못 읽는다. 오죽하면 위대한 작가를 언급할 때 벨라루스인 작가보다 푸시킨 등 러시아인 작가들을 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벨라루스어는 공적으로는 장려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러시아어가 워낙 대중적으로 확고하고, 무엇보다 현재 벨라루스 정부가 공식 언어로서도 러시아어를 자주 사용하면서 벨라루스어 장려정책에 적극적인 편은 아니기에 벨라루스어의 영향력은 계속 축소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벨라루스어 위키백과는 문서가 20만개가 넘을 정도로 모어 화자 수에 비해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11]

3.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 벨라루스어는 매우 희귀한 언어라서 아직 한국어로 된 벨라루스어책은 없다. 하지만 벨라루스어는 국내에서 특수외국어에 포함되어 있다.

4. 음운론

음절의 끝에 오는 в /v/와 л /l/은 /w/ 소리로 바뀌며 이를 ў로 적는다. 예를 들어 동사의 남성 과거형 어미는 러시아어에서는 -л이지만 벨라루스어에서는 -ў로 쓰인다. 단순히 단어 끝이 아닌, 실제 발음할 때의 소리를 기준으로 적기 때문에 러시아어의 전치사 в는 벨라루스어의 ў로 대응한다.

4.1. 강세에 따른 음운 변동

러시아어처럼 강세가 없는 o가 a처럼 발음되는데, 러시아어와 달리 벨라루스어에는 이 발음을 그냥 а로 적어 버린다. Белорусь(러시아어)[12]가 Беларусь(벨라루스어)가 된 것도 비슷한 맥락. 한국도 벨라루스어로는 러시아어처럼 Корея가 아닌 발음대로 Карэя라고 적는다.

강세가 없는 е의 경우 я와 같이 발음되는데[13] 이 또한 마찬가지로 발음 그대로 я로 적는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 его(jegó [(j)ɪˈvo])라고 적는 단어는 벨라루스어에서는 яго(jahó [jaˈɣo])라고 한다.

4.2. 구개음화

구개음화 현상이 러시아어보다 강하게 나타나며, 파찰음화도 같이 나타나 벨라루스어에서는 러시아어의 ть [tʲ], дь [dʲ] 발음이 ць [tsʲ], дзь [dzʲ] 발음으로 나타난다. "너를"이라는 대명사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тебе[14], 러시아어에서는 тебя[15]지만 벨라루스어에서는 цябе[16]라고 하는 것이 그 예. 다만 р [r]는 구개음화되지 않기 때문에 р + е는 ре [rʲe]가 아닌 рэ [re]가 된다.

5. 문자

통상적으로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16세기에 이 일대에 살던 립카 타타르인[17]들은 아랍 문자로 벨라루스어를 표기했다. 참고. 키릴 문자 체계와 더불어 라틴 문자 체계도 사용된다. 라틴 문자 표기인 라친카(Лацінка / Łacinka)는 폴란드어 일부 알파벳과 비슷하며 현대 벨라루스어에서 라친카가 쓰이는 비중은 매우 적다.

5.1. 키릴 문자

벨라루스어 키릴 문자 정서법은 러시아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Ў, ў와 І, і[18] 같은 글자를 사용한다. 러시아어에서 흔히 쓰이는 И, и에 해당하는 글자가 І і이며, Щ щ를 사용하지 않지만 Шч шч로 풀어서 쓴다. Г г의 경우 [ɣ]로 발음하기 때문에 라틴 문자 표기법으로는 H, h로 옮긴다. 가령 지명 Гомель의 경우 벨라루스어로는 [ˈɣomʲelʲ](호몔)로 발음된다.
<rowcolor=#000> 키릴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표준 발음
А а 아 (а) /ɑ/
Б б 베 (бэ) /b/
В в 베 (вэ) /v/
Г г 헤 (гэ) /ɣ/
Д д 데 (дэ) /d/
Е е 예 (е) /jɛ/, /ʲɛ/
Ё ё 요 (ё) /jɔ/, /ʲɔ/
Ж ж 제 (жэ) /ʐ/
З з 제 (зэ) /z/
І і 이 (і) /i/, /ʲi/, /ji/
Й й 이 네스클라도바예 (і нескладовае) /j/
К к 카 (ка) /k/
Л л 엘 (эл) /l/
М м 엠 (эм) /m/
Н н 엔 (эн) /n/
О о 오 (о) /ɔ/
П п 페 (пэ) /p/
Р р 에르 (эр) /r/
С с 에스 (эс) /s/
Т т 테 (тэ) /t/
У у 우 (у) /u/
Ў ў 우 네스클라도바예(у нескладовае)
우 카롯카예 (у кароткае)
/w/
Ф ф 에프 (эр) /f/
Х х 하 (ха) /x/
Ц ц 체 (цэ) /t͡s/
Ч ч 체 (чэ) /t͡ʂ/
Ш ш 샤 (ша) /ʂ/
Ы ы 의 (ы) /ɨ/
Ь ь 먀키 즈나크 (мяккі знак) /ʲ/
Э э 에 (э) /ɛ/
Ю ю 유 (ю) /ju/, /ʲu/
Я я 야 (я) /ja/, /ʲa/

5.2. 라틴 문자(라친카)

벨라루스어 라틴 문자 정서법은 라친카로도 불린다. 라친카에서 사용하는 문자들은 16세기에 최초로 고안됐고 18–19세기 근대산업시대에 학계와 신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폴란드 제2공화국 영내의 벨라루스어권 지역에서 사용되기도 했고 나치 점령기인 벨라루스 중앙 라다(1941–1944)에서는 벨라루스어의 공식 표기법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는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라친카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사용하던 라틴 문자를 일부 변형하였으며 폴란드어 문자와 관련이 있다. 일부 문자들은 얀 후스가 고안해낸 체코어 문자와 유사한데, 동유럽 최초의 출판업자이자 벨라루스어 서적 출간을 시작했던 프란치스크 스카리나(Францыск Скарына, 1470–1551)[19]가 바로 인쇄술을 체코에서 배워왔기 때문이다. 라친카 ŭ는 에스페란토의 ŭ와 발음과 유사하다. 소련 해체와 벨라루스의 독립 이후에 일부 사람들에게서 라친카를 부활하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지만,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적다.

A B C Ć Č D Dz Dź Dž E F G H Ch I J K L Ł M N Ń O P R S Ś Š T U Ŭ V Y Z Ź Ž
a b c ć č d dz dź dž e f g h ch i j k l ł m n ń o p r s ś š t u ŭ v y z ź ž

라친카와 별도로 벨라루스어 정부 차원에서 2000년 벨라루스 내 지명 표기를 위해 '벨라루스 공화국 지명 라틴 알파벳 문자 음역 지침(통칭 음역 지침·Інструкцыя па транслітарацыі)'을 제정하였고, 2007년 일부 개정을 거쳤다. 이 표기법은 라친카와 거의 비슷하지만 л의 표기 방식이 조금 다르다. 가령 호멜(Гомель)과 마힐료우(Магілёў)라는 지명은 라친카로는 Homiel과 Mahiloŭ, 현행 라틴 문자 표기법으로는 Homieĺ과 Mahilioŭ로 표기한다. 구글 번역기에서는 이 방식으로 벨라루스어를 음차하고 있다.

6. 들어보기


2017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벨라루스 대표로 참가한 Naviband의 "Гісторыя Майго Жыцця(내 삶의 이야기)"


200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자인 알략산드르 리바크(Аляксандр Рыбак, Alexander Rybak)의 노래.

7. 참고문헌

8. 관련 문서



[1]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Bjelarúskaja móva [bʲɛɫaruskaja mɔva\]). 약칭은 벨라루스카야(Беларуская). [2] 어느 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문어(文語)는 80%, 구어(口語)는 70% 정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사람마다 이해하는 정도가 다를 순 있다. [3] 반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는 같은 동슬라브어군이면서도 서로 소통에 어느 정도 지장이 있다고 한다. 이 점에서는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사이의 중간자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4] TV 채널 벨사트 TV(Belsat TV) 산하 음악 채널. 벨사트 TV는 폴란드의 TV 채널이지만, 벨라루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실제 공식 홈페이지 및 유튜브는 전부 러시아어도 아닌 벨라루스어로만 되어 있다. [5] 인터뷰 중(약 24-25분경) 보컬인 예고르 시쿠트코는 자신이 항상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온 밴드라며 소개를 시작하고 또 벨로러시아라는 말을 들으면 벨라루스로 정정한다고 말하지만, 그와 동시에 자신은 러시아어로만 노래하는데 그 이유를 '학창 시절 벨라루스어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며 '내가 영어를 하지 못하듯, 나는 내가 아는 언어로 노래한다'고 말하고 있다. 즉 민스크 토박이인 그에게 있어서 벨라루스어는 학교에서 의식적으로 배워야 하는 낯선 언어였던 것이다. 성급한 일반화는 금물이지만, 실제 벨라루스인들이 벨라루스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볼 수 있다. [6] 민스크는 시민들이 아예 러시아 도시 수준으로 러시아어만 쓴다는 느낌을 준다. [7] 2009년 통계에서 벨라루스 내 폴란드인들은 실제로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비율은 소수였으며, 이들 사이 집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비중은 51%, 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비중은 41%로 나타났다. 참고로 벨라루스인 중 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비중은 26%였고 러시아인 중에선 2%. [8] 이와 같은 케이스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혼합어인 수르지크(Суржик)가 있다. [9] 당장 신년사만 봐도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채택한 중앙아시아 국가의 정상들은 자국어와 러시아어로 연설을 동시에 하거나, 자국어와 러시아어를 번갈아가면서 얘기한다. 몰도바의 경우에는 러시아어가 공용어가 아님에도 친러 소수민족 때문인지 러시아어로도 신년사를 한다. 하지만 루카셴코는 자국어 그런 거 없이 러시아어로만 신년사를 한다.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도 통역없이 했다. 다만 루카셴코 세대는 소련 세대이기 때문에 구소련 어느 공화국 출신이든 사회 지도층이 될 정도의 인텔리가 러시아어를 아예 못 하는 것은(성향에 따라 러시아어 사용을 거부할 수는 있지만 못 하는 것과는 다르다.) 말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 [10] 아이러니한 것은 정작 러시아에서 루카셴코는 벨라루스 억양이 심해 짤방이나 놀림거리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11] 벨라루스어 위키백과가 활발히 운영되는 이유는 타 언어판 위키백과보다 사용자 자체는 적지만 헌신적인 기여자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이러한 점을 배워야 할 듯하다. [12] 사실 러시아에서는 벨라루스를 아직도 Белоруссия라고 많이 쓴다. [13] 이 부분은 러시아어와 다르다. 러시아어의 경우 [jɪ\] 또는 [ʲɪ\]로 발음. [14] 이 쪽은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아서 실제 발음은 '[teˈbɛ\](떼베)'에 가깝다. 우크라이나어는 기본적으로 구개음화가 거의 없어 러시아어나 벨라루스어와 들었을 때 확연히 구분된다. [15] '[tʲɪˈbʲa\](띠뱌)' [16] '[tsʲaˈbʲɛ\](짜볘)' [17] 쿠오 바디스의 저자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및 폴란드·벨라루스·리투아니아의 민족 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가 립카 타타르인 혈통을 일부 이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18] 사실 і는 러시아어에서도 활발히 쓰던 글자였는데 1918년 정서법 개정으로 и로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19] 16세기 벨라루스 르네상스를 이끈 사람으로 작가, 인쇄기술자, 출판업자, 의사를 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