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2:19:20

백아무개의 인생

백아무개의 인생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팬네임 형님들
차종 2018년식 쌍용 렉스턴 스포츠[1]
가족 아내, 아들
플랫폼 현황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백아무개의 인생)
가입일자: 2023년 9월 28일
구독자: 7.76만명[A]
조회수: 68,835,730회[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백아무개의 인생 시즌 2)
가입일자: 2019년 11월 24일
구독자: 2.79천명[A]
조회수: 0회[A]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백아무개의 인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백아무개의 인생 시즌 2)^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컨텐츠3. 어록4. 기타

[clearfix]

1. 개요

원래는 합법적인 예쁜 여자들을 올리려고 했는데 어쩌다보니 파키스탄 전문채널이 된 한 남자의 채널
채널 소개문

대한민국 유튜버. 파키스탄이나 방글라데시 등의 중앙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지의 개발도상국 정비 기술자들의 제작/수리 영상을 올리고 있다.

채널 소개문에도 보듯이 채널 초기에는 다양한 외국 사건들이나 트레이닝 관련 동영상(+트레이닝 받는 예쁜 아가씨들) 등을 알려주는 외국계 잡학 채널로 운영했지만, 파키스탄 기어 수리 영상의 조회수가 인기를 끌면서 운영 방식을 바꿨다. 이후로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 그 밖에 아프리카의 몇몇 개발도상국 기술자들 영상을 주력으로 올리고 있다.

2. 컨텐츠


대부분 영상들이 아프리카 국가들이나 파키스탄 같은 개발도상국 기술자들이 교통사고 피로 파괴로 짜부라지고 부러진 자동차 부위를 폐차에서 하부 프레임이나 엔진 부품 등을 가져와 부품 유용하거나 선반과 망치, 용접질로 그럴듯하게 부품을 재생해 끼우는 영상이다. 가끔 휠이나 톱니바퀴를 거푸집으로 주조하거나 고철이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면도날이나 슬리퍼, 냄비 같은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1950년대~1970년대 한국과 비슷한 분위기의 가내수공업 영상 분위기가 난다.

자동차 부품 유용이나 부품 재생 영상의 경우, 수리하는 환경과 재료들은 매우 열악한데 결과물은 그럴싸한 걸로 나오는 게 특징이다. 애초에 개발도상국에 들어가는 개조 차량 거의 대부분이 사고 차량이나 설계상 내구 연한을 초과한 차량들을 수입받아 재활용[6]한 것이고, 이걸 계속 돌려막기하며 과적에 과적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차량들이 더 많이 망가지는지라, 그런 방식의 기술자들이 전국적으로 다량 양산될 수밖에 없는 구조일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컨텐츠가 마를 일이 없다는 것이 이 채널의 가장 큰 장점.

피로 파괴가 일어날 정도로 상품성이 다한 부품들을 그보다 더 내구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되살리는 거라, 시한부 수리인 걸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재활용하는 씁쓸함과 "저렇게 고쳐?" 하는 느낌이 동시에 존재한다. 물론 영상 속 기술자들도 자신들이 하는 작업이 그때그때 문제만 해결하는 땜질식 처리일 뿐 나중에는 피로 피해로 크게 박살날 걸 모르지는 않지만, 영상을 제공하는 나라들의 특성상 제대로 된 차량과 부품을 수급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7]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시리즈가 지속되면서 예전에 고쳤던 곳이 또 깨져서 그걸 3차 가공하는 영상도 나오고 있으며, 위 동영상처럼 전손 차량에서 엔진과 하부 셰시만 살려서 아예 코치빌드를 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다. 그래도 선반과 그라인더, 용접, 큰형님 정밀 가공 등 일부 자동화 과정이 그나마 이뤄진 파키스탄에 비해 아프리카는 더 가난해서 야매의 정점을 찍는다.

사실 이런 식으로 전문화한 채널이 없어서 그렇지, 예전부터 파키스탄이나 몇몇 아프리카 국가의 야매 자동차 수리는 대한민국에도 어느 정도 인지도를 갖고 알려진 부분이었다. 이 채널의 특징은 그런 알음알음 알려진 요소를 '전문화'한 것과 더불어, 맛깔난 AI 나레이션과 적절한 개드립을 섞어 하나의 컨텐츠로 승화시켰다는 것에 있다.

3. 어록

이게뭐야?
영상 오프닝 멘트
오늘도 평화로운 파키스탄
파키스탄 소개 영상 오프닝 멘트[8]
오늘도 방글방글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소개 영상 오프닝 멘트
오늘도 흥미로운 인도
인도 소개 영상 오프닝 멘트
오늘도 아프리카 청춘이다
아프리카 소개 영상 오프닝 멘트
저 몽키스패너 있습니다
가끔 개드립성 코멘트에 덧붙이는 표현. 터무니없어 보이는 주장을 하면서 맞기 싫으면 따르라는 의미이다.

4. 기타



[1] 쌍용 시절 생산된 초기형 2.2 디젤 모델이다. [A] 2024년 5월 16일 기준 [A] [A] [A] [6] 그것도 온전한 상태의 차량을 받는 것이 아니고, 프레스기로 압축해 '고철' 혹은 '부품' 명목으로 수입한 것들을 자르고 펴서 현장에서 재조립해 재활용하는 것이다. [7] 그나마 제일 사정이 나은 파키스탄의 경우에도 1인당 GDP 1471달러로 네팔과 비슷한 개발도상국이고, 핵개발로 인해 미국의 경제 제재가 현재진행형인데다 탈레반과의 국지전이 내전 수준으로 계속 이뤄지고 있어 멀쩡한 차량이나 부품을 구한다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다. 실제로 탈레반의 테러에 휘말린 지역 유지의 사제 방탄차량을 수리하는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고, 구독자 중 한 명이 파키스탄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온갖 내전으로 얼룩지고 열악한 기후와 도로 조건으로 더 사정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 [8] 해당 멘트로 고정된 것은 아니고 "오늘도 파키로운 평화스탄", "오평파", "Peaceful Pakistan" 등으로 변형되어 나오기도 한다. 다만 실제 파키스탄의 치안은 매우 나쁜 편이라서, 다른 나라의 인사와 달리 반어법 인사라고 보면 된다. [9] 물론 이들 역시 성인 문해율이 처음으로 50%를 넘긴 게 2006년일 정도로 열악한 교육 인프라와 출산을 장려하는 이슬람 문화, 미국의 경제 제재 등으로 인한 경제침체로 인해 어릴때부터 노인이 될 때까지 중노동에 노출되어야만 하는 파키스탄 사회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10] 이런 식으로 직접 영상을 사서 공식적으로 활용하는 건 미국과 유럽, 그나마 일본 쪽이 활성화되어 있고 한국에서는 아직 관련 개념이 미비한 편이라 더 부각되는 특징. 이런 방식이 현지 기술자들한테도 이득인 게, 전세계에서 들어오는 조회수와 영상 결제비로 인해 점점 더 좋은 장비를 도입해서 사정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 채널의 경우 녹화분 오리지널을 받는 것이 아니고, 저작권자 측에서 1차 가공한 영상을 받아서(영업비밀처럼 민감한 부분을 잘라낸다고 한다.) 2차 가공하는 것이라고. [11] 백아무개와 비슷하게 영상을 직접 구입해 업로드하는 유튜버들과 비교해 보면, 역시나 정확한 출처가 기입되어 있지 않다. 덧붙여 대부분의 다른 채널들은 영상 편집을 거의 안 하기 때문에, 백아무개가 전달받는 '1차 가공 영상'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 가능하다. 그 중 나무위키 등재 기준을 충족하는 채널로는 The Mechanic PK Amazing Skills가 있다. [12] 차 번호판에 붙은 깃발이 민주콩고 국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