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유럽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
중국 |
베트남 |
|
팔레스타인 |
이탈리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볼드체 표시는 대만의 수교국 |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중국 |
홍콩 |
|||
싱가포르 |
티베트 |
몽골 |
베트남 |
필리핀 |
|||
인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오키나와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독일 |
체코 |
슬로바키아 |
영국 |
프랑스 |
|||
아일랜드 |
바티칸 |
그리스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사우디아라비아 |
이스라엘 |
이란 |
리비아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키츠 네비스 |
파라과이 |
|||
과테말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니카라과 |
|||
아이티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아프리카 | |||||||
소말릴란드 |
감비아 |
에스와티니 |
레소토 |
상트메 프린시페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투발루 |
사모아 |
|||
팔라우 |
나우루 |
||||||
다자관계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대한민국·대만·일본 |
중화권·아제르바이잔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바티칸 | 대만 |
[clearfix]
1. 개요
바티칸과 대만의 관계.대만과 바티칸은 1942년에 수교했다. 현재 대만 입장에서는 유럽의 유일한 수교국이며, 중공 정권이 생기기도 전부터 수교했던 나라다.
2. 상세
대만 내에서 가톨릭 신자 비율은 불과 1 ~ 2%에 불과한 25만 ~ 30만 명 수준에 불과하지만, 바티칸은 유럽 지역의 유일한 공식 수교국으로서 대만에게 있어 현재 가장 중요한 수교국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대만 정부는 교황청과의 관계를 극도로 신경쓰고 있다. 그 이유로 전 세계 12억 가톨릭 교회 수장인 교황이라는 상징성, 유럽 최후의 외교 거점인 점, 다른 공식 수교국들로의 파급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대만의 12개 수교국들 중 중남미 국가 7개국은 국민 대부분이 가톨릭 신자라서, 가톨릭의 본산인 바티칸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서 이들 나라들 또한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있다. 자칫하면 중남미를 중심으로 그나마 남은 수교국들에 대한 연쇄 단교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대만은 바티칸의 동향을 항상 예의주시하고 있다.2.1. 21세기
중국과 바티칸은 중국 내 주교 서임권 문제, 지하 교회 문제, 대만과의 외교 관계 등 여러 문제로 공식 관계를 맺지 않고 있었지만 2018년 9월 중국과 바티칸이 주교 서품 문제에 중국 정부에서 임명한 주교들을 인정하는 쪽으로 합의해 대만 외교 당국을 크게 당황시켰다. 다급해진 대만에서는 교황의 대만 방문을 추진하였고, 복자 바오로 6세의 시성식에 참석한 천제런 부총통이 프란치스코 교황에 직접 방문 초청까지 했지만 바티칸이 교황의 대만 방문 계획이 없다며 사실상 거절당했다.그러나 2020년 이후 홍콩 보안법, 코로나 팬데믹등으로 중국과 바티칸의 외교협상이 중단된 상태이다. 종교의 자유를 포함해 중국의 인권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인권을 중시하는 바티칸도 수교에 부담을 느꼈다. 당분간은 대만과의 외교관계가 계속 유지될 전망이며, 대만은 운 좋게도 한숨 돌릴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10월부터 중국에서 다시 교황청에 외교관계 수립 전제로 대만과 단교를 요구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