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4:34:17

미소녀 캐릭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소녀
1. 개요2. 특징3. 역사4. 미소녀 캐릭터로 오해할 수 있는 캐릭터

1. 개요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비주얼 노벨, 라이트 노벨등 오타쿠 문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2. 특징

미소녀들이 대검이나 미니건[1]을 사용하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주위 사람이 그 점을 지적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단순히 외모만이 아니라 힘 역시 미소녀가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저런 대검이나 미니건을 사용하면서도 미(美)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팔 다리에 근육은 고사하고 굳은살도 없이 매끈하다

미소녀 게임,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연애 어드벤처 게임, 하렘물등에 많이 등장한다.

가끔 가다 머리카락이 눈을 가리면 머리카락 앞에 이 위치한다.

동물귀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고 모에요소로서는 가치가 높은 동물귀인 고양이귀(네코미미)는 매우 귀엽고 모에스러운 특성상 대개 미소녀가 착용하고 있다.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이나 인터넷 매체에서 종종 볼 수 있다.

3. 역사

대중적으로 어필한 미야자키 하야오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루팡 3세의 등장인물인 클라리스 드 칼리오스트로에서 시작 되었다.

1986년 몽환전사 바리스라는 미소녀 게임이 등장했고 최초의 미소녀 전사 캐릭터가 등장하는 게임이다.

한국어의 형태론 상 미(美)+한자어명사의 조어는 생산성이 있으므로, '미소녀'라는 표현 자체는 '미소년'과 마찬가지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기 전부터 통용되어왔다.[2] 이어서 오타쿠 하위문화 외에서도 미소녀의 사용 현상이 관측되자 2000년대 중반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되었다.

4. 미소녀 캐릭터로 오해할 수 있는 캐릭터


[1] 이건 현역 시절의 아놀드 슈워제네거도 들고 쏘는 게 불가능하다. 터미네이터 2의 미니건 난사 장면은 반동이 적은 공포탄을 사용하고도 견딜 수가 없어서 4000~5000rpm의 발사속도를 크게 떨어뜨리고서 촬영한 것이다. [2] 여기서 '통용되어왔다'의 의미는 널리 쓰였다는 뜻이 아니고, 오타쿠 문화에 대해 문외한이더라도 한국어를 능숙하게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미소녀'라는 표현을 듣고 의미를 유추해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3] 점보가 처음에 처음에 미소녀라고 불러줬다가 아야세 아사기를 보고난 후 그냥 소녀로 강등. [4] 도레미의 경우 자칭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미소녀지만, 작중엔 도레미가 미소녀라는 언급은 없다. 다만 딱히 못생겼다는 언급도 없으며 타인이 도레미의 외모를 지적할 땐 외모 자체가 아닌 특유의 경단머리를 지적하는게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