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4:43:3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4년/6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4년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A9C><tablebgcolor=#005A9C>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4년 월별 경기
}}}||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1. 개요2. 6월 4일 ~ 6월 6일 vs 피츠버그 파이리츠 (원정) (1승 2패)
2.1. 1차전 (0:1 패)2.2. 2차전 (6:10 패)2.3. 3차전 (11:7 승)
3. 6월 7일 ~ 6월 9일 vs 뉴욕 양키스 (원정) (2승 1패)
3.1. 1차전 (2:1 승)3.2. 2차전 (11:3 승)3.3. 3차전 (4:6 패)
4. 6월 11일 ~ 6월 13일 vs 텍사스 레인저스 (홈) (1승 2패)
4.1. 1차전 (2:15 승)4.2. 2차전 (3:2 패)4.3. 3차전 (3:1 패)
5. 6월 14일 ~ 6월 16일 vs 캔자스시티 로열스 (홈) (2승 1패)
5.1. 1차전 (3:4 승)5.2. 2차전 (7:2 패)5.3. 3차전 (0:3 승)
6. 6월 17일 ~ 6월 20일 vs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 (3승 1패)
6.1. 1차전 (9:5 승)6.2. 2차전 (11:9 승)6.3. 3차전 (6:7 패)6.4. 4차전 (5:3 승)
7. 6월 21일 ~ 6월 22일 vs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홈) (1승 1패)
7.1. 1차전 (3:2 패)7.2. 2차전 (2:7 승)
8. 6월 24일 ~ 6월 26일 vs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 (2승)
8.1. 1차전 (3:0 승)8.2. 2차전 (4:3 승)8.3. 3차전
9. 6월 28일 ~ 6월 30일 vs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원정)
9.1. 1차전9.2. 2차전9.3. 3차전

1. 개요

로스엔젤레스 다저스의 2024 시즌 6월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며, 모든 시간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LA 현지 시간(미국 서부)에 따른다.

2. 6월 4일 ~ 6월 6일 vs 피츠버그 파이리츠 (원정) (1승 2패)

2.1. 1차전 (0:1 패)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4일 화요일 15: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21분
PNC 파크 (미국, 피츠버그)
관중 수: 24,168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0 0 0 0 0 0 0 0 0 5 1 5
PIT 제러드 존스 0 0 1 0 0 0 0 0 - 1 4 0 2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제러드 존스(4-5) | L: 타일러 글래스나우(6-4) | SV: 데이비드 베드나(12)
HR LAD
PIT 잭 수윈스키 (3회 1점 | 시즌 5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개빈 럭스 2B
8 미겔 로하스 3B
9 크리스 테일러 CF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2. 2차전 (6:10 패)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5일 수요일 15: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5분
PNC 파크 (미국, 피츠버그)
관중 수: 29,716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제임스 팩스턴 0 0 2 0 1 1 1 1 0 6 11 2 2
PIT 폴 스킨스 0 7 0 0 1 0 2 0 - 10 9 2 5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폴 스킨스(3-0) | L: 제임스 팩스턴(5-1)
HR LAD 오타니 쇼헤이 (3회 2점 | 시즌 15호), 앤디 파헤스 (5회 1점 | 시즌 6호)
PIT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개빈 럭스 2B
8 앤디 파헤스 CF
9 크리스 테일러 3B
P 제임스 팩스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3. 3차전 (11:7 승)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6일 목요일 15: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8분
PNC 파크 (미국, 피츠버그)
관중 수: 22,752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워커 뷸러 4 0 0 0 6 1 0 0 0 11 14 3 8
PIT 베일리 팔터 0 1 3 0 0 0 0 3 0 7 14 1 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마이클 그로브(3-2) | L: 베일리 팔터(3-3)
HR LAD 프레디 프리먼 (1회 3점 | 시즌 8호),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5회 1점 | 시즌 13호), 무키 베츠 (5회 3점 | 시즌 10호)
PIT 닉 곤잘레스 (3회 2점 | 시즌 4호), 오닐 크루즈 (8회 3점 | 시즌 8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5 앤디 파헤스 CF
6 미겔 로하스 2B
7 키케 에르난데스 3B
8 미겔 바르가스 LF
9 오스틴 반스 C
P 워커 뷸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3. 6월 7일 ~ 6월 9일 vs 뉴욕 양키스 (원정) (2승 1패)

3.1. 1차전 (2:1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7일 금요일 16:05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21분
양키 스타디움 (미국, 뉴욕)
관중 수: 48,048명
선발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0 0 0 0 0 0 0 0 0 2 2 4 1 8
NYY 코디 포팃 0 0 0 0 0 0 0 0 0 0 1 1 5 1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마이클 그로브(4-2) | L: 이안 해밀턴(0-1) | SV: 요한 라미레즈(1)
HR LAD
NYY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앤디 파헤스 CF
8 개빈 럭스 2B
9 키케 에르난데스 3B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3.2. 2차전 (11:3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8일 토요일 16:35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3시간 17분
양키 스타디움 (미국, 뉴욕)
관중 수: 48,374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개빈 스톤 0 1 1 0 1 1 0 4 3 11 11 0 7
NYY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 0 1 1 0 0 0 0 0 1 3 10 1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개빈 스톤(7-2) | L: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3-5)
HR LAD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2회 1점, 8회 4점 | 시즌 14, 15호), 키케 에르난데스 (5회 1점 | 시즌 4호)
NYY 애런 저지 (3회 1점, 9회 1점 | 시즌 22, 23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앤디 파헤스 CF
7 미겔 로하스 2B
8 키케 에르난데스 3B
9 크리스 테일러 LF
P 개빈 스톤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3.3. 3차전 (4:6 패)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9일 일요일 16: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4분
양키 스타디움 (미국, 뉴욕)
관중 수: 48,02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0 0 0 2 1 0 1 0 4 9 0 2
NYY 루이스 힐 0 0 2 0 0 3 0 1 - 6 9 0 2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케일럽 퍼거슨(1-3) | L: 타일러 글래스나우(6-5) | SV: 클레이 홈즈(19)
HR LAD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6회 1점 | 시즌 16호)
NYY 오스왈도 카브레라 (3회 1점 | 시즌 5호), 트렌트 그리샴 (6회 3점 | 시즌 3호), 애런 저지 (8회 1점 | 시즌 24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앤디 파헤스 CF
8 개빈 럭스 2B
9 키케 에르난데스 3B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4. 6월 11일 ~ 6월 13일 vs 텍사스 레인저스 (홈) (1승 2패)

4.1. 1차전 (2:15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1일 화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0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1,416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TEX 데인 더닝 0 1 0 0 0 0 1 0 0 2 5 0 2
LAD 제임스 팩스턴 3 0 0 3 1 7 1 0 - 15 14 0 10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제임스 팩스턴(6-1) | L: 데인 더닝(4-5)
HR TEX 에제키엘 듀란 (7회 1점 | 시즌 2호)
LAD 윌 스미스 (1회 3점 | 시즌 10호), 오타니 쇼헤이 (6회 2점 | 시즌 16호), 프레디 프리먼 (6회 1점 | 시즌 9호),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6회 2점 | 시즌 17호), 제이슨 헤이워드 (6회 2점 | 시즌 3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개빈 럭스 2B
7 앤디 파헤스 CF
8 제이슨 헤이워드 RF
9 미겔 로하스 3B
P 제임스 팩스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4.2. 2차전 (3:2 패)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2일 수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1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48,930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TEX 존 그레이 0 0 0 0 3 0 0 0 0 3 8 0 2
LAD 워커 뷸러 1 0 0 0 0 0 0 0 1 2 7 2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제이크 라츠(2-1) | L: 워커 뷸러(1-4) | SV: 커비 예이츠(9)
HR TEX 코리 시거 (5회 3점 | 시즌 14호)
LAD 오타니 쇼헤이 (1회 1점 | 시즌 17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개빈 럭스 2B
7 앤디 파헤스 CF
8 제이슨 헤이워드 RF
9 캐번 비지오 3B
P 워커 뷸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저스가 캐번 비지오를 웨이버 트레이드로 영입하였으며, 비지오는 이번 경기에서 3루수로 선발 출전한다.

4.3. 3차전 (3:1 패)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3일 목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1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0,134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TEX 마이클 로렌젠 2 0 1 0 0 0 0 0 0 3 7 0 6
LAD 마이클 그로브 0 0 0 0 0 0 1 0 0 1 5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마이클 로렌젠(4-3) | L: 마이클 그로브(4-3) | SV: 커비 예이츠(10)
HR TEX
LAD 앤디 파헤스 (7회 1점 | 시즌 7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5 앤디 파헤스 C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개빈 럭스 2B
8 캐번 비지오 3B
9 오스틴 반스 C
P 마이클 그로브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 6월 14일 ~ 6월 16일 vs 캔자스시티 로열스 (홈) (2승 1패)

5.1. 1차전 (3:4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4일 금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1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49,580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KC 콜 레이건스 0 0 0 3 0 0 0 0 0 3 5 1 2
LAD 개빈 스톤 0 0 0 0 3 0 0 1 - 4 8 0 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다니엘 허드슨(3-1) | L: 윌 스미스(0-3) | SV: 알렉스 베시아(3)
HR KC 살바도르 페레즈 (4회 3점 | 시즌 11호)
LAD 미겔 로하스 (5회 2점 | 시즌 3호), 크리스 테일러 (5회 1점 | 시즌 1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6 앤디 파헤스 CF
7 미겔 로하스 2B
8 키케 에르난데스 3B
9 크리스 테일러 LF
P 개빈 스톤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2. 2차전 (7:2 패)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5일 토요일 18: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2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0,42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KC 세스 루고 0 0 0 1 0 4 2 0 0 7 7 0 6
LAD 야마모토 요시노부 0 0 0 2 0 0 0 0 0 2 6 0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세스 루고(10-2) | L: 블레이크 트라이넨(2-1)
HR KC MJ 멜렌데즈 (6회 4점 | 시즌 8호)
LAD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5 앤디 파헤스 C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캐번 비지오 3B
8 개빈 럭스 2B
9 오스틴 반스 C
P 야마모토 요시노부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3. 3차전 (0:3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16일 일요일 13: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2,789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KC 브래디 싱어 0 0 0 0 0 0 0 0 0 0 3 1 2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0 1 0 0 2 0 0 - 3 5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타일러 글래스나우(7-5) | L: 브래디 싱어(4-4) | SV: 에반 필립스(10)
HR KC
LAD 오타니 쇼헤이 (3회 1점, 6회 1점 | 시즌 18, 19호), 프레디 프리먼 (6회 1점 | 시즌 10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무키 베츠 SS
2 오타니 쇼헤이 DH
3 프레디 프리먼 1B
4 윌 스미스 C
5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6 앤디 파헤스 CF
7 제이슨 헤이워드 RF
8 캐번 비지오 3B
9 개빈 럭스 2B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야마모토 요시노부, 마이클 그로브가 15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고 조 켈리가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동하였다. J.P. 파이어라이젠, 마이클 피터슨이 트리플 A에서 콜업되었다.

6. 6월 17일 ~ 6월 20일 vs 콜로라도 로키스 (원정) (3승 1패)

6.1. 1차전 (9:5 승)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17일 월요일 17: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4분
쿠어스 필드 (미국, 덴버)
관중 수: 32,021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제임스 팩스턴 1 2 0 0 0 0 2 2 2 9 14 1 9
COL 칼 콴트릴 0 1 0 0 0 0 0 0 4 5 6 0 1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제임스 팩스턴(7-1) | L: 칼 콴트릴(6-5)
HR LAD
COL 제이콥 스탈링스 (2회 1점 | 시즌 4호), 그렉 존스 (9회 1점 | 시즌 1호), 헌터 굿맨 (9회 2점 | 시즌 5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5 앤디 파헤스 C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미겔 로하스 SS
8 캐번 비지오 3B
9 개빈 럭스 2B
P 제임스 팩스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무키 베츠가 1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고 미겔 바르가스가 트리플 A에서 콜업되었다.

6.2. 2차전 (11:9 승)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18일 화요일 17: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55분
쿠어스 필드 (미국, 덴버)
관중 수: 33,791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워커 뷸러 0 1 1 0 0 1 1 0 7 11 9 0 7
COL 오스틴 곰버 4 2 0 1 0 1 1 0 0 9 11 0 6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마이클 피터슨(1-0) | L: 빅터 보드닉(1-1) | SV: 에반 필립스(11)
HR LAD 앤디 파헤스 (2회 1점 | 시즌 8호), 오타니 쇼헤이 (6회 1점 | 시즌 20호), 제이슨 헤이워드 (9회 4점 | 시즌 4호),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9회 3점 | 시즌 18호)
COL 에로리스 몬테로 (2회 2점 | 시즌 4호), 브렌튼 도일 (4회 1점 | 시즌 6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5 앤디 파헤스 CF
6 미겔 로하스 SS
7 키케 에르난데스 3B
8 미겔 바르가스 LF
9 크리스 테일러 2B
P 워커 뷸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워커 뷸러가 이번에도 어김없이 쿠어스 필드의 벽을 넘지 못한 채 4이닝 동안 홈런 두 방을 맞고 7실점을 하는 부진한 투구를 보였고 팀도 오스틴 곰버에게 홈런 두 방을 기록하고 단 4득점만을 기록하고 꽁꽁 묶인 채로 경기는 로키스에게 와장창 기울고 있었다. 그러나 9회초에 타일러 킨리를 상대로 앤디 파헤스가 볼넷으로 걸어나가는 것을 시작으로 미겔 로하스가 또 기술적인 타격으로 안타를 기록해서 무사 1,2루가 되더니 이후 키케 에르난데스가 삼진으로 물러났으나 1사 1,2루 상황에서 미겔 바르가스가 또 볼넷으로 걸어나가면서 1사 만루가 되고 경기가 이상해지기 시작했다. 다음 타자는 크리스 테일러였는데 여기서 로버츠 감독의 선택은 이 날 휴식을 취하고 있었던 대타 제이슨 헤이워드. 이때까지만 해도 대다수의 다저스 팬들은 그냥 후속 타자였던 오타니 쇼헤이의 타석이나 기대하고 있었으나, 헤이워드가 2-2의 볼카운트에서 90.2마일짜리 몸쪽 슬라이더를 통타해서 쿠어스 필드의 우측 폴대를 때리는 만루홈런을 날려버렸다! 이 홈런으로 4:9의 스코어가 단숨에 8:9.

결국 타일러 킨리는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빅터 보드닉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후속 타자였던 오타니 쇼헤이가 보드닉의 91.3마일 체인지업을 기술적으로 밀어쳐서 좌전 안타로 출루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윌 스미스가 풀카운트 접전 끝에 루킹 삼진으로 물러났으나,[1] 프레디 프리먼의 타석에서 폭투가 일어나서 오타니가 2루로 진루하자 결국 버드 블랙 로키스 감독은 프리먼을 거르고 이 날 4타수 무안타로 부진하고 있었던 테오스카 에르난데스를 선택했다. 이 날 주심의 판정이 꽤나 오락가락했던 나머지 테오스카의 타석에서도 1-2의 상황에서 체크스윙 판정이 스윙으로 인정되지 않아서 2-2의 볼카운트가 되는 등 말이 많았고 그 이후에 보드닉은 테오스카에게 결정구로 100.6마일의 패스트볼을 던졌으나, 이것이 한가운데에 실투로 들어가는 바람에 테오스카가 이 공을 그대로 통타하며 쿠어스 필드의 우중간을 넘기는 역전 3점 홈런이 터지고 만다. 그렇게 다저스가 11:9로 이 경기를 역전해버렸고, 후속 타자였던 앤디 파헤스가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났으나 이후 9회말은 알렉스 베시아 에반 필립스가 각각 0.2이닝과 0.1이닝을 책임지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2] 다저스는 이 경기에서 기적의 역전승을 거두며 워커 뷸러의 패전을 말끔하게 지워준 것도 모자라 지구 2위와의 승차를 9게임차까지 벌렸고, 쿠어스 필드 원정 4연전에서 최소 동률 시리즈를 확보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8회말에 등판했던 마이클 피터슨은 이 경기가 다저스 데뷔전이자 메이저리그 데뷔전이였는데, 9회초에 이 경기가 역전되며 데뷔전에서 데뷔 첫 승을 구원승으로 기록하는 행운을 안았다.

6.3. 3차전 (6:7 패)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19일 수요일 17:4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0분
쿠어스 필드 (미국, 덴버)
관중 수: 37,50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바비 밀러 0 4 0 0 2 0 0 0 0 6 10 1 4
COL 라이언 펠트너 3 0 0 1 0 0 2 0 1 7 10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제일런 빅스(3-3) | L: 요한 라미레즈(0-3)
HR LAD
COL 마이클 톨리아 (1회 3점 | 시즌 6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프레디 프리먼 1B
3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4 앤디 파헤스 CF
5 제이슨 헤이워드 RF
6 개빈 럭스 2B
7 캐번 비지오 3B
8 키케 에르난데스 SS
9 오스틴 반스 C
P 바비 밀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워커 뷸러가 15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고 바비 밀러가 15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했다.

6.4. 4차전 (5:3 승)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20일 목요일 12: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34분
쿠어스 필드 (미국, 덴버)
관중 수: 40,236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개빈 스톤 1 0 2 2 0 0 0 0 0 5 12 0 3
COL 타이 블락 0 0 0 0 0 2 0 1 0 3 6 0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개빈 스톤(8-2) | L: 타이 블락(3-5) | SV: 에반 필립스(12)
HR LAD 오타니 쇼헤이 (1회 1점 | 시즌 21호), 윌 스미스 (4회 1점 | 시즌 11호), 프레디 프리먼 (4회 1점 | 시즌 11호)
COL 라이언 맥마혼 (8회 1점 | 시즌 13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5 앤디 파헤스 CF
6 미겔 로하스 SS
7 미겔 바르가스 LF
8 키케 에르난데스 3B
9 크리스 테일러 2B
P 개빈 스톤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7. 6월 21일 ~ 6월 22일 vs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홈) (1승 1패)

7.1. 1차전 (3:2 패)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21일 금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0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1,841명
선발 1 2 3 4 5 6 7 8 9 10 R H E B
LAA 패트릭 산도발 0 0 0 0 0 2 0 0 0 1 3 4 0 6
LAD 랜던 낵 0 0 0 0 2 0 0 0 0 0 2 5 0 2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루이스 가르시아(2-0) | L: 에반 필립스(0-1) | SV: 카를로스 에스테베즈(14)
HR LAA
LAD 오타니 쇼헤이 (5회 2점 | 시즌 22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RF
3 프레디 프리먼 1B
4 앤디 파헤스 CF
5 미겔 로하스 SS
6 미겔 바르가스 LF
7 키케 에르난데스 3B
8 크리스 테일러 2B
9 오스틴 반스 C
P 랜던 낵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랜던 낵이 트리플 A에서 콜업되었고 J.P. 파이어라이젠이 트리플 A로 옵션되었다. 카일 허트가 60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였고 트리플 A로 옵션되었다. 맥스 먼시가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동하였다.
오타니 쇼헤이가 다저스 이적 이후 친정팀 에인절스를 처음으로 만나는 경기였으며, 오타니는 이번 경기에서 5회말 2점 홈런과 두 번의 볼넷을 얻어내며 친정팀에 비수를 꽂을 뻔 했다. 그러나 6회초 라이언 야브로가 난조를 보이며 몸에 맞는 공을 6회초에만 3개를 기록하며 경기는 동점이 되었고 결국 연장까지 경기는 이어졌다. 승부는 10회에 갈렸다. 10회초 에인절스의 테일러 워드가 2사 3루에서 결승 적시타를 쳤고 다저스가 10회말 무득점에 그치며 에인절스의 3:2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이로써 다저스는 에인절스와의 프리웨이 시리즈에서 기록 중이었던 10연승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7.2. 2차전 (2:7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22일 토요일 19: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10분
다저 스타디움 (미국, 로스앤젤레스)
관중 수: 53,273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A 잭 플리잭 0 0 0 1 0 0 1 0 0 2 3 0 0
LAD 타일러 글래스나우 0 0 4 2 1 0 0 0 - 7 9 1 4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타일러 글래스나우(8-5) | L: 잭 플리잭(1-1)
HR LAA 로건 오하피 (7회 1점 | 시즌 10호)
LAD 개빈 럭스 (3회 1점 | 시즌 2호), 오타니 쇼헤이 (3회 2점 | 시즌 23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LF
5 앤디 파헤스 CF
6 제이슨 헤이워드 RF
7 미겔 로하스 SS
8 개빈 럭스 2B
9 캐번 비지오 3B
P 타일러 글래스나우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8. 6월 24일 ~ 6월 26일 vs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 (2승)

8.1. 1차전 (3:0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24일 월요일 17: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28분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 (미국, 시카고)
관중 수: 25,070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제임스 팩스턴 0 0 0 0 0 0 2 0 1 3 9 0 3
CWS 개럿 크로셰 0 0 0 0 0 0 0 0 0 0 5 1 3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다니엘 허드슨(4-1) | L: 스티븐 윌슨(1-5) | SV: 알렉스 베시아(4)
HR LAD
CWS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앤디 파헤스 CF
5 미겔 로하스 SS
6 미겔 바르가스 LF
7 키케 에르난데스 3B
8 크리스 테일러 2B
9 제이슨 헤이워드 RF
P 제임스 팩스턴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8.2. 2차전 (4:3 승)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25일 화요일 17: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2시간 49분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 (미국, 시카고)
관중 수: 23,662명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바비 밀러 1 0 2 1 0 0 0 0 0 4 7 0 4
CWS 크리스 플렉센 3 0 0 0 0 0 0 0 0 3 8 0 6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마이클 피터슨(2-0) | L: 크리스 플렉센(2-7) | SV: 에반 필립스(13)
HR LAD 오타니 쇼헤이 (1회 1점 | 시즌 24호), 프레디 프리먼 (3회 2점 | 시즌 12호)
CWS 앤드류 베닌텐디 (1회 2점 | 시즌 6호)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타니 쇼헤이 DH
2 윌 스미스 C
3 프레디 프리먼 1B
4 앤디 파헤스 CF
5 제이슨 헤이워드 RF
6 미겔 로하스 SS
7 개빈 럭스 2B
8 미겔 바르가스 LF
9 캐번 비지오 3B
P 바비 밀러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8.3. 3차전

파일:MLB Interlegue Play 로고.svg
2024 MLB Interleague
2024년 6월 26일 수요일 17:10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 (미국, 시카고)
관중 수: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개빈 스톤
CWS 에릭 페디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 - ) | L: ( - )
HR LAD
CWS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2
3
4
5
6
7
8
9
P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9. 6월 28일 ~ 6월 30일 vs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원정)

9.1. 1차전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28일 금요일 19:15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오라클 파크 (미국, 샌프란시스코)
관중 수: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SF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 - ) | L: ( - )
HR LAD
SF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2
3
4
5
6
7
8
9
P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9.2. 2차전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29일 토요일 16:15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오라클 파크 (미국, 샌프란시스코)
관중 수: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SF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 - ) | L: ( - )
HR LAD
SF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2
3
4
5
6
7
8
9
P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9.3. 3차전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 MLB National League
2024년 6월 30일 일요일 13:05 (PDT, 현지시각) | 경기 진행 시간 :
오라클 파크 (미국, 샌프란시스코)
관중 수: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LAD
SF
<colbgcolor=#09235D><colcolor=#FFFFFF> W: ( - ) | L: ( - )
HR LAD
SF
선발 라인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2
3
4
5
6
7
8
9
P
}}}}}}}}}}}} ||
경기 하이라이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c1d1f,#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이 과정에서 스미스가 요청한 타임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실랑이가 잠깐 있었다. 다만 스미스가 타임을 너무 늦게 요청했고, 로버츠 감독도 이를 수긍해서 별다른 어필을 하지는 않았다. [2] 9회말에도 베시아의 등판 상황에 명백하게 밖으로 빠진 공 하나가 스트라이크가 선언이 되고 존에 꽂힌 공이 볼 판정을 받는 등 소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