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6:36:26

러시아-세르비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유럽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체첸·인구시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아디게야 공화국 국기.svg
아디게야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이·발카르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다게스탄 공화국 국기.svg
다게스탄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인도·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몽골·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독일·러시아·폴란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연합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러일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세르비아·알바니아·코소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세르비아·코소보·북마케도니아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러시아 세르비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이전2.2. 19세기2.3. 20세기2.4. 21세기
2.4.1. 2010년대2.4.2. 2020년대
3. 문화 교류4. 교통 교류5. 세르비아계 러시아인6. 대사관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세르비아와의 관계에 대한 문서. 세르비아는 친러성향이 강한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이전

세르비아와 러시아는 슬라브계 국가들이다. 슬라브족들이 동로마 제국으로 이주하면서 분화되었다. 이때 세르비아는 남슬라브족, 러시아는 동슬라브족이고 둘다 동로마 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키예프 루스 세르비아 왕국은 동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아 키릴 문자를 도입하고 정교회를 신봉했다. 이후에 키예프 공국은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오스만 제국에 의해 세르비아 왕국이 멸망했을 때에 많은 세르비아인 귀족, 성직자들이 루스 차르국으로 이주했다.

18세기 말 오스만 제국에서 세르비아인 난민들이 유입되자 러시아 제국은 이들을 옐리샤베트흐라드 바흐무트에 정착시켰다.

2.2. 19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발칸반도에서 커졌다. 러시아 제국 범슬라브주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세르비아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제1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세르비아 측을 지원하였다. 1878년 베를린 조약을 통해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에서 완전 독립한 뒤에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과 수교했다.

2.3. 20세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을 때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을 지원했다.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를 침공하자 러시아 제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했다. 전쟁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군 내에 세르비아 의용군으로 이루어진 세르비아 의용사단이 창설되었고, 러시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의용사단 출신 세르비아인들이 적군에 자원해 백군과 싸우기도 했다.

냉전당시에 소련과 유고슬라비아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 소련과 달리 유고슬라비아는 티토주의를 따르고 있었고 바르샤바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는 등 소련과는 거리를 두고 있었다.[1] 동시에 유고슬라비아는 비동맹 중립노선을 채택하고 있었다.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발생했다. 91년에 소련도 해체하고 러시아가 생겼다.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에 의하면 러시아 군사 첩보 조직은 1993년 초 3억 달러 상당의 T-55 탱크, 탄도탄 요격 미사일, 대공 미사일을 세르비아계에 판매했다고 한다. 러시아 군사 전문가들이 유고슬라비아에 가서 이 무기들의 사용법을 세르비아에 전수했다.[2] 또한 다수의 러시아인들이 세르비아계 반군에 자원하기도 했다.

1998년 6월 12일에 러시아는 나토의 대 유고슬라비아 군사제재를 반대했다. #

2.4. 21세기

신유고 연방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되고 2006년에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나뉘어진 뒤에 생겨난 세르비아는 러시아와 협력 및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러시아측은 세르비아를 지지하며 코소보 독립에 반대했다.

2.4.1. 2010년대

코소보 전쟁 당시 적국이었던 세르비아가 유럽연합 가입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적이기도 했던 NATO 가입도 추진하고 있는데, 당연히 러시아는 '세르비아의 EU가입은 봐줘도 NATO 가입은 절대 용납 못 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3]

2014년 7월 23일, 세르비아 매체에서 푸틴 대통령이 10월에 세르비아를 방문한다고 보도했다. #

2016년 12월 12일, 러시아는 나토 크로아티아 지원에 대응해서 세르비아에 무기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 세르비아 외무장관 다치치는 "세르비아는 절대로 반러 국가가 되지 않을 것이며, 대러 제재에도 불참"한다고 강조했다.

2017년 4월 3일, 세르비아 대통령에 당선된 부치치 후보는 러시아와의 관계도 계속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 세르비아는 코소보와 갈등이 심각해지자 2018년 3월 28일에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했다. #

세르비아는 10월 24일에 러시아제 대공방어미사일시스템을 구입하면서 러시아와의 군사적 밀월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2019년 12월 4일, 방러한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만나 회담을 가졌고 국방협력강화에도 합의했다. #

2.4.2. 2020년대

2021년 1월 6일에 세르비아측은 러시아로부터 스푸트니크 V 200만회분을 공급받기로 했다.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난 뒤, 러시아가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지만, 세르비아는 러시아를 지지하며 러시아행 항공노선을 늘렸다. # 세르비아는 우크라 전쟁에 대해서는 표면적으로는 중립적 태도를 고수하고 있지만 서방의 대 러시아 경제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는 등 비교적 러시아에 기울어진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세르비아 시민들의 여론조사도 대체로 60% 정도가 러시아의 입장에 동조하고 있다.

그런데 2022년 4월, 러시아의 UN인권이사국 박탈 투표에서는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UN 인권이사국 박탈에 찬성하는 표를 던졌다. 또한 2022년 10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와 크리미아 반도 등을 병합한 조치에 대해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군대를 즉각 철수해야한다는 UN 결의안에도 찬성하는 표를 던졌다.

세르비아가 내륙국인 점은 러시아와의 외교에 적잖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2022년 6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세르비아 순방을 계획했을 때, 불가리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가 영공 통과를 금지시키는 통에 순방이 취소되었을 정도다.

세르비아가 러시아인들에게 있어서 선호하는 국가이다보니 세르비아 측에서 러시아인 망명자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

세르비아 부치치 대통령이 러시아 바그너 그룹의 세르비아인 모병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비판하였다. # 또한 돈바스와 크림반도는 우크라이나 영토라고 밝혔다. #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에는 비교적 친러시아 적이던 세르비아가 점차 반러시아로 태도가 바뀐 것에는 독립을 추구하는 코소보 문제가 우크라이나의 돈바스나 크리미아 지방의 독립 또는 러시아 합병 문제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코소보 독립을 저지하려는 입장변화로 보인다.

2023년 1월 원래 친러시아/반EU적이던 세르비아의 정치 외교적 태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점차 완연히 반러시아/친EU로 입장이 변하고 있는 것이 현 부치치 대통령의 발언이나 외교적 행보에서 감지되고 있다. 과거 부정적이던 EU 가입에 대해서도 언젠가는 EU에 가입할 것이라는 식으로 친러시아에서 친서방으로 태도의 점진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세르비아가 친서방으로 기우는 것과 반대로, 접경국인 헝가리가 친러로 기울고 있다. 러시아-헝가리 관계 문서를 참조.

2023년 1월 27일, 노박 조코비치가 호주 테니스 대회에서 우승한 뒤에 조코비치의 아버지가 러시아를 지지하는 발언을 하자 논란이 일어났다. #

2024년 3월 14일, 세르비아의 한 록밴드가 푸틴 대통령 헌정곡을 발표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

3. 문화 교류

세르비아와 러시아가 매우 가깝다보니 문화교류도 많은 편이다. 양국은 언어, 종교, 문화에서 매우 가깝다. 세르비아에서 러시아 교육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었다. #(러시아어)

세르비아에서는 러시아어 주간 행사가 개최되었다. #(러시아어)

세르비아의 도시 오포보에서 국제 그림 콩쿠르가 개최되면서 러시아쪽에서도 참가했다. #(러시아어)

베오그라드에서 러시아로 유학을 위한 러시아어 무료 강좌가 열렸다. #(러시아어)

세르비아의 도시 알렉산드로바츠에서 러시아 무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러시아측과 세르비아측이 논의했다. #(러시아어)

베오그라드 시의 광장에서 알렉산드로바 앙상블 공연이 개최됐다. #(러시아어)

2021년 12월 16일에 베오그라드시에서 도스토옙스키 200주년 기념 공연이 개최됐다. #(러시아어)

4. 교통 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러시아와 세르비아는 항공노선을 통해 교류하고 있다.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다. 세르비아측은 서방 국가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에 항공노선을 늘리기로 했다. #

2023년 2월 22일, 러시아가 북한, 중국, 인도, 세르비아 등 19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비자 간소화 조치를 취했다. #

5.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세르비아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을 당시에는 러시아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 러시아내의 세르비아인 공동체는 역사적으로 오래되었고, 일부는 러시아 귀족이 되었다.

6. 대사관

모스크바에 주 러시아 세르비아 대사관, 베오그라드에 주 세르비아 러시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7. 여담

세르비아의 한 오지 마을은 주민들이 푸틴을 너무 좋아해서 마을 이름을 푸티노보라고 바꾸었다. #

8. 관련 문서



[1]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은 친소성향이 매우 강했다. [2] 이고르 기르킨이 이때 정보작전 군사고문으로 유고슬라비아에 갔다고 한다. [3] 가까운 우크라이나와 달리 지리적으로 러시아와 워낙 거리가 멀어 세르비아가 NATO나 EU에 가입한다 해도 러시아로선 물리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는 게 현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7
, 11.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