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7:44:19

드라템

1. 개요2. 역사3. 장점4. 대처법 및 단점5. 종합6. 활용7. 스타크래프트 2?

1. 개요

스타크래프트 프로토스용 전술. 게이트웨이 유닛인 질럿 드라군, 하이 템플러, 소수 아칸으로 구성된 조합이다. 대 저그전 빌드이다.

2. 역사

원조는 삼성전자 칸 프로토스들. 당시 저프전에서 드라군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선수는 허영무 송병구였다.[1] 삼성에 주로 쓰이는 토스라 해봤자 허영무, 송병구 둘. 과거에 김택용 선수가 오델로에서 앞마당 자원만으로 드라템 뽕 뽑기를 보여준 적도 있다.

커세어 공발업 질럿이 각광을 받게 되자 발업 질럿에 대응하여 저그들이 심시티로 대처하면서 저그의 저프전 정석 빌드인 3해처리 레어의 최적화가 완성되었다. 그러자 프로토스 유저들은 기존 커공발질 이후 템플러를 섞어주면서 지속적으로 힘싸움을 하는 플레이를 연구했으나 이마저도 다수 히드라, 그리고 추가되는 럴커에 파훼되면서 좀 더 안정적인 중반 화력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고, 이에 맞춰 드라템이 프로토스 중반 운영의 핵심이 되었다.

현대 저프전의 정석은 게이트 더블/포지 더블로 시작해서 커공발을 거친 다음, 상대의 히드라 올인을 템플러로 막거나, 뮤탈을 간 경우 2스타+본진 캐논으로 대응한다. 그 다음, 첫 진출 타이밍에 맞춰 드라템을 모으고, 드라군 사업을 누르면서, 로보틱스를 올린다. 질드라템+옵저버로 상대의 저글링+히드라+럴커와 계속 힘싸움을 하다가 리버를 추가하여 스플래시 토스로 전환한다. 저그와 같은 수의 멀티를 먹는 데 성공하면, 거의 토스가 이긴다.

3. 장점

드라템의 장점은 레어 테크의 저그에 비해 압도적인 한 방과 안정성에 있다. 분명 레어 테크의 저그를 상대할때의 주화력은 스톰이지만, 드라군이 없는 질템의 경우 저그가 히드라를 뒤로 산개하면서 스톰을 피하고, 소수 히드라로 하이 템플러를 점사해서 스톰을 빼먹는 등의 컨트롤이 갖춰진다면 스톰이 다수 갖춰지더라도 저그의 컨트롤에 정신을 못 차리다가 한타를 패배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에 반해 드라군의 경우 히드라에 비해 사거리가 길다는 점 때문에 하이 템플러를 잘라먹는 것도 어렵고, 저그가 드라군을 잡아내려면 반드시 드라군에 달라붙어야만 하는 특성상 이 과정에서 스톰을 피하느라 딜 누수가 생긴다면 스톰을 다 피한다해도 역으로 다수 드라군에 얻어맞아 피떡이 되기 때문에 한타시 파괴력 자체가 차원이 다르고, 거기에다 질럿 위주의 병력이 기껏 힘싸움을 이긴다해도 저그의 심시티를 뚫지 못하고 저그의 후속 히드라에 허무하게 막히는 데 반해 드라군은 성큰을 그냥 뚫어버리는 것이 가능해 전투를 이기고도 이득을 보지 못해 역전당하는 그림도 잘 안 나온다.

또한 저그가 하이브를 가는 공백기를 버티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가는 유닛인 러커를 리버 테크가 갖춰지기 전 안정적으로 잡아내는 것이 가능한 유일한 유닛또한 드라군으로, 다수의 드라군과 하이 템플러가 쌓인다면 레어 테크의 저그는 업그레이드가 잘 갖춰진 프로토스를 상대로 한타를 이기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드라템이 한 번 모인다면 저그의 주력인 히드라는 전혀 상대가 되지 못하고, 럴커가 섞인다 하더라도 수비 상황에서만 맞싸움이 가능하지 공격적으로 나서는 건 힘들다는 점 때문에 하이 템플러 선에서 테크가 완성되는 프로토스와 달리 저그의 하이브 테크, 특히 디파일러는 컨슘과 플레이그가 둘 다 완성될 때까진 한참 긴 시간이 걸려 저그는 드라템을 상대로 상황이 어지간히 좋지 않은 이상 폭탄 드랍 등의 레어 테크 올인이 아니라면 반드시 한 번은 다수 러커를 통해 수비적으로 나서며 테크를 탈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프로토스는 저그를 압박하며 추가 멀티를 훨씬 손쉽게 가져갈 수 있고, 미리 모아둔 드라템은 저그가 하이브 운영으로 넘어가서도 주병력의 기둥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발질이나 질템에서 겜이 터지는 것이 아닌 이상은 반드시 한 번은 거쳐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4. 대처법 및 단점

저그가 이에 대응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예전에 쓰이던 방법으로는 맵을 뒤덮을 수준의 히드라 물량으로 스톰을 좀 맞더라도 힘으로 밀어버리는 것으로 한타시 교전 컨트롤에 목숨을 거는 방식이 있었지만, 공업 후 선방업 개념이 정립되면서 히드라만 가지고는 한타를 이기기 힘들다는 근본적인 문제에 의해 사장되고 2021년 현재는 빠른 하이브 테크를 타며 어떻게든 다수 산개 러커와 스커지를 통해 시간을 끌면서 디파일러를 띄워 드라템을 막거나, 드랍을 통한 러커 견제로 시간을 끌며 하이브를 띄우는 쪽이 보편화되었다.

그리고 저그가 디파일러를 띄우면 다크스웜에 공격이 죄다 막히면서 불리해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적어도 3가스 이상은 확보하고 스플래시 프로토스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 드라템을 유지하는 것을 옛날토스라 한다.

5. 종합

어쨌거나 가장 중요한 것은 주화력을 담당하는 스톰이고, 드라군은 스톰의 근본적 한계를 보충해주는 것에 가깝기 때문에 스톰의 사용에 따라서 전투의 결과가 천지차이로 변한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한타시 스톰의 대략적인 활용법은 다음과 같다.

결론적으로 하이 템플러를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요즘 저그들은 스커지로 토스의 본진을 정찰해서 무슨 빌드인지 다 보기 때문에 커세어 리버나 셔틀없는 커세어 다크 체제는 게이트가 적은 상태에서 로보틱스나 아카이브를 보여주면 저그가 눈치채고 대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하면 드라템은 보여줘도 하이 템플러 저격만 잘 대비만 하면 되는 안정성 높은 빌드로 평가받는다.

6. 활용

저그전에서 드라템이 가장 빛을 발하는 맵은 능선이 많거나 협곡 지형이 많은 맵. 특히 단장의 능선에서 자주 나왔는데 레인지 유닛이 주력이기 때문에 언덕을 점거할 경우 효율성이 극대화됐고 거기다 단장의 능선 맵의 멀티들이 본진과 멀티들 사이로 계속 이어져 있는 맵이였기 때문에 드라템의 안전성과 맞물려 좋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때문에 저그도 기를 쓰고 뮤탈로 하이템플러를 저격하려고 했고, 덕분에 보기 힘든 다크 아칸 메일스트롬을 우정호가 사용하여 승리하기도 했다.[2]

7. 스타크래프트 2?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불고기 조합( 불멸자 + 고위 기사)으로 이어졌고, 협동전에서는 아르타니스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1] 2006년에 신 백두대간에서 이제동을 온리 드라군 물량으로 관광보낸 경기도 있으니 김택용도 드라군을 주력으로 사용했다는 말이 있지만, 이 경우는 그저 한방 조합에 드라군을 많이섞은 정도일 뿐이며, 드라군을 하나의 전략에 핵심 유닛으로 본 경우가 아니며 주력으로 사용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다크 템플러 견제 이후 중반까지 김택용은 아칸-질럿-하이 템플러만 중앙 힘 싸움에 사용했다. 저그가 하이브 테크 이후에 토스가 한방 병력 조합에 드라군을 섞는 것은 안전성을 위해 다른 토스들도 예전부터 다 하는 방식이니 김택용이 드라군을 저그의 레어 테크에 대응해서 주력으로 사용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오히려 김택용이 군 전역 후 익명토스로서 이제동과 복귀전을 치렀을 당시 홍구가 "택용이 형은 드라군 잘 안쓰는데 (나왔다)" 며 놀랐다. [2] 허나 이 역시도 기습적인 1회성 전술에 불과하다. 우정호의 다크아칸을 예상한 김정우는 프로브 위에서만 뮤탈을 쓰며 프로토스를 농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