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2 18:35:47

도표(후조)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

1. 개요

桃豹
(? ~ 340)

후조의 인물. 자는 안보(安步). 유주(幽州) 범양군(范陽郡) 출신.

2. 생애

젊은 시절 대담한 성격에 용맹하고 기마술에 능해 고향에서 이름을 날렸다. 그는 종종 소매를 걷어올리고 큰 소리로
"대장부가 위(魏)나라의 태조를 섬겼으면 만호후(萬戶侯)에 봉해지거나 상장군(上將軍)에 올라야지, 그러하지 못한 자는 장부라 할 수 없다!"
라 외치고 다녔다. 당시 같은 무리의 사람들이 이를 듣고 웃으면 도표가 이들을 꾸짖으며 말했다.
"너희 같은 쥐새끼들이 '군자는 표범처럼 변한다(君子豹變)'는 말의 의미를 어찌 알겠느냐."
이후 서진이 큰 혼란에 빠진 틈을 타 도적으로 활동하였다.

영봉 2년(309년) 4월, 한(漢)의 안동대장군 석륵이 기주(冀州)를 침략해 군자영(君子營)을 세워 유능한 인재들을 모집하자, 도표도 석륵에게 귀순해 그의 휘하로 들어갔다. 석륵은 도표를 별장(別將)에 임명하고, 기안(夔安), 공장(孔萇), 지웅(支雄), 녹명(逯明) 등과 함께 자신의 조아(爪牙)로 삼아 하북의 나머지 지역들을 병탄해나갔다.

가평 3년(313년) 4월, 업(鄴)의 3대(三臺) 유민들이 모두 업성을 들어 석륵에게 항복하였다. 석륵은 도표를 위군(魏郡)태수로 삼아 업성의 백성들을 위무하게 하고, 몇 년 뒤에 석호를 보내 도표를 대신하여 업을 다스리게 하였다.

광초 2년(319년) 4월, 봉관(蓬關)에 주둔해있던 동진의 진류(陳留)태수 진천(陳川)이 항복해오자, 업의 석호는 진천의 무리 5,000호를 양국(襄國)으로 보내고 도표를 파견해 봉관을 지키게 하였다. 진천을 정벌하러 봉관으로 향하던 예주(豫州)자사 조적은 도표가 이미 봉관에 들어갔다는 보고를 듣고 다시 회남(淮南)으로 돌아갔다. 이후 도표는 석호의 명령에 따라 진천의 옛 성인 봉관의 천고성(川故城)을 점령해 지켰다.

광초 3년(320년) 6월, 조적이 장수 한잠(韓潜)을 파견해 천고성을 공격하였다. 도표는 서대(西臺)를 점거하고, 한잠은 동대(東臺)를 점거하면서 천고성을 나누어 대치하였는데, 도표는 남문, 한잠은 동문만 이용해 출입하며 40여 일간 서로 지키기만 하였다. 이에 대치 상태를 깨기 위해 직접 천고성으로 이동한 조적은 흙을 가득 채운 포대를 만든 뒤, 병사 1,000여 명을 동원해 그것들을 대(臺) 위에 올려놓아 적들에게 마치 쌀포대를 쌓은 것처럼 보이게 하였다. 또, 몇 명을 선발해 진짜 쌀포대를 짊어지고 이동하다가 도중에 길 위에서 쉬도록 지시하고, 만약 후조군이 오면 쌀을 그대로 버린 채 도망갈 것을 당부하였다. 이들을 습격해 버리고 간 포대의 내용물을 살펴본 도표의 병사들은 쌀로 가득 차있는 것을 보고 조적의 무리가 풍족한 것에 놀라 사기가 크게 꺾였다. 여기에 더해, 그동안 당나귀 1,000마리로 보급을 담당하던 장수 유야당(劉夜黨)이 변수(汴水)에서 조적의 장수 한잠, 풍철(馮鐵)에게 습격당해 보급도 끊기고 마니, 도표의 병사들은 점점 굶주리기 시작하면서 무너져내렸다.

이대로 버텨봐야 동진군이 습격해오면 대패할 것이 뻔하다 판단한 도표는 하는 수 없이 천고성을 포기하고, 밤에 몰래 동연성(東燕城)으로 퇴각하였다. 도표가 물러난 것을 확인한 조적은 한잠을 봉구(封丘)에 주둔하게 하여 동연성을 압박하게 하고, 조적 본인은 옹구(雍丘)에 주둔하면서 여러 번 별동대를 파견해 후조군을 괴롭혔다. 이후 도표는 진무도독(鎮撫都督), 예주자사를 역임하였다.

태화 원년(328년) 11월, 전조의 황제 유요 낙양의 금용성을 포위하자, 석륵의 소집령에 따라 출병하여 형양(滎陽)에서 석륵과 합류하였고, 낙수(洛水) 근처에서 유요의 10만 대군과 싸워 전조군을 대파하였다.

건무 4년(338년) 정월, 연왕(燕王) 모용황이 도위 조반(趙槃)을 파견해 천왕 석호에게 단부를 토벌해줄 것을 청하였다. 이에 천왕 석호는 날래고 용맹한 자 30,000여 명을 선발하여 모두 용등중랑(龍騰中郎)으로 삼아 토벌할 준비를 하였다. 이를 눈치챈 단부의 수령 단요(段遼)는 양위장군 단굴운(段屈雲)을 보내 유주를 습격하고, 후조의 유주자사 이맹(李孟)을 격퇴시켜 역경(易京)으로 물러나게 하였다. 석호는 도표를 횡해장군, 왕화(王華)를 도요장군으로 임명해 수군 100,000명을 통솔하여 표유진(漂渝津)에서 출진하게 하였다. 이후 단부의 정벌은 전연군과 후조군의 협공으로 성공적으로 끝났고, 도표는 태보로 승진하였다.

건무 5년(339년) 12월 7일[1], 태보 도표가 세상을 떠났다.


[1] 양력으로 계산할 시 340년 1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