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8:01:03

대한제국군/장성급 장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제국군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
대한제국
관련 문서 ·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800>관련 문서 대한제국 · 구한말 · 황실 · 왕조 · 광무개혁 · 대한제국군 · 대한제국 애국가 · 대한제국 원 · 대한제국 훈장 · 대한제국 황실 복원론 · 감리서 · 제국익문사 · 정보대 · 상무영 · 수학원 · 이화문 · 대한국 국제 · 양양가
관련 틀 역대 황제 · 역대 황후 · 역대 황태자 · 황실 · 총리 · 황궁 · 황궁의 정전 · 군대 편제 · 오악 · 중앙정치기구 · 신문 }}}}}}}}}


1. 개요

대한제국군 장성급 장교를 설명하는 문서다. 엄밀히는 1894년 12월에 주요 군사계급이 설정된 이후를 다루기 때문에 조선군의 현대 장성급 장교도 포함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장성급 장교는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를 참고할 것.

이 시절만 해도 군사계급을 부여하고 파면하면 군사계급을 빼앗겼다가 다시 복직되기도 했다. 현재의 북한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 그리고 법부대신이나 농상대신 등 다른 보직을 제복군인에게 맡기기도 했다. 대한제국이 전제제국을 꿈꿨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계급은 대원수(大元帥), 원수(元帥), 대장(大將), 부장(副將), 참장(參將)으로 구성되었다. 현재의 준장에 상당하는 계급은 없었다. 본래 한중일 모두 준장에 해당하는 계급이 없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북한[1]에 생겼고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는 필요에 따라 교관급 장교 최선임인 대교를 타국의 준장의 카운터파트로, 자위대에서는 1등육좌, 1등해좌, 1등공좌를 1종, 2종, 3종으로 나눠 1종 1좌를 준장에 가깝게 대우한다.

이들 중 일부는 조선인 일본군에 조선군인으로 편입되었다.

2. 계급별

2.1. 대원수

고종이 유일하게 맡았다.

2.2. 원수

순종이 유일하게 맡았다.

2.3. 대장

대한제국군에서 대장 계급으로 진급한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원수부 해산 이후 순종의 군복에 붙은 소매 계급장이 10줄짜리 원수 계급장에서 9줄짜리 대장 계급장으로 변경된 사진이 남아있어, 원수부가 해산되면서 대원수, 원수라는 계급도 사라지고 순종의 계급이 대장으로 변경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론이 있다.

2.4. 부장

2.5. 참장

건군 직후에는 정령을 안 거치고 부령(현재 중령에 대응)에서 참장으로 바로 진급한 케이스들이 많다. 이후 정령에서 참장으로 정상적인(?) 진급자가 늘어나는 편.


[1] 조선인민군의 소장이 brigadier general에 해당한다. [2] 뒤에 부장 계급으로 원수부 회계국 총장, 헌병대사령관 등을 지냈다. [3] 원수부 군무국 총장을 지냈다. [4]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궁성호위 사령관(宮城扈衛司令官), 시종무관장(侍從武官長)을 지냈다. [5] 원수부 검사국 총장, 동궁 무관장(東宮武官長)을 지냈다. 뒤에 조선군인으로 편입하여 일본군 중장도 지냈다. [6] 호남사령관, 참모부 부장을 지냈다. [7] 참모부 부장을 지냈다. [8] 배종 무관장(陪從武官長)을 지냈다. [9] 육군무관학교 학교장을 지냈다. [10] 혼성여단 임시여단장을 지냈다. [11] 육군법원장, 교육부 참모장. [12] 군부협판(軍部協辦)을 지냈다. [13] 참모부 1국장을 지냈다. [14] 군부 군무국장을 지냈다. [15] 헌병 사령관 역임. [16] 군부 참모국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