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0:14:42

닥터 둠/미디어 믹스



1. 개요2. 실사화3. 애니메이션
3.1. 마블 슈퍼 히어로즈3.2. 판타스틱 4(1967년 애니메이션)3.3. 뉴 판타스틱 43.4. 지구-8107 세계관3.5. 지구-92131 세계관3.6. 마블 액션 아워 시리즈
3.6.1. 판타스틱 4(1994년 애니메이션)3.6.2. 인크레더블 헐크(1996년 애니메이션)
3.7. 넥스트 어벤져스: 내일의 영웅들3.8. 판타스틱 4: 세계 최고의 영웅들3.9. 슈퍼 히어로 스쿼드 쇼3.10. 아이언맨: 아머드 어드벤처3.11. 어벤져스: 지구 최고의 영웅들3.12. 마블 슈퍼 히어로즈: 왓 더--?!3.13. 지구-12401 세계관
4. 게임

1. 개요

각종 미디어 믹스에 등장한 닥터 둠에 관한 문서.

2. 실사화

2.1. 판타스틱 포 실사영화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닥터 둠(판타스틱 포 실사영화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애니메이션

3.1. 마블 슈퍼 히어로즈

<colcolor=#fff>
파일:둠67.png
성우 - 헨리 라머

작중에서는 판타스틱 4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얼라이즈 오브 피스의 숙적으로 등장한다.

여담으로 닥터 둠이 만화 이외의 작품에 출연한 첫번째 작품이다.

3.2. 판타스틱 4(1967년 애니메이션)

<colcolor=#fff>
파일:둠81.png
성우 - 조지프 시롤라

판타스틱 4의 숙적으로 등장한다.

3.3. 뉴 판타스틱 4

<colcolor=#fff>
파일:둠78.png
성우 - 테드 캐시디

3.4. 지구-8107 세계관

<colcolor=#fff>
파일:둠66.png
성우 - 랄프 제임슨 (스파이더맨), 셰퍼드 멘켄 (스파이더맨과 놀라운 친구들)

3.4.1. 스파이더맨(1981년 애니메이션)

작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빌런. 라트베리아의 독재자이며 M-11 같이 생긴 로봇 부대를 거느린다. 세계 정복이 꿈이며 주로 UN의 주요 인물들을 로봇으로 바꿔치기하거나 정신을 조종하여 자신을 세계의 지도자로 뽑게 만들려고 하지만, 번번이 스파이더맨에게 패배한다. 손에서 파괴 광선을 쏘거나 사람을 아무도 모르게 납치하며, 기계 공학을 잘한다.

3.4.2. 스파이더맨과 놀라운 친구들

스파이더 프렌즈와 대립한다.

3.5. 지구-92131 세계관

<colcolor=#fff>
파일:슾타스둠.jpg
성우 - 톰 케인 (스파이더맨), 로스 마퀀드 (엑스맨 '97)

3.5.1. 스파이더맨(1994년 애니메이션)

<colcolor=#fff>
파일:슾타스둠1.jpg
시크릿 워즈 에피소드에서 등장한다. 비욘더에 의해 다른 빌런들과 함께 외계 행성으로 소환되고 외계 행성의 일부 지역을 지배한다. 그리고 비욘더의 힘을 뺏어 다른 빌런들은 원래 있던 장소로 돌려보내고 히어로들을 압도하는 힘을 보여주지만 결국 비욘더의 힘이 원주인에게 돌아가고 패배한다.

3.5.2. 엑스맨 '97

<colcolor=#fff>
파일:엑97둠.jpg
7화에서 바스티온과 협럭 관게로 등장한다.

3.6. 마블 액션 아워 시리즈

<colcolor=#fff>
파일:둠94.jpg
성우 - 존 버넌, 닐 로스 (판4 시즌1), 사이먼 템플먼 (판4 시즌2, 인크레더블 헐크) / 노민 (대원), 김희승 ( 디즈니+)

3.6.1. 판타스틱 4(1994년 애니메이션)

판타스틱 4의 숙적으로 등장.

3.6.2. 인크레더블 헐크(1996년 애니메이션)

판타스틱 포, 헐크, 쉬헐크와 대립한다.

3.7. 넥스트 어벤져스: 내일의 영웅들

<colcolor=#fff>
파일:넥어벤둠.jpg
마스터즈 오브 이블의 일원으로 어벤져스와 싸운 빌런 중 하나로 등장한다.

3.8. 판타스틱 4: 세계 최고의 영웅들

<colcolor=#fff>
파일:둠06.jpg
성우 - 폴 돕슨 / 노민(한국)

3.9. 슈퍼 히어로 스쿼드 쇼

<colcolor=#fff>
파일:스쿼드쇼 둠.png
성우 - 찰리 애들러/ 오인성

시즌 1에선 메인빌런이자 페이크 최종보스.
그러나 시즌 2에서 탈옥하여 꿍꿍이를 세우고 최종화에선 히든보스가 된다.

3.10. 아이언맨: 아머드 어드벤처

<colcolor=#fff>
파일:아머드어드벤처 둠.png
성우 - 크리스토퍼 브리튼

3.11. 어벤져스: 지구 최고의 영웅들

<colcolor=#fff>
파일:emh 둠.jpg
성우 - 렉스 랭 / 오인성

2기부터 등장한다. 아주 적게 등장하지만[1] 등장할때마다 엄청난 간지를 몰아치며 등장한다.

2기의 시작을 알리며 판타스틱 포와 어벤저스를 가히 농락했다. 심지어 닥터둠은 전투 초반에 가장 강력한 파워를 지닌 헐크한테 죽빵 맞았는데도 끔살은 커녕 후드만 벗겨지고 일절 데미지를 입지 않았다.[2] 둠의 기지에 잡혀 있는 와스프랑 인비저블 우먼을 구출하기 위해 쳐들 온 어벤저스와 판타스틱 포 멤버들이랑도 싸우는데 모두 다 간단하게 발라줬다. 심지어 비브라늄 슈트를 입은 블랙팬서는 그냥 헤드벗 한방에 잠깐 기절시켰다. 이들과 싸울 가치도 없다고 판단했는지 포로들을 그냥 풀어주는데 빡친 와스프가 그대로 둠에게 개돌하려고 하자 블랙팬서는 그녀를 막으면서 구출됐으니 목적은 달성했다면서 어차피 이길 수 없는 전투니 물러나자고 한다. 이후 전투 종반 이후 그는 1기 막바지의 캡틴 아메리카를 습격한 후에 가장 큰 사건을 만들게 되는 암흑에 대해 조사하고 있었다. 2번째 등장때는 아이언맨과 정면승부를 펼치며 가지고 놀다가(?) 아이언맨에게 자기 시스템에 맞는 스크럴 감지기를 주고 떠난다. 둠은 세상을 지배하려는 스크럴을 그까짓것 취급하며 자기가 막을 정도는 아니라고 한다. 사실 여태 행각을 봤을때 둠 정도면 스크럴 전체를 관광시킬 정도다.[3] 그것을 건내주고는 이후 출연 끝.

3.12. 마블 슈퍼 히어로즈: 왓 더--?!

<colcolor=#fff>
파일:둠_.jpg

3.13. 지구-12401 세계관

<colcolor=#fff>
파일:둠12041.jpg
성우 - 모리스 라마쉐 / 오인성

3.13.1. 얼티밋 스파이더맨

S.H.I.E.L.D에서 선정한 악당 1위로 나온다.

헬리캐리어에서 스파이더맨이 캡틴의 방패를 가지고 놀다 떨어트려 라트베리아 대사관에 들어갔고 캡틴과 스파이더맨이 힘을 합쳐 방패를 되찾고 둠은 체포당한다.

얼티밋 데드풀 에피소드에서 카메오 출연 한다.

3.13.2. 어벤져스 어셈블

여기선 EMH와 달리 1기에서만 등장한다. 그리고 등장도 더 많아졌다. 여기서의 둠은 토르의 운명에선 아스가르드의 뱀을 불러 통제해버릴 정도로 어마어마했다.[4] 심지어 시간 가속기를 이용해 전세계를 지배하기도 했었다.[5] 이렇듯 판타스틱 포보단 토르와 아스가르드쪽에 더 많이 엮인다.[6]

그리고 대망의 19화. 첫등장때 레드스컬의 동맹을 거절한 이후 그들의 표적이 되어 공격받았다. 물론 무장 상태의 둠은 그들을 가볍게 쓰러뜨리겠지만[7] UN에 본인이 나서기 때문에 무장및 무기 사용이 금지되어 힘이 대폭 하향되었다. 이후 캡틴 아메리카의 도움을 받으면서 대의와 명예를 깨우치는줄 알았더니...사실 다 거짓이고 어벤저 타워에 가서 어벤저스의 전투 데이터를 뻬내오기 위함이였다.[8] 하지만 너무 잘맞선 티가 나서 캡틴한테 들키고 아이언맨이 설치한 바이러스 트로이 때문에 자기 성이 정전이 되었다. 더불어서 다른 도시에 공격하는 행위를 했으니 국제 범죄자가 되어 라트베리아에 오도가도 못하게 되어 결국 강제로 출연이 금지당했다.

3.13.3. 헐크와 스매쉬 군단

카메오 출연.

4. 게임

4.1. 어메이징 스파이더맨(1991년 게임)

<colcolor=#fff>
파일:둠1.jpg

4.2. VS 시리즈

4.2.1.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시리즈
역대 보스
{{{#!folding [ 열기 / 닫기 ] 마블 시리즈
엑스맨
(1994)
MSH
(1995)
XVS( MVS)
(1996)
중보스(1): 고우키[1]
중보스(2): 저거노트
보스: 매그니토
중보스: 닥터 둠
보스: 타노스
아포칼립스[2]
MVC
(1998)
MVC 2
(2000)
MVC3
(2011)
인피니트
(2017)
온슬로트 어비스 중보스[3]
보스: 갤럭투스
울트론
SNK 시리즈
CVS
(2000)
CVS 2
(2001)
고우키[4] 고우키/ 루갈[5]
기타
TVC
(2008)
스대철
(2012)
토코야미스메라기 고우키/ 오거[6]

[1] 고우키는 숨겨진 조건을 달성하면 난입 [2] MVS에서는 해당 보스전 이후에 메카 고우키가 등장. [3] 갤럭투스와 싸우기 직전 파워 코스믹을 얻은  닥터 둠, 도르마무, 웨스커, 고우키 중 랜덤으로 중간보스로 난입 [4] 숨겨진 조건을 달성하면 베가/ 기스를 대신해서 난입. [5] 특수조건을 만족시켰을 경우 신 고우키 / 갓 루갈이 최종보스로 등장. [6] 각 진영(스파/철권) 캐릭터가 1번째가 누구냐에 따라 결정.
}}} ||
<colcolor=#fff>
파일:둠2.jpg
최종보스인 타노스 이전의 중간보스로도 등장. 등장 대사는 'Now You face the Doom'인데 이것은 바로 닥터 둠 자신과 마주했다는 것과 파멸을 마주했다는 이중적 의미가 담긴 영어 유희.
여기서는 제작진이 팬이 아닌지 무지 약하다. 냅다 레이저를 날리는 플라즈마 빔이나(생긴건 옵틱블라스트같이 다단히트일거 같은데 무려 단발히트장풍) 5-WAY 빔을 쏘는 포톤 쇼크, 포톤 어레이, 주위에 바위들을 끌어올린 후에 앞으로 날리는 몰레큘러 쉴드 등이 있으며 물론 데미지는 강하지만 패턴이 단조롭고 연속기가 빈약하며 필살기가 전부 원거리용이라는 문제가 존재한다.

엔딩은 타노스의 인피니티 건틀렛을 손에 넣어 세계를 지배한다는 내용으로 끝맺음했다.[9]

4.2.2. 마블 VS 캡콤 2

<colcolor=#fff>
파일:둠3.jpg
기능 자체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비행과 8방향 공중대시를 지닌 캐릭터가 다 그렇듯 상당한 강캐로 자리잡았다. 일단 대공 타입 어시스트 대응기인 몰러큘러 실드의 성능이 최상급. 메인 캐릭터로 싸울 때의 성능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

기본기 구조상 러시 플레이는 좀 무리고, 점프 강P와 공중 포톤 샷을 이용한 견제 플레이가 위주. 레이저 총을 갈기는 점프 강P가 비행 견제를 펼치는 센티넬이나 아이스 스톰을 날리려는 스톰에게 의외의 카운터로 먹히기도 한다.

그러나 점프 약K을 지상의 상대에게 가드시킨 뒤 바로 강K이냐 착지해서 하단부터 시작하느냐의 이지선다도 있고, 타점이 높고 발동이 빠른 에어리얼 개시기 서서 중K(단독 발동은 ↘ + 강K)을 이용한 가불 패턴도 있다. 방법은 일반 점프 상태의 상대에게 점프 약P를 하강하며 가드시킨 뒤 착지하자마자 서서 중K을 쓰는 것. 맞건 가드하건 무조건 연결이 된다.

점프 강K이 에어리얼 레이브 중에 써도 맞은 상대를 강제로 다운시키지 않으며 캔슬까지 가능한 독특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비행 중에 쓰면 강제로 비행 상태가 끝나기 때문에 점프 강K - 비행 - 약공격 - 강K - 비행...식의 무한 콤보도 가능.

4.2.3. 마블 VS 캡콤 3

<colcolor=#fff>
파일:둠4.jpg
마블 VS 캡콤 3에서는 역시 다양한 견제기 위주의 기술로 짜여 있고, Lv3 하이퍼 콤보인 둠의 시간(↓↘→ + 공격 버튼 2개)이 추가되었다.[10] 구석에서 하는 풋다이브 루프 3회(앉아(약 중 강) 띄우기 → (점프 중 중 풋다이브(앞 강) 풋다이브(약))*3) 콤보는 난이도가 매우 쉬운데 비해 데미지가 준수해서 MVC3의 기본기 중 기본기이다. 미사일을 발사하는 어시스트 성능도 거의 신의 수준이라서 많이 사용된다. 2012년 초만 되어도 이미 최상위 캐릭터를 넘어서, 안 넣는 팀을 보기 힘든 국민 캐릭터가 되었다.
Marlinpie가 해당 영상에서 보여준 콤보는 팀 에어리얼 콤보시 경직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이용한 간지나는 팀 에어리얼 콤보 정도로 여겨졌다가, 해당 콤보의 원리를 이용한 원터치 킬 콤보가 개발되면서 둠을 비롯한 여러 캐릭터(센티널, 트리쉬, 단테 등등, 심지어 춘리까지)의 원터치 킬 TAC가 발굴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둠 TAC 무한콤보는 대회에 나서는 선수에게 기본기로 자리잡았다. # 해당 팀 에어리얼을 선보이기 전 Marlinpie는 "MVC3를 영원히 망쳐버릴 짓거리를 오늘 보여줄테니 잘 지켜봐라"라고 동료 선수들에게 은연중 말했다고 한다.
닥터 스트레인지로 유명한 Miniboss는 둠 혼자 남았을 때 미사일을 지연시켜서 발사하고, 상대가 발사하는 순간을 노려서 공격을 할 때 얻어맞는 척 하다가 미사일에 상대가 경직당한 때를 노리는 전술을 자주 보여준다. 레벨 3 하이퍼를 할 기가 없을 때는 풋다이브 콤보 후 공중 플라즈마 빔 + 포톤 어레이로 적당히 끝내는 것이 보통인 상황에서, 풋다이브 콤보를 2번 먹인 뒤에 구석에서 미사일로 띄운 후 포톤 어레이 + 스피어 플레임으로 확실하게 끝내는 변형을 보여주기도 하였다.(둠은 지난 4년동안 우려먹을대로 우려먹어서 더 이상 새롭게 파낼 것이 없다고 다들 생각하던 차였는데, 난생 처음 보는 변형 콤보를 보여주니 다들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미사일의 발사 횟수와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해서 상당히 어렵다. 거의 Miniboss의 특수 능력으로 취급한다.) 요즘은 워낙 Miniboss가 유명해져서 다들 기가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상대방의 X팩터를 갉아먹는 목적으로 쓰인다.

덤으로 구석 콤보 및 TAC 무한 콤보의 레시피중 하나로 들어가는 점프 S 기본기 사용시의 "풋 다이브!"가 이상한 중독성이 있어서 서구권에서 필수요소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내에서도 훗돠이~로 역도입되었는데 이쪽은 아예 그 구석콤보의 레시피 (따닥펑 따닥 따닥 훗 훗돠이~) 자체가 항목이 작성되었으며, # 이에 더해 3레벨 슈퍼콤보인 악몽의 시간의 "Time to DIE!"가 "하이신다~(네 죽었습니다)"로 들리는 몬데그린까지 발굴되어 음매드 단골 소재가 되었다.

도구라의 닥터 둠 해설.
능력치
지능 ■■■■■■□
■■■■□□□
속도 ■■■■■□□
체력 ■■■■■■□
에너지 투사 □□□□□□□
전투 기술 □□□□□□□

4.3. 판타스틱 4(1997년 게임)

<colcolor=#fff>
파일:둠1.png

4.4. 스파이더맨(2000년 게임)

<colcolor=#fff>
파일:둠5.jpg

4.5. 판타스틱 4(2005년 게임)

<colcolor=#fff>
파일:둠10.jpg

4.6. 마블 네메시스

<colcolor=#fff>
파일:둠6.jpg

4.7.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시리즈

4.7.1.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colcolor=#fff>
파일:둠7.jpg
성우 - 클라이브 레빌

본작의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4.7.2.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3: 블랙 오더

<colcolor=#fff>
파일:둠8.jpg

4.8. 마블 슈퍼 히어로즈 3D: 챌린지 오브 그랜드마스터

<colcolor=#fff>
파일:둠9.jpg

4.9. 마블 어벤저스 얼라이언스

<colcolor=#fff>
파일:둠2.png
적일 때의 클래스는 블래스터지만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됐을 때는 텍티션으로 바뀐다.
성능 자체는 뛰어나지만 너무 강하기 때문에 벨런스 유지를 위해서인지 사용할 경우 플레이어의 아바타 캐릭터와 2인체제로 싸워야만 한다는 제약이 있다.

4.10. 어벤져스: 배틀 포 어스

<colcolor=#fff>
파일:둠11.jpg

4.11. 마블 히어로즈

닥터 둠(마블 히어로즈) 문서 참조.
처음에는 포스가 강력한 최종보스풍의 슈퍼빌런으로 나왔다. 전투를 3단변신을 해가면서 치르게 되는데 처음에는 미니언 중심의 소환전투, 2단계에서는 파워풀한 근접전을 중심으로 펼치며 마지막에서는 마법 중심의 원거리전을 중심으로 싸운다. 피할것은 많고 자리는 협소하고 전투가 길기 때문에 잠시 방심하면 눕게된다.

나중에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왔는데 최강 최흉의 사기 캐릭터로 나왔다. 보통 공격자원을 소비하는 이동기인 텔레포트가 아무런 자원 소모 없이 무한으로 나가고, 별 다른 템이 없어도 상당히 강력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특히 소환트리로 간 둠은 그냥 미니언들 소환시켜놓고 하늘에 붕붕 떠있으면 미니언들이 다 해결해준다고 할 정도...둠의 사기성을 빗대어 둠티어라고도 한다. 너프가 조금 되었는데 정작 둠은 별 타격이 없는데 그 옆에 있던 로켓 라쿤이 휘말려버렸다.

4.12. 레고 마블 슈퍼히어로즈

<colcolor=#fff>
파일:닥터 둠.jpg
성우 - 프레드 태터쇼어

전격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15개의 스테이지를 스토리 모드로 모두 클리어한 후의 자유 플레이에서 디폴트 조작 캐릭터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아이언맨 mk.42

4.13. 마블 퍼즐 퀘스트

<colcolor=#fff>
파일:둠3.png

4.14. 마블 올스타 배틀

<colcolor=#fff>
파일:둠12.jpg

4.15. MARVEL 퓨처파이트

닥터 둠(MARVEL 퓨처파이트) 문서 참조.

4.16. 마블 스트라이크 포스

<colcolor=#fff>
파일:둠13.jpg

4.17. 마블 듀얼

<colcolor=#fff>
파일:둠14.jpg

4.18. 포트나이트/배틀로얄

<colcolor=#fff>
파일:닥터_둠.jpg
포트나이트 마블코믹스의 콜라보레이션 이벤트시즌인 제 2막 시즌4에서 등장한다. 설정 상 세상을 지키려는 히어로들과 이해 관계가 맞아서 일시적인 동맹을 맺고 갤럭투스에 맞서는 것 같다. 플레이어와 싸우다가 사망하면 전용 무기인 건틀릿과 폭탄을 드랍하는데, 전자 쪽이 기동성이나 전투에서 모두 뛰어나서 성능이 좋고 후자 쪽은 적에게 폭발 및 화염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쿨타임이 너무 긴데다가 유사한 무기나 아이템이 이미 몇가지 있기도 해서 잘 안줍는다.

4.19. 마블 스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블 스냅/카드일람/6에너지 문서
2.4.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대화하는것만 따지면 2회차밖에 안나왔다. [2] 심지어 그 헐크마저 한손가락, 자세히는 빔 한방에 날려버렸다. [3] 그의 전체 전력은 어마무시하며 당장에 비서 로봇과 중병기형 로봇 4기만으로 어벤져스를 고전시켰을 정도다. [4] 토르와 로키마저 놀랄 정도. [5] 본래의 시간에선 토르 때문에 실패로 끝났다. [6] 코믹스에서도 둠은 아스가르드에 관심이 좀 있었다. [7] 위의 EMH 항목을 보면 어벤저와 판타스틱 포를 가지고 놀았으니 이들은 문제도 안될것이다. [8] 그런데 이걸 고안하려면 동맹과의 전투에서 공격을 거의 못함으로 거의 목숨을 내놓았다고 보면 된다. [9] 다만 마블 세계관은 멀티버스이고 세계에 따라 등장인물들의 성격이 다른 경우도 존재하니 캡콤의 게임 세계에서는 그런 성격이라고 하면 말이 안되는 것도 아니다.(당장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원판과는 성격이나 특색이 다른 인물들이 수두룩하다.) 뭣보다 캡콤은 마블 자신조차 잊고 있던 슈마고라스의 존재까지 알 정도로 의외로 마블 코믹스에 대해 빠삭한 모습도 보인 적 있다. 참고로 캡콤은 미래로의 유산이나 황금의 선풍에서도 보여주었듯 원작 재현에 많이 신경쓰는 제작사 중 하나이다. 원작인 인피니티 건틀렛 코믹스에서도 히어로 들과 타노스의 싸움 와중에 건틀렛을 대놓고 차지하려다가 추한꼴로 결국 실패하고서도 기필코 저 보석들을 손에 넣겠다! 라고 하며 탐욕을 포기 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었다. [10] 연출은 둠이 '죽을 시간이다!'(Time to DIE!)라고 말하면서 필드를 전개해 적을 가둔 후, 유유히 의자에 앉아서 '흐하하하하!! 놀이는 이제 끝이다!'라고 말한 뒤 폭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