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5:12:45

눈알 아버지

눈알 아버지
[ruby(目, ruby=め)][ruby(玉, ruby=たま)] おやじ
파일:Tumblr_p2s1tyuuwm1tnahllo5_500.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본모습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BCEB1>
파일:게게로.jpg
극장판에서의 모습
}}}}}}}}} ||
신장 9.9cm
몸무게 33.25g
성별 남성
종족 유령족
가족 이와코(아내)
키타로(아들)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노나카 이사무(1기, 2기, 3기, 4기, 5기, 묘지의 키타로, 드라마판)
시마다 빈(섀도우사이드 도깨비왕의 부활)[1]
노자와 마사코(6기)[2]
세키 토시히코(6기 극장판)[3]
고리 다이스케(묘지의 키타로 내 미라 모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재호(3기, 5기, 섀도사이드 도깨비왕의 부활)[4]
이경태(6기)[5]

1. 개요2. 상세3. 극장판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게게게의 키타로(ゲゲゲの鬼太郎)의 등장인물이자 주인공 키타로의 아버지.

2. 상세

파일:external/blog-imgs-29.fc2.com/PICT0064.jpg
키타로가 걱정되어 육신은 죽었지만 눈알에 혼이 들어 살아났다고 한다. 키타로의 탄생을 그린 묘지의 키타로 등 원작 초반에서는 죽기 전 몸이 썩어들어가는 고질병 때문에 전신을 붕대로 감싸서 미라 같은 모습이었다. 위의 사진이 바로 그 미라 같던 모습의 눈알 아버지. 옆의 여인은 아내인 이와코, 마주 보고 있는 사내가 바로 미즈키다.

손바닥 크기의 몸을 지니고 있지만, 키타로가 태어나기 전부터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보고 배운 게 많았던 덕에 매우 박학다식해서 키타로와 그 동료들을 지원해주는 일이 많다. 또, 가끔 적에게 일부러 삼켜지거나 적의 몸 속에 침입해서 체내를 직접 공격하기도 한다. 이 방법으로 생쥐인간의 뇌를 조종하기도 했다. 전투력 자체는 없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명색이 유령족인만큼 키타로 못지 않은 신비로운 능력을 발휘해 키타로를 돕기도 한다. 피이와 먼로 에피소드에서 흡혈귀가 되어버린 자기 아들을 구하기 위해 환상의 증기기차를 소환하거나 화차 에피소드에서 나온 떡 살인 능력이 대표적.

파일:external/dengekionline.com/c20080623_kitaro_02_cs1w1_720x720.jpg
(위 사진은 5기 애니판에서의 모습.)

파일:키타로.jpg

작은 몸 때문에 마침 왼쪽 눈이 없어서 비어있는 키타로의 왼쪽 눈에 들어가 있다는 것이 공식 설정이지만, 아무래도 그로테스크해서 그런지 애니 등에서는 주로 키타로의 머리나 어깨 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살아있는 의안

파일:external/www.top-page.jp/body01.jpg

이미지 출처

취미는 목욕으로, 신체 사이즈 때문에 주로 집의 밥그릇을 욕조 삼아 주전자로 끓인 뜨거운 물을 부어 목욕한다. 애니판에선 이것에도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어서 단순한 끓인 물뿐 아니라 커피, 홍차, 모래, 술 등으로도 목욕을 하기도 하고 욕조도 밥그릇이 아닌 다른 그릇을 쓰기도 하지만 본인은 평소 하던 스타일의 밥그릇 목욕이 제일 마음에 드는 듯 하다. 목욕을 즐겨 하는 이유는 눈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라고한다.

모든 시리즈 공통으로 키타로가 아버지를 극진히 모시는 효자이다보니 이 점을 이용한 악역들도 종종 나온다. 5기에서는 누라리횬이 눈알 아버지를 비행기에 가두고 키타로를 끌어들여 없애려 한 전적이 있고, 6기 48화에서는 나나시와의 전투 때 눈알 아버지가 자신을 지키기 위해 눈앞에서 희생한 걸 본 키타로가 완전히 무너져내리기 일보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이후 우연히 지나가던 생쥐인간이 다소 거친 방식으로 일갈하고 나서야 겨우 정신을 차리고 마음을 다잡았을 정도. 나나시 사건이 완전히 끝나고 부활했을 땐 평소에 감정 표현을 잘 하지 않던 키타로가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키타로에게 있어서 눈알 아버지는 어느 누구보다도 소중한 존재이지만, 그렇기에 키타로의 가장 큰 약점이 되는 존재이기도 하다.

파일:붕대아버지.jpg

묘지의 키타로에서의 제대로 된 묘사를 제외하면 항상 눈알 요괴의 모습으로 등장했고, 이전 시즌 중 3기에선 그래도 병에 걸리기 전 모습이 아주 잠깐 나오긴 했지만, 얼굴이 가려진 형태였다.

파일:3기 눈알아버지 썩기 전.jpg
해당 장면은 게게게의 키타로 3기 "지옥편"에서 나온 장면으로, 눈알 아버지가 이와코가 키타로를 임신했단 것을 듣는 모습이다. 이땐 병에 걸리기 전이라 붕대를 감지 않고 있지만, 얼굴이 제대로 묘사되진 않았다.

이렇듯 그가 병에 걸리기 전 모습이 어땠는진 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는데...
파일:눈알 아버지.png
아이를 지키기 위해서라면 뭐든지 하는... 평범한 아버지다.
6기 애니판의 14화에서 마쿠라가에시의 꿈속 세계에서 일시적으로 눈알 아버지가 위기에 처한 키타로를 구해주기 위해 변신함으로서 붕대를 감지 않은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백발[6]에 붉은 눈을 한 장신의 미중년으로 키타로를 구해준 뒤 해당 에피소드의 악역 방울령을 손가락 포로 일격에 제압한다. 물 건너에선 성우 보정도 있고 해서 초대 키타로가 눈알 아버지가 되어 6기 키타로를 지켜주는 것 같았다는 호평이 대다수.

3. 극장판

파일:father01.png 파일:father02.png
극장판 캐릭터 설정화
6기 극장판인 키타로 탄생 게게게의 수수께끼에서는 인간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6기와는 달리 키타로와 거의 똑같은 외모로 바뀌었다.[7][8] 키타로와는 달리 백발이며 키가 매우 크다.[9] 처음에는 무뚝뚝한 이미지였지만 어린 아이에게는 다정한 일면을 보여주며,[10] 누군가에게 납치당한 아내 이와코를 찾아다니고 있었다. 굉장한 애처가로 작품 내내 그녀에 대한 절절한 애정을 드러낸다.

영화 내에서 끝까지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 탓이 미즈키는 게게로라는 가명을 붙여주며[11] 끝까지 이 별명으로 부른다. 원래 인간을 좋아하지 않았던 모양이지만, 아내로부터 받은 영향에다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미즈키와 협력하게 되면서 종족을 초월한 우정을 맺는다. 본인이 말하길 자신은 누군가에게 속기 쉬운 성격이라고 하는데 아마 이 성격 때문에 인간들에게 몇 번 곤혹을 치른 일이 있지 않았나 추측된다. 또한 눈물이 많다.

종반에는 류가 일족에게 잡혀[12] 아내처럼 요괴 벛나무에 묶여 피를 뽑힐 위기에 처하나 미즈키의 활약으로 빠져나간 뒤 광골의 분노를 혼자 받아 그 여파로 저주에 걸려 몸이 썩어가는 병에 걸리게 된다. 이후 70년 뒤 할아버지에게 육체를 빼앗기고 광골이 된 토키야를 키타로와 같이 달래주고 토키야는 성불한다.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엔딩 롤에서 밝혀지길 사건이 끝난 이후 아내와 함께 어떤 폐허[13]에서 지내던 중에 어쩌다 그곳에 찾아온 미즈키와 재회하는데 그가 반가웠는지, 혹은 아내를 지키려 했는지 팔을 뻗으며 다가가지만 당시 기억을 잃었던 미즈키는 겁에 질려 도망쳤다.

파일:게게로특전.jpg
극장판 특전 일러스트에서 인간 모습으로 어린 키타로를 안고 있고 아내와 마찬가지로 우는 모습이 나온다.
파일:nAJC7Q809DhcuesWvx3bTwVP4pFmafK5.jpg
넨도로이드 No.2464
극장판의 인기에 힘입어 미즈키와 함께 넨도로이드가 발매되었다.

4. 여담

반면 원작에서도 가끔 인터넷이나 신문으로 정보를 얻는 인간들을 보며 "모름지기 정보란 자신의 발로 스스로 뛰며 얻어야 하는 것이거늘..."이러며 혀를 차는 장면이 있는 등 의외로 생각이 구세대적인 모습도 있었다.

5. 관련 문서



[1] 4기 애니판에서 부에르 역을 맡은적이 있으며, 6기 애니판에서 코나키지지 누리카베역을 맡게 된다. [2] 1기와 2기, 묘지의 키타로에서 키타로 역을 맡았다. 원조 키타로 성우이고 워낙 오랫동안 키타로를 담당했기 때문인지, 더빙 중 무심코 대본상의 '키타로'의 대사를 읽어버리는 실수를 몇 번 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 때마다 사와시로 미유키가 당황하며 '서, 선배님 저 키타로 해도 될까요..?'라고 조심스럽게 지적했다고. # [3] 온몸이 썩기 전, 본래 모습 [4] 투니버스 방영. [5] 대원방송 방영. [6] 원작 및 실사영화판의 키타로의 머리색 역시 회색이다. [7] 묘하게 원작과 묘지의 키타로의 눈알 아버지의 모습처럼 큰 눈에 눈동자가 점 형태를 띄고 있다. [8] TV판 모습은 극장판 시점보다 더 젊은 때라 그럴 수도 있다만... 나중에 제작진이 설명하길, TV판 모습은 눈알 아버지가 생각하는 가장 강한 아버지의 모습을 구현한 것이라고 한다. 덧붙여 TV판과 극장판이 그림체 및 화풍이 다른 점도 있다. [9] 성인 남성인 미즈키보다 머리 하나는 더 크며 캐릭터 다자이너의 낙서에 문지방에 머리가 닿아 숙이고 들어가는 그림이 있다. [10] 작중에서 토키야에게 다정하게 대해주며 대답해주고 자신에게 돌을 던진 애들에게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11] 생쥐 인간이 게게로를 보고 "게겍!" 하고 비명을 지르며 도망갔긴 때문. [12] 암귀도를 상대로 테라스에서 엄청난 격투 실력을 내보이며 압도했으나 오사다의 쿄코츠를 이용한 주술에 능력을 발동하지 못하고 사로잡혔다. [13] 과거 회상에서 나온 부부가 함께 살던 집이 그가 아내를 찾아 돌아다니느라 몇 년 동안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그대로 폐허가 된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가 당시 부부가 둘 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제대로 수리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