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28:29

김책공업종합대학

김책공대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colbgcolor=#024FA2><colcolor=#fff> 중앙급대학 김일성종합대학( 국제관계학과) · 김책공업종합대학 · 리과대학 · 김형직사범대학 · 평양외국어대학 · 평양의학대학 ·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무용종합대학 · 평양건축종합대학· 평양기계대학 · 평양철도대학 ·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 화학공업대학 · 함흥수리동력대학 · 고려성균관 · 청진광산금속대학
일반대학 강계의학대학 · 강계교원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철주사범대학 · 남포공업대학 · 라진해운대학 · 리수덕원산교원대학 · 사리원고려약학대학 · 신의주경공업대학 · 원산농업대학 · 원산수산대학 · 원산의학대학 · 장철구평양상업대학 · 정준택경제대학 · 조선체육대학 · 평양교원대학 · 평양미술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 평양콤퓨터기술대학 · 평양건축대학 · 평양외과대학 · 평양관광대학 · 평양인쇄공업대학 · 평양농업대학 · 혜산농림대학 · 희천공업대학 · 함흥의학대학 · 청진의학대학 · 청진오중흡사범대학 · 청진경공업대학 · 함북대학 · 김정숙교원대학
사립대학 평양과학기술대학
특수대학 금성정치대학(당간부) · 금성학원 · 조선로동당 중앙간부학교(당간부) · 인민경제대학(경제간부) · 청진공산대학
군사대학 김일군사대학(사이버전사)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정치대학(정치지도원) · 강건명칭종합군관학교(육군 보병) · 오진우명칭포병종합군관학교(육군 포병) · 류경수명칭군관학교(육군 기갑) · 김정숙명칭해군대학 · 김책명칭공군대학 · 김정일군정대학(고위장교) · 봉화정치대학(남파공작원) · 김정일인민보안대학(안전원) · 김정은국방종합대학(국방과학자) · 최광명칭통신병군관학교 · 림춘추명칭군의대학 · 룡성략전대학 · 국가보위성정치대학(보위지도원) · 김책보위대학(보위지도원) · 압록강군사대학(남파공작원) · 래천군관학교(특수부대원)
외국 설립 대학 조선대학교
아시아 소재 대학교 일람 · 대학 관련 정보
}}}}}}}}}

김책공업종합대학
Kim 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金策工業綜合大學
파일:kutlogo.png
형태 국립
개교 1948년 9월 27일
총장 박지민
국가
[[북한|]][[틀:국기|]][[틀:국기|]]
소재 북한 평양시 중구역 교구동


1. 개요2. 역사3. 학부
3.1. 박사원(연구소)
4. 학교 내부5. 통일 이후 전망6. 기타7. 출신 인물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김책공업종합대학은 북한 공과대학으로, 북한 내부에서는 대한민국의 포스텍과 유사한 명문 공과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1] 줄여서 김책공대라고도 부른다. 이름의 유래는 김일성의 최고의 심복이었던 김책이다. 다만 공업종합대학이라 포스텍에 비해서 규모가 훨씬 크다.

2.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938년에 숭실전문학교(현재 숭실대학교)가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자진폐교하자, 대동광업사를 경영하던 광산왕 이종만이 폐교된 숭실학교의 시설을 활용해서 1939년 이공계 구제전문학교를 표방하며 광산과 1개과 80명으로 구성된 대동공업전문학교를 세웠다( 참조). 그러나 대동공전 설립시부터 교사 신축을 위한 재원이 모자라 사채를 썼을 만큼 처음부터 자금 사정이 좋지 않았던 대동광업은 부채가 지속적으로 누적되며 1940년 부채 500만 원에 달해 자본 잠식되었고, 1942년에는 부채가 800만 원으로 이미 파산 상태여서 결국 1943년 총독부의 금광 강제정리사업에 의해 해체되고 말았다.

재단을 잃은 대동공전 역시 1944년에 국립으로 이관되어[2] 관립 평양공업전문학교로 개교하였다. 대동콘체른의 사립학교로서 광업에 치중되어있던 대동공전과 다르게, 대전 말기인 1944년 일제는 전시에 긴요한 공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평양공전에 전기과와 조선항구과를 설치했다고 한다.

평양공전은 해방 후 소련군정에 접수되었고, 1946년 의학부가 된 평양의학전문학교와 함께 김일성종합대학을 창설하고 공학부가 되었다. 1948년 김일성종합대학 공학부에서 평양공업대학으로 독립했으나, 1951년에 한국 전쟁 가운데 사망한 김책을 기린다는 의미에서 김책공업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리고 1988년에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이름을 바꿔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3. 학부

김일성종합대학에 비하면 출신성분을 비교적 덜 따지기도 하고 공과대학 특성상 김씨 일족과 엮기 힘들어서 그런지 비교적 정상적으로 보이는 학과가 많은 편이다. 다만 김일성대학에서 공과대학만 뚝 떼서 세운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김일성대가 나름 종합대학을 표방하고 있는지라 겹치는 학과가 적잖이 있는편이다. 또한 한국의 공과대학에 비해 겹치는 과도 많고 전체적으로 규모가 쓸데없이 비대하다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

그러던 2020년 말, 효율성과 조직 비대화 억제를 위해 김정은이 종합대학 체제를 접고 김일성 시대의 학부제로 돌아갈 것을 지시함으로써 김책대의 양대산맥인 기계과학기술대학과 정보과학기술대학을 모두 학부제로 격하했다. 또 영역이 겹치는 학부 몇개를 통합했다,

3.1. 박사원(연구소)

파트타임 학생도 받는다고 하며, 현재 총 10여개의 연구소와 50여개의 연구실이 존재한다.

4. 학교 내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학교는 1988년부터 종합대학으로 변경되어 이공계학과뿐만 아니라 다른 과도 모집한다. 그러니 이 학교에서 배출되는 졸업생은 이공계뿐만은 아니다. 현재 만 명의 학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교수는 2천여 명. 연구소는 10개, 도서관 장서수는 60만 권, 그리고 부지는 40만 평방미터라고 한다. 학생수와 교수수로 따지면 규모면에서 카이스트와 비슷한 셈.[4] 다만 캠퍼스 규모는 카이스트 대덕 캠퍼스의 1/3 수준이다.

당연하게도 북한 엘리트중 엘리트가 모인 평양에 위치하며[5], 이 대학에 입학하는 사람들은 공과 분야에서 수재 중의 수재들만 입학자격이 주어진다. 이곳을 졸업한다면 북한 내부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 졸업생급으로 인정[6]받으며, S급 공학자, 과학자, 연구원, 엔지니어 등으로 인정받는다.

북한도 유교 문화권이기 때문에 대학입시는 엄청나게 치열하며, 출신성분에서 결격사유가 없다면 명문대 졸업장이 곧 출세를 보장하기 때문에 비밀과외까지 존재할 정도로 엄청나게 공부를 열심히 한다.[7][8]

북한에서 이곳을 졸업한 사람들은 대부분 북한 체제를 지탱하는 전문가가 된다. 많은 수는 북한의 무기개발을 위한 연구원으로 일하며, 탈북자 소스에 의하면 핵무기 연구에 종사하던 핵공학 전공의 연구원들은 안전 따위를 무시한 연구때문에 백혈병이나, 기타 방사능 관련 병으로 사망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어쨌든 여기를 졸업하면 북한체제의 기술계 고위직으로서의 출세는 보장된다. 북한은 고시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고위직은 출신성분과 함께 출신대학이 매우 중요시되며, 북한에서도 김책공대는 순수연구를 하는 김일성대와는 달리 응용과학의 전당이기 때문에 나와서 업적을 쌓으면 출신성분이 보통인 사람도 고위직으로 갈 수 있는, 출세길이 열리는 것이다. 대부분은 좋은 대우를 받는 북한의 여러 이공계 요직이 아닌 전문연구원으로 진출하여 잘 먹고 잘 산다. 하지만 출신성분을 중시 안 한 만큼 요직은 가끔 출신성분도 좋으면서 진짜 공부 잘 했는데 공돌이가 하고 싶어서 간 소수 몇 명만 요직에 근무하며 나머지는 그냥 조선시대 중인계급이다.

하지만 북한 강성산 총리의 사위 강명도의 증언에 따르면 김일성대학은 출신성분 우대 김책공대는 무조건 공부라고 한다. 또, 김책공대 출신 전철우의 증언에 따르면 국가에서 대학 원서제한을 두어서 각 지방마다 할당을 한다고 한다. 평양 같은 경우에는 많이 할당을 받지만 지방에는 원서를 거의 할당받지 못 한다고 한다. 일단 원서를 받으려면 공부도 잘 해야 하지만 출신 성분이 어느 정도는 받쳐줘야 한다고 한다. 그래도 김일성종합대학에 비하면 출신 성분을 덜 따지는편, 바꿔 말하면 그만큼 체제 중심에는 들어가지 못 한다고 볼 수 있다. 무조건 출신 성분이 좋아야 출세하는 북한인데 그 출신 성분을 덜 따지고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은 한마디로 공돌이는 그냥 막 굴리겠다는 것이다.

김책공업종합대학 교수 아파트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크고 아름답다.

5. 통일 이후 전망

통일 이후에는 김일성종합대학이 지거국 평양대학교로 개편된다면 이 학교는 평양공과대학(PyongTech-평텍-Pyongyang University of Technology)으로 개칭될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평양리과대학은 PIST (피스트 - Pyongy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로 불리게 될 수 있다.

6. 기타

7. 출신 인물

8. 둘러보기

평양시의
랜드마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중구역
<colbgcolor=#cccccc,#333333> 교육 김책공업종합대학 · 인민대학습당 · 평양의학대학 · 평양학생소년궁전
문화 릉라인민유원지 · 목란관 · 백선행기념관 · 선경종합식당 · 옥류관 · 창광원 · 창전해맞이식당 · 청류관
상업 평양아동백화점 · 평양역전백화점 · 평양제1백화점 · 평양제2백화점
호텔 고려호텔 · 대동강호텔 · 양각도국제호텔 · 창광산호텔 · 평양호텔 · 해방산호텔
기타 조선광업개발무역회사 · 평양역
대동강구역
교육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상업 대성백화점 · 류경관 · 류경원
문화 대동강수산물식당 · 문수물놀이장 · 중앙로동자회관 · 평양보링관
대성구역
교육 김일성종합대학 · 평양외국어대학
문화 대성산유희장 · 평양민속공원(철거)
기타 백화원영빈관 · 평양화초연구소
락랑구역
상업 평양단고기집 · 락랑시장
기타 락랑호텔 · 정백사원 · 평양과학기술대학
만경대구역
교육 강반석혁명학원 · 금성학원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만경대학생소년궁전 · 만경대혁명학원
문화 만경대유희장 · 향만루대중식당
상업 광복백화점
종교 봉수교회 · 칠골교회
호텔 량강호텔 · 서산호텔 · 청년호텔
모란봉구역
상업 삼태성청량음료점 · 서평양백화점 · 보통강수산물상점
기타 개선청년공원 · 모란봉 · 평양텔레비죤탑
보통강구역
문화 류경미래관 · 평양초밥전문식당
상업 미래상점 · 보통강백화점
기타 류경호텔 · 보통강역
사동구역
전체 미림승마구락부 · 미림역 · 미림항공구락부 · 송신역 · 청룡역
선교구역
전체 대동강역 · 장충성당
기타 지역
전체 동평양역 ( 력포구역) · 보통강려관 ( 평천구역) · 서평양역 ( 서성구역) · 평성리과대학 ( 은정구역)
}}}}}}}}}


[1] 북한에서 KAIST에 대응하는 대학은 리과대학이 있다. # [2] 대동공전의 설립자 이종만 관련 신동아 기사에서 전봉관 KAIST 교수는 대동공전을 평남도청에서 인수하여 공립(도립)으로 전환하였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조선총독부 소관의 관립 제학교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조선총독부제학교관제에 따르면 1944년 4월 6일 개정으로 평양공업전문학교는 조선총독부 소관의 관립전문학교로 규정되었다. [3] 김책대의 간판학부로, 최근 인도 소프트웨어 기업이 주최하는 국제 프로그래밍 대회 코드쉐프에서 이 학부 학생이 2등에 입상했다고 한다. [4] 카이스트도 학부생 4천여 명, 대학원생 6천여 명 정도다.. [5] 잘 모르는 사람은 김책시(구 성진)에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6] 사실 상 동급이라 해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두 대학의 학과는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분야의 전문가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7] 일부는 뇌물을 주어 성적조작을 통해 입학을 한다고 한다(...) [8] 이러한 점은 김일성종합대학도 마찬가지이다. [9] 심지어 집안에 탈북자가 있어 성분이 가장 안좋은 사람도 천재성을 보이면 진학이 가능한 대학이다. [10] 한국에서 칭하는 통칭 '이과'에 속하는 과들은 다 이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