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각류 Pinniped |
|
대표적인 기각류인 물개 |
|
학명 |
Pinnipedia Illiger, 1811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아목 | 개아목(Caniformia) |
계통군 | 기각류(Pinnipedia) |
[clearfix]
1. 개요
네 발이 지느러미처럼 생겨[1] 수중생활이 가능한 식육목 해양 포유류의 무리이다.우리가 흔히 기억하는 물개나 물범, 바다사자, 바다코끼리와 같이 바다와 육지를 오고가는 육식성의 해양 포유 동물들이 기각류에 속한다.[2]
2. 진화사
기각류는 식육목 개아목에 포함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곰과 가까운 친척이다.초기 기각류들은 올리고세에 등장했는데, 수달과 비슷한 체형과 생활양식을 지녀 민물이나 강 하구에서 어류를 포식했다. 이후 마이오세 초기에 기각류는 바다로 진출하며 진정한 해양 포유류로 진화했다.
바다사자과, 바다코끼리과, 물범과의 진화사는 각각 바다사자아과와 물개[3], 바다코끼리, 바다표범 참조.
3. 특징과 생태
기각류는 고래와는 달리 완벽히 수중 생활에 적응한 동물은 아니라서 모든 종이 물과 뭍을 오가며 활동하며 쉴 때에는 육지에서 쉰다.[4]담수에 적응하지 못하는 해양 파충류[5]와는 달리 담수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그래서 동물원에서 키우는 바다사자아과, 물개, 바다표범의 수조에는 바닷물이 아닌 일반 수돗물이 쓰이거나 소금을 풀어서 희석시킨 인공 소금물을 쓰기도 한다.
특이하게 육지에서는 식육목이 우제목을 사냥하며[6] 최상위 포식자로써 활동하지만 바다에서는 전세가 역전되어 우제목이 식육목을 사냥하며 최상위 포식자로써 활동한다.[7]
4. 위험성
기각류들은 바다와 그 근처의 땅에서만 살기 때문에 사람과 마주치기 쉽지 않고 웬만하면 사람을 공격하지 않지만, 위협을 느끼거나 자신들을 화나게 하면 얼마든지 사람을 해칠 수 있는 덩치도 크고 힘이 센 맹수다. 큰바다사자와 캘리포니아바다사자, 남아메리카바다사자 등은 북극곰보다도 훨씬 무거우며 바다표범 종류도 웬만한 종류가 북극곰만한 덩치에 북방코끼리물범과 남방코끼리물범은 수컷 기준으로 하마나 흰코뿔소와 비슷한 체중을 지녔다. 물개 종류도 호랑이나 곰 정도의 체중은 된다.5. 종류
자세한 내용은 식육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6. 같이보기
[1]
기각류라는 이름도 지느러미 기, 다리 각을 합쳐 만들어졌다.
[2]
다만 모든 해양포유류가 기각류는 아닌데
해달과 남미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 분포하는 바다수달은 족제비과다.
[3]
이 둘이 합쳐서 바다사자과이다.
[4]
반면 해양
우제목은 대다수가 크고 무거운 몸을 갖고 있어 육지에 있으면 오래 못 버티고
폐가 짓눌려 죽는다.
[5]
예외적으로
바다악어는 담수에서도 서식하지만, 이쪽도 적당히 소금기가 있는
기수(汽水)역을 더 선호한다.
[6]
예)
혹멧돼지를 사냥하는
사자.
[7]
예)
바다표범을 사냥하는
범고래.